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20 포털사이트, 미디어책무-사용자위원회 구성 포털사이트가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외부 인사들로 구성된 '옴부즈만' 형식의 위원회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네이트닷컴을 운영하는 SK커뮤니케이션즈는 '미디어책무위원회'를 27일 공식 발표했고,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오는 9월 네티즌 참가자를 포함 '열린사용자위원회' 공식 블로그를 발족시킨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뉴스서비스 운영에 대한 사용자의 직접적인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열린사용자위원회’를 위해 사용자 위원을 오늘부터 오는 8월 16일까지 인터넷을 통해 공모한다. 위원장 1인을 포함 13인으로 구성되는 ‘열린사용자위원회’는 다음의 뉴스 편집 및 운영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기구로 서비스에 대한 조언, 비판, 개선사항 등을 담은 칼럼작성 및 온라인 블로그 활동, 정기회의 참석 등을 맡는다. 또 SK 커.. 2006. 7. 27. 뉴욕타임즈와 국내 신문사(닷컴) 오는 11월 치러지는 미국 하원선거를 4개월여 남겨둔 시점에서 미국 주요 신문들이 선거 페이지를 오픈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8개 요소로 의회 선거를 예상하는 페이지를 꾸몄다. 이에 따라 워싱턴포스트는 “The Elephant in the Room-The Abramoff Echo-Money Matters" 등의 관련 페이지들을 런칭했다. 이들 페이지는 종이신문과 닷컴 스태프에 의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뉴욕타임즈도 선거페이지를 화려하게 꾸몄다. 독자들은 일렉션 가이드(election guide)에서 쌍방향 맵을 통해 선거 레이스 현황을 볼 수 있다. 또 현재 격전지에 대한 여론조사 등을 통해 인상적인 전망기준들을 곁들였다. 미국의 양대 신문이 웹 페이지에 공을 들인 '선거' .. 2006. 7. 26. [펌] What’s stopping innovation in today’s news media 전통매체인 신문, TV의 혁신은 뉴미디어 환경에서 대단히 중요한 가치이며 덕목이다. 그러나 재정적이고, 조직문화적이며, 기술적인 이유로 혁신이 지체되거나 수용되지 않고 있다. 한 저널리스트는 이러한 상황을 13가지의 압축적인 것들로 정의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매체 전통, 시장 환경에서 오는 문화적이고 구조적인 이슈들이 혁신을 저해한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1. Short-term financial pressureMost breakthrough ideas are user-focused and technology-driven. They’re designed to fill a need and build an audience — not make a buck as soon as po.. 2006. 7. 25. [펌] Web for 'News'...Print for 'Stories' Telling people news they already know is not a good business model, so, if newspapers are to remain relevant, interpretation is the only way to go in print -- especially in the sports department. By Greg Bowers It was 6:30 p.m. on a Saturday. I was talking to my wife on the telephone and trying to figure out how the next morning's sports section at my paper should look. By all accounts, it had b.. 2006. 7. 24. [펌] 신문사닷컴,동영상 열풍 전통적인 텍스트 기반의 신문들이 바뀌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신문사닷컴이 있다. 몇 해 전부터 신문사닷컴에는 텍스트 뉴스 이외에 가욋일처럼 동영상 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달 희망하는 기자들에게 캠코더를 지급했다. 이런 현상은 비단 국내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외국 신문사닷컴도 마찬가지다. 일례로 워싱턴포스트가 지난달 기자들에게 동영상 장비를 지급하고 동영상 뉴스 생산을 주문하고 있다. 신문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동영상이 대세다”라는 진단 내지 푸념이 부쩍 늘었다. 한두 해 전부터 텍스트 기반 미디어들 사이 불기 시작한 동영상 뉴스 서비스는 이제 다음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신문사닷컴 관계자들은 텍스트에서 동영상뉴스로의 완전한 변신은 아니지만 동영상 뉴스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입을 모은.. 2006. 7. 22. 뉴욕타임즈의 독자와의 소통 뉴욕타임즈는 신문기업이 오늘날 뉴미디어 시대를 관통하면서 해야할 것의 '우선 순위'를 진정으로 꿰뚫고 있는 몇 안되는 곳이다. 뉴욕타임즈는 지금까지 '통합뉴스룸', '멀티미디어 섹션' 등을 통해 활발한 인터넷 미디어 전략을 추진해 왔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을 깊게 이해하고, 그것을 실천하고 있다. 뉴욕타임즈에게 돋보이는 것은 일단 뉴스조직의 간부, 기자들과 독자들간의 소통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뉴욕타임즈가 올해 확대하고 있는 '편집국과 대화하기'는 전형적인 예이다. 뉴욕타임즈의 이 채널은 독자들이 진정으로 궁금해하는 것을 뉴욕타임즈 저널리스트들이 응답함으로써 신문과 독자간의 거리를 줄이고 있다. 이것은 단지 독자를 대하는 철학의 문제가 아니라 뉴미디어 환경에서 신문기업의 브랜드를 시장의 독.. 2006. 7. 13. 이전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