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0

UCC와 미디어 1. 이번 월드컵이 UCC 영역에 가져온 변화가 있다면? 또 그런 변화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입니까? 월드컵을 계기로 국내 미디어 시장에는 콘텐츠를 즐기기만 한 수용자들이 스스로 제작하고 참여하는 프로슈머의 시대가 확실히 개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종전에는 부분적으로 제한적으로 가담했지만 이제는 미디어와 함께 움직이고 있고 더욱 더 창조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식대중으로 성장한 미디어 수용자들이 모든 미디어의 속성을 알고, 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이해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소통하며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정리하고 보도하는 미디어로서도 수용자들의 태도, 행위에 대해 새로운 정리가 필요하게 됐습니다. 신문, 방송.. 2006. 7. 10.
FTA 반대 사진 출처 : 뉴시스 2006. 7. 10.
UCC 전략의 메시지 UCC에 대한 고민이 뜨겁다. 웹2.0의 시대,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이용자 참여 콘텐츠의 무대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매체가 UCC를 껴안으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빈곤하다. 특히 신문기업의 UCC 활용 전략은 여전히 시민기자나 블로그 개설, 기사댓글 등의 형태에서 그치고 있다. 더 확대될 가능성은 있지만 신문기업 내외부에서 이것을 제대로 발전시킬 수 있겠는가는 회의적이다. 이것을 한 사회가 축적해놓은 '미디어 문화'라는 틀로 들여다 보면 전통매체 즉 올드미디어의 UCC의 발전이 왜 어려운 것인가를 가늠할 수 있다. UCC란 것은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창조적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유연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 존재하는 개별 신문기업을 하나의 그릇으로 볼 때 이 그릇에 무엇을 담을 것.. 2006. 7. 10.
[펌] 포털 "뉴스 편집기준 못 밝히겠다" 포털 “뉴스 편집기준 못 밝히겠다” 네이트만 “기술 파악뒤 시행 여부 긍정적 검토” 답변 포털 뉴스의 편집 기준은 무엇일까? 한 시민단체가 권한에 비례하는 책임있는 인터넷 뉴스 편집을 위해 포털뉴스의 편집기준을 밝혀달라고 요청한 데 대해, 네이트를 제외한 5개 대형포털이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지난 5월29일 ‘함께하는 시민행동’(시민행동)이 국내 6개 대형 포털업체(네이버, 다음, 야후코리아, 엠파스, 네이트, 파란) 에 보낸 ‘자유와 책임의 인터넷을 위한 질의서’에 대한 포털의 공식입장이 전달됐다. A4용지 26쪽에 달하는 답변서에는 시민행동쪽에서 보낸 질의서에 대한 포털쪽의 답변이 각 사별로 일목요연하게 기재되어 있다. 포털들은 대체로 시민행동쪽의 질문에 대해 ‘취지는 수긍한다’, ‘적극 검토하겠.. 2006. 7. 3.
시민저널리즘의 발전을 위한 제언 국내에 본격적인 시민 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이 나타난 것은 10여년 전이다. 그 무렵 PC통신 이용자들에 의해 ‘보테저널’(1996)과 같은‘1인 매체’와 ‘패러디 창작물’이 쏟아졌다. 전자 게시판에서 이용자들간 활발한 의견 교환을 주도한 이러한 창작물들은 새로운 여론 형성의 견인차로 평가받았다. 보편적인‘논객’문화를 형성한 PC통신은 인터넷 패러디 신문‘딴지일보(1998)’에 의해 새로운 전환을 맞는다. 딴지일보는 철저히 기성 언론 매체의 위선과 부조리를 폭로하는 장치로 우화적인 기법을 동원했다. 여기에 논객들이 참여하면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자 우후죽순으로 인터넷 패러디 신문이 탄생했다. 이러한 흐름은 기존 주류 문화에 저항하는 대안적 성격의 웹진 창간으로 이어졌다. 보다 진지.. 2006. 7. 3.
포털사이트와 시민저널리즘 인터넷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시행된 한 ‘인터넷 사용자 센서스 조사 결과(코리안클릭, 2005.9.)’에 따르면 만 7~65세 인구 중 73.8%가 인터넷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 중장년층도 인터넷으로 빠르게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인터넷 시간 점유율에서 주요 포털사이트 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등이 총 이터넷 이용시간의 47.8%를 차지하며 이용 집중도가 심화하는 가운데, 뉴스/미디어 사이트 전체는 3.2%, 종합일간지 사이트는 1.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포털사이트가 제공하는 미니홈피, 블로그 등 커뮤니티와 검색, 지식정보 등 킬러 서비스(Killer Service)가 이용자들을 유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털사이트는 종합일간지 등 .. 2006.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