포털302 [펌] 악플러만 잘못? 지상파 연예정보가 더 문제 악플러만 잘못? 지상파 연예정보가 더 문제 ‘거침없이 시시콜콜 중계’ 지상파3사의 공공성 망각 날마다 연예인 관련한 소소한 소식이 ‘뉴스’가 되어 일상을 쉼없이 파고든다. 행복한 소식도 있지만, 거론된 이들중 상당수는 이른바 ‘악플’ 때문에 ‘심대한 상처’를 입은 사람이기도 하다. 왜일까? 단지 그가 연예인이기 때문에? 최근 불행을 당한 연예인들에 대한 ‘악플’에 대해, 언론의 질타가 쏟아졌다. 남의 불행 뒤에서 숨어서 재미로 ‘악플’을 날린 얼굴없는 치사한 누리꾼을 향해, ‘키보드 워리어’ ‘악플러’라는 비판과 함께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논조가 줄지어 일간지 지면을 장식했다. 남의 불행을 조롱한 얼굴없는 ‘악플러’만이 잘못일까? 이 악플러들은 왜 이렇게 무더기로 생겨났고, ‘인격살인’이라는 악행을 .. 2007. 1. 26. EBS 토론카페 '악플' 토론 악플 없앨 수 있는 방법은 무엇? '악성 댓글, 살인 무기가 될 수도 있다!’ 지난 21일 집에서 자살한 가수 유니가 네티즌들의 ‘악플‘(모욕성 댓글)인 것으로 추정되면서 인터넷 게시판의 악성 댓글 논란이 또 다시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교통사고로 사망한 개그우먼 김형은, 도하아시안게임에서 낙마 사고로 숨진 김형철 선수 등 이미 세상에 없는 고인들 또한 악플의 피해자다. EBS ‘토론카페’(진행 김주환·연출 엄한숙)가 ‘악성 댓글, 이대로 좋은가’ 편을 25일 밤 11시 방송한다. 민경배(왼쪽) 경희사이버대 NGO학과 교수, 최진순(오른쪽) 한국경제신문 미디어연구소 기자, 홍순철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상임 전문위원 등이 토론자로 출연한다. 요즘 ‘무자비한 사이버 폭력에 대처하는 방법은 강도 높은 법적 규제뿐이.. 2007. 1. 26. 신문과 포털의 관계 2006년 신문업계와 포털사이트간의 관계는 한 마디로 ‘불완전한 상생 모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신문업계는 지난 2002년 이후 계속된 포털뉴스 독점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논의를 이끌었다. 우선 한국언론재단과 일부 신문사들이 공동으로 저작권 신탁을 골자로 하는 뉴스 신디케이션사업에 나섰고, 한국온라인신문협회 등 유관단체들은 이와는 별도로 계약내용 수정 등 공동 대응 방안 도출을 위해 기민하게 움직였다. 이와 함께 2005년 연예인X파일 파문 이후 포털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규제 정책 도입논의도 활발해져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언론계 등에서 ‘신문법’-‘언론중재법’ 재개정 공방의 키워드로 부상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이 큰 결실을 맺지는 못했다. 이는 국내 포털사이트의 문화-산업적, 정치-사회적 위.. 2007. 1. 12. [펌] 조선닷컴 ‘웹2.0’정신 실현하나 조선닷컴 ‘웹2.0’정신 실현하나 RSS서비스 진보매체에도 개방 “콘텐츠 변화 부족” 지적도 조선닷컴의 개편이 ‘개방과 공유’로 표현되는 웹2.0의 정신을 실현하려는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 조선닷컴은 5일 전면 개편을 단행, 자신이 원하는 뉴스를 골라 볼 수 있는 ‘마이홈’ 서비스를 시작했다. ‘마이홈’에서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Rich Site Summary) 기능을 이용, 필요한 기사를 자신의 개인홈페이지나 블로그, 미니홈피로 퍼갈 수 있다. 조선닷컴의 이번 개편을 통해 RSS의 대상이 되는 언론사에 경향신문, 한겨레, 오마이뉴스가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보수적 논조를 유지해온 조선일보가 경향, 한겨레, 오마이뉴스 등 진보적 매체의 콘텐츠에 문호.. 2006. 12. 14. 검색 아웃링크 5일…언론사별 명암 엇갈려 네이버 검색 아웃링크가 지난 1일 시행된 이후 신문사닷컴에겐 긍정적 효과가 있을까? 온라인미디어뉴스가 5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마이너지는 유의미한 결과를 내고 있고, 메이저지는 신중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신문사닷컴 고위 관계자는 "트래픽이 는 것은 맞다. 포털과 언론사닷컴간의 새로운 관계 형성의 시작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일단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다른 신문사닷컴 고위 관계자는 "속단하기 이른 시점으로 네이버 검색 인덱스에서 뉴스 영역이 너무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뉴스 아티클로 링크되는 게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네이버의 생각이 아직도 옛날을 못벗은거 같다"고 비판했다. 업계를 좌우하는 두 신문사닷컴 관계자들은 "네이버의 언론사별 페이지 참여 여부는 아직 결정을 하지 못했다.. 2006. 12. 5. [해설] KBS뉴스, 네이버 공급 중단 KBS 뉴스 콘텐츠를 12월 1일부터 포털에서 볼 수 없게 됐다. KBS는 지난해 9월 네이버와 계약하면서 '뉴스광장', '뉴스타임', '뉴스9'의 기사들을 제공해왔으나 효과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공급중단을 결정했다. KBS 인터넷뉴스팀 관계자는 "금주초 이같은 결정이 내려졌다"면서, "KBS가 기대했던 것과 네이버 뉴스의 효과가 불일치한 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KBS는 최근 인터넷 전문 기자를 채용하면서 인터넷 뉴스 강화방침을 갖고 있어 향후 진로가 주목된다. 또 KBS의 이번 결정에 따라 언론사들에게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일단 KBS의 뉴스 콘텐츠 공급 중단은 첫째, UCC 부상 국면에서 저작권 이슈가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고 둘째, 동영상 콘텐츠 영향력.. 2006. 11. 30.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