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7

[펌] 포털 "뉴스 편집기준 못 밝히겠다" 포털 “뉴스 편집기준 못 밝히겠다” 네이트만 “기술 파악뒤 시행 여부 긍정적 검토” 답변 포털 뉴스의 편집 기준은 무엇일까? 한 시민단체가 권한에 비례하는 책임있는 인터넷 뉴스 편집을 위해 포털뉴스의 편집기준을 밝혀달라고 요청한 데 대해, 네이트를 제외한 5개 대형포털이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지난 5월29일 ‘함께하는 시민행동’(시민행동)이 국내 6개 대형 포털업체(네이버, 다음, 야후코리아, 엠파스, 네이트, 파란) 에 보낸 ‘자유와 책임의 인터넷을 위한 질의서’에 대한 포털의 공식입장이 전달됐다. A4용지 26쪽에 달하는 답변서에는 시민행동쪽에서 보낸 질의서에 대한 포털쪽의 답변이 각 사별로 일목요연하게 기재되어 있다. 포털들은 대체로 시민행동쪽의 질문에 대해 ‘취지는 수긍한다’, ‘적극 검토하겠.. 2006. 7. 3.
시민저널리즘의 발전을 위한 제언 국내에 본격적인 시민 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이 나타난 것은 10여년 전이다. 그 무렵 PC통신 이용자들에 의해 ‘보테저널’(1996)과 같은‘1인 매체’와 ‘패러디 창작물’이 쏟아졌다. 전자 게시판에서 이용자들간 활발한 의견 교환을 주도한 이러한 창작물들은 새로운 여론 형성의 견인차로 평가받았다. 보편적인‘논객’문화를 형성한 PC통신은 인터넷 패러디 신문‘딴지일보(1998)’에 의해 새로운 전환을 맞는다. 딴지일보는 철저히 기성 언론 매체의 위선과 부조리를 폭로하는 장치로 우화적인 기법을 동원했다. 여기에 논객들이 참여하면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자 우후죽순으로 인터넷 패러디 신문이 탄생했다. 이러한 흐름은 기존 주류 문화에 저항하는 대안적 성격의 웹진 창간으로 이어졌다. 보다 진지.. 2006. 7. 3.
포털사이트와 시민저널리즘 인터넷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시행된 한 ‘인터넷 사용자 센서스 조사 결과(코리안클릭, 2005.9.)’에 따르면 만 7~65세 인구 중 73.8%가 인터넷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 중장년층도 인터넷으로 빠르게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인터넷 시간 점유율에서 주요 포털사이트 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등이 총 이터넷 이용시간의 47.8%를 차지하며 이용 집중도가 심화하는 가운데, 뉴스/미디어 사이트 전체는 3.2%, 종합일간지 사이트는 1.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포털사이트가 제공하는 미니홈피, 블로그 등 커뮤니티와 검색, 지식정보 등 킬러 서비스(Killer Service)가 이용자들을 유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털사이트는 종합일간지 등 .. 2006. 7. 3.
포털뉴스 해법, 서두르면 안된다 포털뉴스, 이것이 해법이다 포털사이트 뉴스 서비스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점화하고 있다. ‘포털 뉴스’에 대한 공방의 핵심은 포털 뉴스를 저널리즘의 무대로 끌어올릴 것인가 여부 즉, 포털을 언론으로 규정할 것인가이다. 포털뉴스로 파생되는 여러 현상에 대한 분석과 개념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신문법 개정안은 통과됐고, 포털뉴스는 결과적으로 ‘법’의 사각지대에 놓였다. 포털사이트를 둘러싼 논란들을 사전에 충분히 거르지 않고 서둘러 처리한 결과로 재론돼야 할 여지는 있다. 최근엔 포털뉴스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편향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사회적 책임과 의무는 요구받지 않는 현재의 조건에서는 포털사이트가 위험한 권력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치권도 포털사이트를 언론으로 간주하고 공.. 2006. 6. 22.
[펌] 월드컵 맞아 'UCC 잡기' 붐 월드컵 맞아 'UCC 잡기' 붐 기사, 기자의 전유물이란 편견 깨지나 언론사들이 월드컵을 맞아 독자를 생산자로 참여시키는 작업에 관심을 쏟기 시작했다. 그동안 독자가 생산한 콘텐츠(UCC)는 기사에 대한 의견 정도로 취급했던 풍토에서 벗어나 최근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내부 기자들과 똑같은 무게를 지닌 기사로 다루는 작업이 시작됐다. 기존 언론사들도 시민기자를 활용해 성장한 오마이뉴스처럼 참여형 미디어로 변신하고 있다. 기사는 기자의 전유물이라는 편견을 버려! 언론사 가운데는 일간스포츠와 한겨레가 UCC활용에 적극적인 편이다. 일간스포츠는 월드컵 때 해외통신원과 W리포트란 두가지 방식으로 UCC를 활용하고 있다. 해외통신원은 기존 언론사들이 다루지 않는 부분을 다룬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 1.. 2006. 6. 19.
NYT의 디지털스토리텔링 NYT의 멀티미디어 뉴스 서비스가 또다시 인상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NYT는 홈페이지를 통해 알 자르카위 사망 관련 기사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두고 '쌍방향 정보(Interactive Feature)'를 선보였다. 쌍방향 정보에는 오디오, 사진이 결합된 서비스는 물론이고, 비디오 뉴스도 한 프레임 안에서 제공되는 등 콘텐츠 포맷이 서로 다른 뉴스가 모두 묶였다(패키지 서비스). 모두 알 자르카위 사망을 다루는 이 패키지 뉴스에는 AP통신의 동영상 콘텐츠가 결합됐다. 동영상 클립은 총 5개의 내용으로 준비됐다. 자체적으로 제작한 12장의 포토와 오디오는 동영상 콘텐츠와 적절히 안배됐는데, 인터넷 미디어의 특성을 잘 살린 슬라이드 형태의 사진과 오디오, 그리고 사진에 결합된 지도 등은 상황을 이해하는 데.. 2006.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