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0

[펌] 건빵 도시락에서 신생아 학대까지…뉴스 흐름 변화시키는 인터넷 각종 혐의로 도피행각을 벌이던 전 대우그룹 회장 김우중씨가 지난달 5년 8개월 만에 돌아왔다.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는 얘기는 있었으나 그가 ‘한국인’임을 의심치 않던 언론이었다. 그런데 귀국 이튿날 “김우중씨는 프랑스인”이라는 내용의 이데일리 보도()가 인터넷을 타고 전달됐다. 이 기사는 다른 매체들의 눈길을 끌었고 연이어 보도됐다. 통신, 신문, 방송할 것 없이 법적으로 한국국적을 ‘당연상실’한 ‘프랑스인’ 김씨를 다루면서 김씨에 대한 여론은 더욱 악화됐다. 그렇지 않아도 국적법 문제 등으로 민감하던 국민들에게 김씨의 자발적인 국적 포기는 동정론이나 공적 재평가 여론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했다. 인터넷, ‘세상’을 흔들다 진앙지는 인터넷이었다. 신문, 방송, 통신 등의 수많은 다른 매체들이 김씨에게 매.. 2005. 7. 4.
[펌] 언론광장, 상반기 포럼 결산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매체가 계속해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이럴 때 미디어산업의 올바른 육성을 위해 관계부처간 의견 조정과 매체업계와 수용자 의견을 골고루 반영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미디어위원회(가칭) 구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지난 1일 오후 경기도 양평 한국방송공사 남한강수련원에서 열린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 2005년 상반기 워크숍에서 '미디어 환경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를 (총론)발제한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연구이사의 주장이다. 그는 "디지털기술의 발달은 계속 새로운 매체와 서비스를 토해낼 것"이라며 "이들 매체가 쏟아내는 수많은 정보는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하지만 중장기적인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 2005. 7. 4.
[펌] 매체환경, 위기인가 기회인가 (양평=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빅뱅'으로 일컬어지는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미디어 기업과 수용자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놓고 전-현직 언론인과 언론학자, 언론운동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토론을 펼쳤다.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이 '미디어 환경 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란 주제 아래 1-2일 경기 양평의 남한강연수원에서 개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매체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수용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투명하고도 공정한 정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첫날 총론 주제발표를 맡은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이사는 △전통 미디어의 쇠퇴 △인터넷매체의 성장 △매체융합과 미디어그룹의 등장 등의 추세와 함께 저널리즘의 위기상황에 대해 설명한 뒤 "관계부처의 이견을 조정하고 미디어업계와 수용.. 2005. 7. 4.
그 많던 '노빠'는 어디로 갔는가? “열린우리당은 핵심 지지층이 없는 정당이 됐다”. 우리당 유시민 의원은 최근 “우리당 지지율의 급속한 하락은 외연의 축소가 아니라 핵심 지지층의 붕괴에 따른 것”이라면서, “낮은 지지율 등 위기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한 후 완전한 재출발”을 요구했다. 유 의원의 발언은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탄생시킨 인터넷 공간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 인터넷은 ‘노사모’와 개혁 성향을 견지하는 ‘논객’들의 무대로 집권 초기 이들의 열렬한 지지가 뒷받침됐다. 여의도에서 대선승리 1주년을 기념해 노사모가 주최한 "리멤버1219"행사에 참석한 노무현대통령이 지지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그러나 집권 이후 친노(親盧) 사이트들은 현안에 따라 사분오열하면서, 그 영향력도 줄어들어 여권의 위기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대북송금 특검법.. 2005. 6. 29.
잘 나갈 때 '혀끝' 조심하셔야지 여론조사기관인 R&R가 지난 13일 공개한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은 17.4%. 전달에 비해 8.3% 하락한 수치다. 이러한 하락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면서 여권의 시름은 깊어가고 있다. 우리당 민병두 의원은 이미 지난번 당 워크숍에서 “여간해선 흔들리지 않는 여당 지지율인 22~23%마저도 각종 의혹 사건으로 깨질 수 있다. 그럴 경우엔 정말 위기다”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여당의 지지층은 20~30대 대졸 이상의 화이트 칼라층, 지역적으로는 호남, 충청, 수도권이 꼽힌다. 전문가들은 핵심적인 지지 기반이 한꺼번에 등을 돌리고 있다고 분석한다. 여기에 우리당은 지난 4ㆍ30 재보선 참패 이후 뚜렷한 호재가 없는 상태다. 3~4월 독도분쟁 등과 관련 대일 강경발언을 쏟아낸 노대통령의.. 2005. 6. 23.
미디어비평 새 틀 짜야 미디어비평 새틀 짜야 [미디어오늘에 바란다]-미디어오늘 지령 500호에 부쳐 매체비평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 과거 한국 언론은 정치주의적 비평과 감시에 구속될 수밖에 없는 ‘권언유착’이 존재했지만 지금은 뉴미디어에 의해 업무-조직-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신문, 방송, 통신 등 미디어 전 분야에서 가속화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진입이 그것이다. 오프라인보다 더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온라인 시장의 인터넷신문, 포털사이트 등은 이미 기성매체를 압도한지 오래다. 매체 수용자는 지식대중으로 성장해 기성매체와 경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미디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기자 집단은 제 역할과 영향력을 다른 곳에 내어 주면서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콘텐츠, 나아가 저널리즘과 산업.. 200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