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22

네이버 언론사별 페이지…'조선' 고심중 논란이 있던 네이버의 언론사별 페이지가 21일 예정대로 런칭됐다. 네이버는 뉴스박스 내 언론사별 페이지를 신설하고 이용자가 로그인과 상관없이 직접 최대 4개 언론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온라인미디어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언론사별 페이지에 합류한 언론사는 일간지는 경향, 국민, 동아, 서울, 중앙, 한겨레 등 총 6개 등 총 28개 매체가 참여했다. 언론사별 페이지에 참여하는 언론사들은 뉴스박스 내 페이지에서 평균 8개 이상의 기사를 편집한다. 이와 관련 일찍부터 참여의사를 밝혀온 한겨레측은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한 관계자는 "트래픽 유입 효과를 내기 위해 잦은 업데이트를 할 것"이라고 의욕을 내비쳤다. 또 일부 언론사는 확대된 인터넷뉴스 부서를 통해 기발하고 참신한 뉴스생산을 독려하고 있으며.. 2006. 12. 21.
조선일보, 동영상-UCC로 젊은 독자 유혹 조선일보 기자들에게 이제 동영상 취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조선일보는 최근 사실상 편집국 전체 기자들을 대상으로 동영상 장비인 캠코더를 지급하기 시작해 20일중 마무리한다. 이미 100여대의 캠코더를 나눠준 데 이어 편집국, 출판국, 소년조선 등의 차장대우 이하 취재기자 160명에게 동영상 카메라를 지급한다. 온라인미디어뉴스에 따르면, 기자들에게 지급되는 장비는 미니 캠코더 스타일의 산요 HD 1A 또는 디카 스타일의 펜탁스 A10 두 기종으로 이중 기자들이 장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아래 사진중 우측은 산요 Xacti VPC-HD1A - 535,000원. 좌측은 펜탁스 옵티오 A10 - 244,490원.) 이들에게는 동영상 교육을 진행해 신문기자들의 참여의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 .. 2006. 12. 20.
"포털 뉴스 댓글 없애야" 최근 네이버 뉴스 서비스 개편안의 핵심은 뉴스검색시 아웃링크 도입이다. 인터넷 사이트 조사기관들은 이 아웃링크 덕택(?)에 언론사 사이트로 유입되는 방문자수와 페이지뷰가 늘었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에서는 그것은 특별한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포털 종속이 심화할 것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현재로서는 네이버 뉴스 검색 아웃링크로 기대할 수 있는 언론사의 이득은 없다고 본다. 물론 메이저신문들에겐 별로 효과가 없을지 모르지만, 마이너신문들은 200%가 넘게 UV가 증가한 곳도 있는 등 효과(?)가 있다. 그러나 20%든, 200%든 수치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네이버와 다음 등 모든 포털은 PV, UV가 모두 늘었다. 뉴스쪽이 줄었다는 네이버측의 이야기가 있지만 그것은 전체 구.. 2006. 12. 18.
[펌] 조선닷컴 ‘웹2.0’정신 실현하나 조선닷컴 ‘웹2.0’정신 실현하나 RSS서비스 진보매체에도 개방 “콘텐츠 변화 부족” 지적도 조선닷컴의 개편이 ‘개방과 공유’로 표현되는 웹2.0의 정신을 실현하려는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 조선닷컴은 5일 전면 개편을 단행, 자신이 원하는 뉴스를 골라 볼 수 있는 ‘마이홈’ 서비스를 시작했다. ‘마이홈’에서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Rich Site Summary) 기능을 이용, 필요한 기사를 자신의 개인홈페이지나 블로그, 미니홈피로 퍼갈 수 있다. 조선닷컴의 이번 개편을 통해 RSS의 대상이 되는 언론사에 경향신문, 한겨레, 오마이뉴스가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보수적 논조를 유지해온 조선일보가 경향, 한겨레, 오마이뉴스 등 진보적 매체의 콘텐츠에 문호.. 2006. 12. 14.
[펌] '조선닷컴 2.0' 1주일…언론계 눈길 '웹2.0'을 표방하며 지난 5일 선보인 조선닷컴(www.chosun.com)의 사이트 개편이 언론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기능을 활용한 '마이홈'(myhome.chosun.com)서비스. 조인스닷컴, 동아닷컴, 인터넷한겨레, 미디어칸, 오마이뉴스 등의 기사, 네티즌들의 블로그 뿐만 아니라 뉴욕타임스, BBC, CNN 등의 해외 언론사 뉴스도 조선닷컴 안에서 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조선닷컴은 또, RSS서비스를 강화해 네티즌들이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쉽게 기사를 퍼갈 수 있게 했다. RSS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오프라인에서 비우호적이었던 언론사들을 온라인에 연결해 놓은 점은 조선닷컴의 개편이 주목받는 이유다. ▲ 지난 5.. 2006. 12. 11.
CNET.com 수석 편집인 제임스 김 세계적인 온라인 웹진 CNET.com의 수석 편집인 제임스 김(James Kim)이 시신으로 발견됐다. 김 씨는 지난달 25일 가족과 함께 떠난 여행 도중 오리건주 시스키유국립공원에서 폭설로 길을 잃었다. 그는 조난당한지 일주일만인 2일 오전 구조요청을 위해 홀로 도보로 출발했다가 소식이 끊겼다. 남아 있던 김 씨의 가족들은 지난 4일 오후 구조에 나선 헬리콥터에 발견돼 극적으로 구조됐다. 그러나 김씨는 결국 숨진 채 발견됐다. CNET.com은 6일 낮(현지시각)으로 올린 기사에서 "김씨는 아버지로서 고난을 헤치기 위해 최선을 다한 영웅이었다"는 독자의 추도글을 인용했다. 또 CNET.com은 '김씨의 주검이 발견됐다"는 블로그를 통해서도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 글에는 현재 전세계 독자들이 올린 58.. 2006.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