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95 방송의 경제(돈) 관념 국민 1인당 빚이 연간 소득과 맞먹는 수준으로 확대되는 등 가계부채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빚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고, 부동산시장은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 데다, 예금금리는 낮고 대출금리는 턱없이 높기만 하다. 경제소식에 귀가 쏠리는 이유다. 그렇다면 방송은 경제를, 돈을 어떻게 투영하고 있을까? 시청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해주고 있나? 돈 씀씀이에 대해서는 또 어떻게 표현하고 있나? 방송의 경제(돈) 관념을 집중 분석해 본다. Q. 방송에서 경제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입니다. 이 프로그램이 시청자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A. 경제라는 것이 딱딱하고 어려운 영역이라고 하는 선입견을 해소시켜준 점이 인상적입니다. 가까운 데서부터, 일상에서부터 재대로 이해하고 응용.. 2010. 4. 23. MBC <후 플러스>에 대해 Q. 의 특징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A. TV뉴스로 제공된 현안에 대한 후속보도를 합니다. 그 이후의 변화나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에 대해 다룹니다. 뉴스의 중심이 되는 인물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조명해봅니다. 뉴스의 심층성을 꾀하는 것이지요. 이런 시사 프로그램들의 중요성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사안에 대해 이면에 대해서, 본질적인 것에 대해서 생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죠. Q. 시청자들은 에 대해서 우리 사회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취재·보도에 최선을 다 하는 것 같다는 평을 전해 주고 계십니다. 하지만 일부 소재의 경우, 한쪽에 비중을 많이 다룬 느낌을 받을 때가 있어서 아쉽다는 의견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 주세요. A. 시사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 2010. 3. 19. MBC 일밤 <우리 아버지> 코너에 대해 Q. 의 특징에 대해(다른 예능 프로그램과 차별화되는 점을 중심으로) A. 공익예능의 부활, 서민예능의 창조라고 불리는 코너는 퇴근길 회식 중인 아버지들을 찾아가 삶의 애환을 듣고 ‘아버지’를 이 시대의 주인공으로 그려내는 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션을 완수해가는 연예인들 중심의 리얼 버라이어티가 갖는 스토리텔링의 한계를 우리의 아버지들은 삶 그 자체를 그대로 보여주며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지요. 취중에서 만난 다양한 아버지의 크고 작은 행복과 고민을 어떤 거름장치 없이 보여준다는 점에서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즉, 이 시대 속을 살아가는 평범한 아버지들을 통해 시청자들은 감동을 느끼게 되는 거지요. 더구나 과거를 회상할 수 있는 소품들 예를 들면 공중전화기나 통닭구이 한 마리, .. 2010. 2. 19. TV프로그램 배경음악에 대해서 드라마나 프로그램 내용보다 배경음악이 먼저 떠오르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드라마보다 더 인기를 얻는 배경음악도 있다. 그리고 그런 배경음악은 문화콘텐츠로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고 있다. 에서는 그동안 인기 있었던 배경음악은 무엇이고, 드라마나 프로그램에서 배경음악의 역할과 배경음악의 제작과정, 그리고 프로그램의 부가 콘텐츠로서의 가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 등 작품을 훨씬 더 값지게 만들어주고 있는 배경음악의 모든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Q. 과거에 비해서 배경음악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시청자 문의가 늘고 있습니다.) 또 배경음악이 큰 인기를 끄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1)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음악의 쓰임새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공간을 .. 2010. 1. 14. MBC <경제매거진M>에 대해서 이 포스트는 MBC 'TV돋보기' 코너를 위해 미리 작성된 답변 내용입니다. 방송은 12월25일 예정돼 있습니다. Q1. 의 특징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A. 시청자 입장에서 돈 모으는 방법, 돈을 아끼는 방법, 돈을 굴리는 방법 등 실속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또 ‘돈버는 M' 코너의 경우 실제로 재무 컨설턴트가 시청자 가정을 방문해 좋은 가이드를 제시하는 맞춤 재테크 정보 프로그램입니다. 주택, 먹을 거리, 취업 등 경제생활과 관련된 현안들을 중점 조명해준다거나 건강과 의학, 난방기구 절약사용법, 포인트 활용법 같은 생활팁, 요리법 등 경제 뿐만 아니라 실생활의 살아 있는 소재들을 망라하는 생활 밀착형 정보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시청자가 직접 참여하거나 해법을 찾는 참여형 솔루션 프로그램입니.. 2009. 12. 24. 가수들의 `따로 또 같이` 활동에 대해서 경쟁도 하지만 서로 연합해서 새로운 팀(분위기)을 만들어 활동 하는 방송풍토가 새로이 나타나고 있다. 가수의 경우 서로 피쳐링을 해주고 객원가수로도 활동하고, 같은 그룹이라 할지라도 각자 활동한다거나 혹은 다른 그룹과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해서 또 다른 활동을 하고, 연기자조차 옛 인연을 이유로 까메오 출연을 하는 등 서로 재능을 합치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는 것. 이러한 변화는 방송(대중)문화를 더욱 다양하게 하고 보는 재미를 더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보자면 오히려 문화적인 다양성을 해치는 요인이 되기도 하는데.. 지나치게 계산된 마케팅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방송에서 봤던 사람을 또 봐야 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는 것. 에서는 방송에서의 이러한 문화에 대해 살펴보면서 그 장단점은 .. 2009. 11. 3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