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7

스타기자가 생명줄 신문, 방송 기자들 중 대중의 인기를 끄는 기자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방송기자들은 빼어난 외모와 언변 등 이미지에서 호감을 끄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신문기자들은 상대적으로 얼굴이나 목소리 등 외형적인 것을 보일 기회가 없어 콘텐츠의 내용이 호감의 척도가 됐다. 그러나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서는 신문기자도 외모는 물론 전체적인 브랜드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해가고 있다. 신문사 홈페이지와 기자 블로그를 보더라도 기자들이 자신의 사진을 올려놓는 일이 늘었고, 가족들까지 등장시키는 경우가 많아졌다. 기자들이 독자들과 더욱 친숙해질 수 있는 공간이 생긴 데 따른 것이다. 이 경우 신문기자가 매력적인 외모를 갖고 있다면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선 스타성의 요소를 기본적으로 갖췄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다양한 콘텐츠 .. 2006. 6. 12.
포털뉴스와 지방선거 연관성? 포털사이트 뉴스편집의 정치적 편향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자유주의연대'는 7일 5.31. 지방선거기간동안(5월16일~30일) 매일 4차례(10시, 14시, 18시, 22시)에 걸쳐 5대 포털사이트 뉴스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면서 "강금실 후보에겐 우호적, 오세훈 후보에겐 부정적"인 편집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또 박근혜 대표의 피습을 두고 노혜경 씨의 "성형도 한 모양..."은 미디어다음만이 다뤘다는 등의 내용을 가지고 "선거관련 정치기사 보도의 형평성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견"됐고, "보도의 형평성 등 사회적 책임은 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유주의연대'의 발표를 인용, 보도한 동아일보는 "포털 입맛대로… 정치기사 편향" 기사에서 "일본인 납북자 요코타 메구미의 부친 방한(지난달 16∼17일).. 2006. 6. 9.
'월드컵 올인'-지식대중이 검증해야 한다 '월드컵 올인' 한국 사회가 미쳐가고 있다. 모든 미디어가 '월드컵' 콘텐츠를 폭격처럼 퍼붓고 있다. 서울 광화문은 대형 빌딩들이 내건 월드컵 걸개 그림으로 월드컵 개최국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게 할 정도다. 신문, 방송은 물론이고 포털사이트, DMB 등 뉴미디어 영역에서도 월드컵은 제 철을 만난듯 거침없다. 이 월드컵 콘텐츠는 지난 3월 이후 더욱 폭발적으로 늘었다. 특히 방송사들은 D-100을 기점으로 월드컵 관련 소식을 대폭 늘렸다. 현재는 방송 3사가 독일 현지에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가장 많은 기자와 엔지니어들을 보낸 국가의 반열에 올랐다. 정보를 만들어내는 콘텐츠 기업인 신문, TV가 월드컵 콘텐츠 이외의 것에 주목하지 않는 것은 어마어마한 광고 시장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수백억원을 들여 .. 2006. 6. 7.
"통합뉴스룸은 다양한 고려가 필수적" 신문기업의 통합뉴스룸이 적합한 조직혁신에 포함되는지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그 이유는 통합뉴스룸이 바로 양질의 콘텐츠와 최적화한 비즈니스 결과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신문의 경우 통합뉴스룸의 기대감은 높지만 내부적인 준비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 결과 일부 신문이 진행한 뉴스룸 혁신이 조직 균열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규모가 작은 신문일수록 통합뉴스룸에 대한 의욕이 높다. 그것은 콘텐츠 혁신과 새로운 활로 모색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출구라는 판단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신문의 통합뉴스룸 진행 사례를 볼 때 무리하고 무능력하며 무지하다는 '3無'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한 신문의 경우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뉴스룸 혁신을 공간적으.. 2006. 6. 7.
미디어와 미디어비평 1. 오늘날 미디어는 무엇인가? 전통매체(아날로그 미디어) -> 정보독점 ->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이 지배 디지털 미디어 -> 정보공유 ->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실현, 문화적 글로벌 측면이 지배 2. 미디어 비평지 역할 변화 과거는 취재, 보도 내용과 배경의 분석 -> 정보독점 기업과 정치, 경제, 사회권력간의 관계 오늘날은 취재, 보도 기법과 이용자-시장과의 관계 분석 -> 미디어와 네트워크간, 미디어와 참여지향적 지식대중간의 관계 3. 미디어 비평 콘텐츠 변화 사실 관계, 인과 관계, 권력 관계 조명에서, 전문적, 학문적, 논쟁적 접근 4. 수용자 변화 올드 미디어 문명 시대. 수동적 수용자. 정보 추적과 참여에 한계. 뉴미디어 문명 시대. 능동적 수용자. 정보 추적과 참여에 적극성. 5... 2006. 6. 2.
온·오프 미디어 양극화 우려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달 24일 '인터넷이 바꾸는 미디어산업'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으로 뉴스를 보는 사람 중에서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이용하는 비율이 90%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삼성경제연구소는 "전반적으로 노컷뉴스와 오마이뉴스, 쿠키뉴스 등의 신생 온라인 매체의 기사 클릭 수도 기존 신문에 비해 많았으며 인터넷 포털은 전통 미디어 기업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이 보고서는 신문기업에게는 특히 우울하게 전달되고 있다. 이는 가구당 신문 구독률(1998년 65%에서 2004년 48%)과 하루 평균 신문 읽는 시간(1998년 40.8분에서 2004년 34.3분)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특히 국내 인터넷 사용자 중 46.8%가 뉴스를 보는 주매체로 인터넷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 신문은 6.9%에 그.. 2006.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