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223 '김어준'의 시대, 전통매체는 자기 성찰을 모른다 조선일보는 4월12일자 '김어준은 어떻게 하루에 5000만원을 벌었나' 칼럼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 당일 유튜브 채널 (이하 김어준채널)이 수퍼챗으로 5천5백만 원에 달하는 후원금을 얻은 점을 거론하며 김어준채널을 “괴담에 가까운 가짜뉴스”, "생떼에 가까운 선동" 등으로 비난했다. 전통매체에서 김어준채널을 ‘음모론의 무대’로 낙인찍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김어준을 언론인으로 생각하지도 않는다. ‘제도 언론에 소속된, 객관성과 검증의 규율을 따르는 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김어준처럼 제도 밖에서, 해석 중심의 정치적 담론을 수행하고, 익명 제보나 진영 논리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은 전통매체로부터 욕먹을 '각오'를 언제든 해야 한다. 김어준은 언론인가, 선동인가 이.. 2025. 4. 17. 지역신문의 미래는 지역 독자와의 관계이다 더보기한국 지역신문은 뉴스 시장의 중심에서 밀려났다.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신뢰, 참여, 콘텐츠 자산화라는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지역신문을 비롯 지역언론의 지속가능한 미래는 로컬 지식정보 생태계의 생산자이자 구조 설계자로 자리매김하느냐에 달려 있다. AI 시대는 지역신문에게 또 하나의 위기이지만 제대로 된 성찰과 반전을 주문한다. 지역신문은 지역민에게 '다시 필요한 언론'이 되기 위해 몸부림쳐야 할 때이다. 그것은 지역 공동체의 지성과 교양을 다루는 기록자이자 지역 독자 중심의 미디어이다. 다른 길은 절대 없다. "지역신문의 미래는 규모도 업력도 아니다. 지역 독자와의 관계이다."AI 시대, 지역신문은 스스로 질문해야 한다 21세기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기술의 비약적 .. 2025. 4. 9. 기자의 가설보다 공식적인 사실을 우선할 때이다 현 시점에서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평결 입장(5:3)을 '사실'로 확인할 수 없음에도 이를 가정한 보도를 내보내는 건 언론이 정치적으로 이용당할 수도 있는 몹시 위험한 일이다.이런 소재는 어떤 기자든 소명과 의지를 갖고 보도할 수는 있다. 의혹 제기만으로도 보도의 긍정적 기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끝나면 안 되고 그에 따른 책임도 져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책임은 신속한 사실 확인과 후속 보도다. 데스크는 보도 이후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기자에게 지시하고 후속 보도를 서둘러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이는 ‘무책임한 보도’일 뿐이다. 사법기관 보도는 기자의 가설과 식견보다 명확성(내용)과 객관성(절차)이 우선이다. 공식 절차를 기다리고 검증된 사실에 기반한 보도 원칙을 지켜야 한다. 그게.. 2025. 3. 28. "지역신문, 리더-기자-독자를 바꿔야 산다" 수십여 년 위기에 갇혀 있는 한국의 지역신문은 구조조정, 비용절감과 같은 처방과 지역 기반 콘텐츠 확대, 유튜브 채널 운영이라는 도식을 넘어설 해법이 있는가? 나는 평소 (지역)언론은 독자와의 상호작용으로 매체 신뢰를 높이는 일이 최우선의 혁신이고 본질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해왔다. 이달 초 제17회 지역신문 컨퍼런스에 참여한 뒤 지역신문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하려면 리더, 기자, 독자를 바꿔야 한다는 생각을 가다듬고 이 글을 작성했다. 한국의 지역신문은 오랜 기간 동안 구조조정과 비용절감, 그리고 지역 콘텐츠 강화라는 과제를 중심으로 대응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 방식만으로는 지역 언론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 이같은 조치는 지역매체가 지역 독자의 일상과 공간에서 결합하는 실행과는 거리가.. 2024. 11. 20. 한 소설가의 희망없는 언론변호에 대해 언론 현장을 모르면 언론 비평을 쉽게 하면 안 되는 건지, 현장을 모르는 비평은 무소용한 건지, 언론인은 정말 괴로워 하고 있는 건지, 무분별한 비판은 언론(인)의 영향력이나 책임성에 비해 가혹한 건지 등등 기자 출신 한 작가의 주장과 태도에 동의하기 어렵다. 나는 오히려 더 불편한 비평이 더 많이 쏟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경험한 현장은 (뉴스에 대해) 제대로 된 소통은 저버린지 오래다. 그 요지부동의 관행과 조직 형편 때문에 말이다. 투자가 빈곤하니 20년 전보다 저널리즘 혁신은 더 소수의 고민거리가 되고 말았다. 그런데 이런 언론이 합당한가? 팬데믹 때 워싱턴포스트에 근무하는 한 한국인 기자와 이메일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뉴스 콘텐츠를 생산하려고 동료 기자들과 2~3주의 지난한 토론과 .. 2024. 8. 22. 대학언론 기자들에게-문명사적 전환기에 처한 언론을 직시하라 열정 가득한 젊은 세대를 주축으로 지역 사회 또는 마을 공동체와 협력하는 등 대학 언론의 잠재력은 충분하다. 인터넷 이후 구미권 대학 언론의 변화는 디지털 기반으로, 더 넓은 파트너십으로 성장하는 방향에 있었다. 하지만 학교 내부의 언론사는 유무형의 검열, 재원 확보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학생 기자의 언론 자유를 인정하고 미디어의 내용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제도적인 장치도 필요하다. '학생 기자 자유 언론법' 같은 것이다. 미국 뉴욕주 의회에 계류 중인 이 법은 기사를 취재하거나 보도하는 학생기자 그리고 이들을 보호하는 교수와 자문가들을 보호하는 장치다. 현재 현장에서는 학생 독자들의 외면과 취업 같은 현실적인 문제 등으로 '위기'는 심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언론 환경은 개방성.. 2024. 7. 23. 이전 1 2 3 4 ··· 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