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BC95

SBS '김연아 뉴스' 인기몰이 비결 SBS가 김연아 콘텐츠로 인터넷 뉴스 인기몰이에 나서 화제다. SBS는 최근 2008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피겨선수권 대회를 독점 중계한 데 이어 인터넷으로 영상은 물론이고 텍스트 기사를 재가공, 포털에 제공했다. 온라인미디어뉴스 보도에 따르면 우선 홈페이지 초기화면 에서 경기 하이라이트와 안도 미키 선수의 기권 장면 등의 뉴스를 구성했다. 특히 파견된 중계진의 일원인 PD가 생생한 현장 사진을 곁들인 ‘현장찍찍’도 제공, 큰 인기를 모았다. SBS 인터넷뉴스부의 한 관계자는 “[스웨덴=SBS 조시우 스포츠PD] 등 PD 바이라인으로 기사를 내보내는 건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스웨덴에서 송고한 사진과 텍스트 설명문을 웹 하드에서 내려받아 편집해서 내보냈다”며 과정을.. 2008. 3. 24.
방송 프로그램 장르 혼합 현상에 대해 예능, 시사교양, 드라마와 같이 방송프로그램에는 각각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장르가 나뉘어져 있다. 하지만 요즘 방송 프로그램을 보면 이 프로그램이 예능 프로그램인지, 시사교양 프로그램인지 모호할 때가 많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시사교양프로그램의 경우 쉽고 재밌는 것을 선호하는 시청자의 취향에 맞춰 다소 딱딱할 수 있는 정보를 예능 프로그램의 장점을 활용해 전하고 있고,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 기왕이면 의미 있는 웃음을 웃길 바라는 시청자를 위해 공익적인 면, 정보적인 면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인데. 물론 이런 현상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방송 프로그램 마다 어디서 본 듯한, 비슷비슷한 형상을 하게 되는 아쉬움을 낳고 있다. 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도 좀 더 개성 넘치는 방송 프로그램이.. 2008. 3. 8.
TV가 역사를 조명하는 것에 대해 MBC 문화창조 코너를 위해 미리 준비한 인터뷰 내용입니다. Q. TV에서 역사를 비추거나 반영했던 예를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A. 방송이 ‘역사’를 다루는 방법은 다양한 형식이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는 대표적인데요. 2005년 첫방송을 했던 는 드물게 근현대사를 다루면서 사회적 반향이 컸습니다. 6.25., 개천절, 삼일절 등 기념일에 내놓는 특집 프로그램이나 특집 드라마도 빼놓을 수 없는데요. 주로 기념일과 관련된 사건이나 인물에 초점을 맞춰서 역사를 조명하는데요. 예를 들면 , , 등이 있습니다. 특히 MBC가 제4공화국, 제3공화국 등 공화국 시리즈 드라마를 내놓고 한국 격동의 정치현대사를 그렸던 것도 기억에 남습니다. 드라마도 최근 사극 트렌드에 힘입어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1980년대 시.. 2008. 3. 1.
[up] MBC 김은혜 기자 "정치 때문 아니다" MBC 김은혜 기자가 최근 회사에 사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MBC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김 기자가 이틀 전 사표를 제출했고, 12일 오늘 MBC 보도국 간부가 이를 수용했다고 전했다. 김 기자의 사표 이유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명박 당선자 측의 청와대행 제의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한 미디어 비평지 기자는 "김 기자가 새 정부의 청와대 부대변인으로 자리를 옮길 것이 유력시된다"고 전했다. 김 기자가 지난 15년간 재직 중인 MBC를 떠나 사실상 정계로 진출한데 대해 네티즌들은 적잖은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있다. 김 기자는 그간 명쾌하고 차분한 뉴스 진행과 리포트로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받아온 대표적인 방송 기자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기자는 이날 오후 4시 40.. 2008. 2. 12.
바람직한 시청률 조사는? Q. 현재 시청률은 어떻게 조사되고 있는지? A. 정확한 시청률을 산출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은 전국의 모든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를 실시하는 전수조사입니다. 그러나 국내 조사현실상 불가능하므로 표본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6개 광역도시 또는 전국의 주요도시에 거주하는 2000여 가구를 패널로 하며 학력과 소득, 사회적 지위나 직업과 관계없이 조사 대상자에 넣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들 패널로 선정된 가구의 TV 수상기에는 시청률을 측정하는 미터기를 부착합니다. 피플미터 방식이라고 불리는 이 시청률조사방법은 패널 가구의 구성원들이 TV를 시청할 때 누가 시청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패널가구 구성원들이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이렇게 패널 가구로부터 조사된 결과는 밤사이 모뎀을 통해 시청률 .. 2008. 2. 12.
올바른 TV시청 습관은? 1. TV가 시청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TV라는 것은 고정된 장치입니다. 모든 사람들을 장시간 몰입하게 만듭니다. 당연히 TV로 인한 신체의 이상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만, 시력저하, 편식 등은 물론이고 정신적으로도 창의성을 떨어 뜨리게 됩니다. 바보상자라고 그러는 것은 그러한 맥락입니다. 여유시간도 TV보는 것으로 때우기도 합니다. 또 심각한 경우 우울증이나 대인기피증 등 정신질환을 조장하는 온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오죽하면 시민단체에서 TV안보기 운동까지 벌이겠습니까. 여기에는 TV가 유도하는 일정한 틀에 의해 사람들이 중독되는 현상들에 대한 경계심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TV가 가장 강조하는 가치나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하면 시대에 뒤쳐진 사람, 조직으로 평가되기 십상입니다. 즉, 잘.. 2008.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