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미디어의 미래79 언론사, 챗GPT 어떻게 할 것인가 생성형 AI 모델, 인터넷 정보 생태계를 발칵 뒤집어 언론사의 챗GPT 오·남용, 저널리즘 신뢰 약화시킬 수도 콘텐츠 검증에 보다 많은 시간 할애해야 불과 몇 주 사이에 인터넷 정보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는 생성형 AI(Generative AI) ‘챗GPT(ChatGPT)’에 찬사와 우려가 동시에 쏟아졌다. 챗GPT는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받으며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된 언어모델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내로라하는 테크기업과 투자자들이 2015년 설립한 오픈AI(OpenAI)가 개발했다. 기존 AI가 데이터와 패턴을 학습한 결과물을 기계적으로 내놓는 정도였다면, 챗GPT는 마치 사람이 창작한 것처럼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한다. 긴 텍스트, 음성 녹음, 이미지, 프로그램 코드 및 구조화된 데이터 같은 콘텐츠를 접목.. 2023. 2. 12. 주먹구구 디지털...개발자는 멍든다 개발자 안 뽑고 덜 뽑으면서 '혁신' 운운 AI, 블록체인 등 신기술 적용은 먼 이야기 "기자 아니면 연수 기회, 발언권도 없다" 퍼블리시뉴스와기술연구소(소장 김위근)와 한국언론정보기술협회(이하 협회, 회장 강무성 경향신문 미디어제작국 정보기술팀장)는 지난 9월 국내 언론사 IT 인력(개발직군)을 대상으로 ‘2022 언론사 IT 종사자 인식 조사‘를 시행했다. IT 인력이 생각하는 언론 산업 현황과 전망, 처우 및 근무 환경, 디지털 전환 등을 주요 항목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마켓링크)다. 이번 조사에는 협회 소속 개발자를 포함 국내 언론사 IT인력 68명이 참여했다. 미디어 전문 비평지 미디어오늘은 16일 설문조사 내용을 인용, 온라인판에 보도했다. 설문조사 전체 내용 보기. "개발자들의 의견이 중.. 2023. 1. 19. 메타버스는 새로운 독자 감동시키는 공간 세계 주요 언론 웹 3.0 이니셔티브 지속 매일경제 메타버스 편집국 회의 퍼포먼스 본질 외면한 채 "돈 낭비한다" 비판나와 뉴스 미디어 기업은 인터넷에서 지속가능한 디지털 비즈니스 구축에 노력해 왔고, 몇몇 글로벌 브랜드는 뚜렷한 성공 가도에 올랐다. 많은 매체들이 구독 비즈니스에 희망과 기대를 거는 동안 또 다른 기류도 일어나고 있다. 사람들이 인터넷에 억세스할 수 있는 공유 가상(몰입형, 대화형) 환경의 네트워크인 메타버스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지금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확장현실(XR) 등 새로운 기술에 닿아 있다. 메타버스는 소셜 플랫폼 디스코드(Discord)부터 NFT, 블록체인, 웹3.0까지 더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것들을 아우른다. 당연히 기성 언론과 동업과 경쟁 사이에서 맞.. 2022. 12. 2. AI 쓰임새는 기자에 달려있다 해외 언론, 다양한 AI 프로젝트 전개 속보 등 효율성에 맞춘 한국 언론 저널리즘 가치 높여야 지속 가능 인공 지능(AI)은 이미 언론과 기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AI는 콘텐츠 추천 및 배열, 딥 페이크 탐지 및 구독 모델 최적화 등 저널리즘과 오디언스 전반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언론사는 AI를 활용하여 데이터 감지, 추출 및 확인, 기사 및 그래픽 생성, 출판(정렬, 선택 및 우선 순위 지정 포함)을 포함하여 저널리즘 활동 전반에서 수많은 작업을 자동화 하고 있다. 예를 들면 AI는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잡한 절차를 짧게 마무리하고, 대강의 초안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일상적인 업무를 개선한다. 그동안 뉴스 조직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영역으로 보도를 확대하고, 여전히 논쟁적이지만.. 2022. 11. 16.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