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1217 "태만하고 낡은 저널리즘 혁파돼야" "주류 언론은 왜 노충국 씨 사건을 바로 다루지 않았다고 생각하세요?" "인터넷 언론의 초기보도는 신뢰할 수 없다는 태만한 저널리즘, 그리고 취재원, 출입처와의 유대관계를 고집하는 퇴행적인, 고질적인 관행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언론은 이제 성장한 지식대중과 함께 주류언론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들과 함께 협력하고 대화하는 모델을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KBS-TV와 '대화'하다 2005. 11. 11. [펌] 이용자가 원하는 기사 쓰는 시대 도래 "이용자가 원하는 기사 쓰는 시대 도래" 노컷뉴스 2주년 기념 심포지엄 “온·오프 통합뉴스룸이 전세계의 대세인지는 아직 의문이다. 적어도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향후 2년간 온·오프 통합뉴스룸 이행계획을 수립했고 2007년 봄에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CBS 노컷뉴스가 탄생 2주년을 맞아 지난 9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심포지엄이 열렸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사승 숭실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온라인 강화전략을 선언한 뉴욕타임스(NYT)를 사례로 들어 뉴스룸 통합의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 ‘전세계 저널리즘의 화두 - 온·오프 통합 뉴스룸을 말한다’를 주제로 지난 9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열린 노컷뉴스 2주년 기념 심포지엄. ⓒ권혜선 기자 김사승 교수는 "뉴스 통합룸은 뉴스조직과 생산문화의 통합을 의미하기도.. 2005. 11. 11. 웹 토론페이지에 기자 개입 중요하다 BBC 토론페이지, "운영자 개입 주목돼" 토론 페이지, 운영자 개입 정당한가? 지난달 선보인 BBC 웹 사이트의 코멘트 시스템(토론 참여-기사의견쓰기)은 두가지 타입이 혼용된 베타판을 내놨다. 일단 이 서비스는 비회원인 경우 기사의견 쓰기는 웹에 바로 노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회원인 경우 'reactivity moderated'에서는 바로 웹에서 노출될 수 있다. 또 'fully moderated'일 때는 운영자의 검토 뒤 노출된다. 그리고 기사의견 쓰기에는 이용자간 '추천'과 '불평(신고)'기능이 첨가됐다. 이같은 이용자들의 기사의견 쓰기에 편집자의 결론을 덧붙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BBC의 기사의견 쓰기는 폭로, 광고 등을 금하는 등 'The House Rules'에 의해 엄격히 관리된.. 2005. 11. 9. '종이신문의 미래를 생각함' 국내외에서 종이신문의 미래를 둘러싼 논의들이 쏟아지고 있다. 예컨대 2일밤 미국 콜롬비아대에서는 'The Changing Media Landscape, 2005'이란 주제로, 4일 한국언론재단에서 '신문의 위기-원칙으로 돌아가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도 마찬가지다. 아쉽다면 모두 미국에서, 또 미국인 학자의 입에서 전달되는 발언이라는 점인데, 그래도 우리가 여기서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면 바로 '이용자와의 접점 형성'과 '콘텐츠 혁신'이라는 점이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이 두 가지 테마가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서 미국의 미디어 전문가들은 '이용자의 통제'와 '쌍방향성', '인수 합병'이란 환경변화로 설명한다. 저널리스트가 독자들에게 기사를 전달하기 위해 뉴스를 선택하고 뉴스가 서열화하는 것은 독.. 2005. 11. 4. [펌] 국내 일간지 통합뉴스룸 도입현황 "통합뉴스룸 도입은 뉴스 생산 시스템의 변화다. 정서적 합의만으로는 부족하다. 신문사의 정체성과 향후 방향까지 결정하는 일이다. 비용도 발생한다. 조직개편과 인력재배치도 불가피하다. 기자들의 재교육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독자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생산된 기사를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물리적 통합 아닌 화학적 통합 중요 국내 일간지 통합뉴스룸 도입현황 지난 8월초 뉴욕타임즈는 통합뉴스룸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07년까지 오프라인 편집국과 온라인 편집국을 일원화해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하루 발행부수가 100만부가 넘는 일간지와 하루 페이지뷰가 5억 4,000건에 이르는 온라인 사이트가 앞으로는 온오프의 구분 없이 하나의 편집국 시스템의 의해 기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뉴욕타.. 2005. 11. 2. 이제 화두는 '통합뉴스룸' 내년 종이신문업계와 방송 등은 인터넷을 주력 서비스 플랫폼으로 상정하는 통합뉴스룸 시스템 구축을 포함 '혁신'의 계절을 겪을 전망이다. 올해 이미 조선닷컴, 한겨레신문 등이 의욕적으로 통합뉴스룸을 시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등 변화의 조짐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가운데 CBS노컷뉴스는 새로운 브랜드로 인터넷에서 뉴스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2년만에 통합뉴스룸의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번 노컷뉴스의 통합뉴스룸은 기술적이고 시스템적인 통합으로 판단되는데, 문화적인 통합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새달 9일 시연회와 함께 열리는 심포지움은 눈여겨 볼 내용들이 있다. 기대되는 행사다. 2005. 10. 28. 이전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