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597

뉴욕타임스 유료화 본격시동의 파장은? 뉴욕타임스가 17일 본격적인 뉴스 유료화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997년, 2005년에 이어 세 번째인 이번 뉴스 유료화는 뉴욕타임스로서는 유료화의 완결 버전으로 캐나다부터 시행하고 오는 28일 미국과 세계 전역으로 확대한다. 이번 유료화 프로그램은 일정한 아티클 건수를 초과해서 보려면 유료회원으로 등록해야 하는 종량제(metered model)로 웹 사이트를 포함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뉴욕타임스의 모든 온라인 서비스에 적용됐다. 접속하는 플랫폼 별로 다르게 책정된 요금제는 첫째, 뉴욕타임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뉴욕타임스닷컴을 무료로 보기 위해서는 1주에 3.75달러(월 1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둘째, 제한없이 웹 사이트를 보고 태블릿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1주에 5달러(월.. 2011. 3. 18.
한겨레, 아이폰 앱 이어 태블릿PC앱도 곧 내놓을듯 한겨레는 지난 2일 아이폰용 뉴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공개했다. 한겨레신문이 오랜 검토 끝에 내놓은 아이폰 앱은 지난 2월 공개된 안드로이드용 앱과 함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첫 개별 뉴스 앱이다. 한겨레신문 아이폰 앱은 뉴스, 여론, 매거진, 하니TV, 지면보기, 제보 등 총 6개의 카테고리를 제공한다. 실시간 속보를 비롯 웹에서 제공되는 프리미엄 칼럼 '훅(Hook)' 콘텐츠, 한겨레21을 비롯한 매거진은 편집자가 선별해 서비스한다. 특히 하니TV는 등 한겨레에서 직접 제작하는 영상콘텐츠를 제공한다. 한겨레신문의 한 관계자는 "지면보기는 한시적으로 무료제공한다"면서 "제보기능을 비롯 트위터, 미투데이 전송하기를 통해 독자들과 소통장치도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른 언론사에 비해.. 2011. 3. 7.
조선, 콘텐츠 집대성한 아이패드 뉴스 앱 출시 조선일보가 7일 아이패드 뉴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내놨다. 온라인미디어뉴스 보도에 따르면 조선일보 앱은 뉴스-포토-신문지면보기 등 세 가지 방식을 지원하며 지면서체인 조선고딕체를 기반으로 태블릿PC용 전용서체를 개발해 다른 언론사에 비해 가독성을 높였다. 콘텐츠는 뉴스, 경제, 오피니언, 스포츠·연예, 라이프 등 5가지 섹션으로 제공된다. 경제, 날씨, 속보는 실시간으로 서비스된다. 포토를 비롯 영상, 인포그래픽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조선미디어그룹의 콘텐츠 자원을 최대한 활용했다. 마치 조선닷컴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구성이다. 서비스 UI는 크게 두 가지 형태의 기본 템플릿을 제공한다. 프론트 페이지 등 주요 화면은 좌우 2단으로 구성했으며 나머지 페이지는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했다. 편집을 자동화.. 2011. 3. 7.
`혁신하면 된다`는 `더데일리`와 냉혹한 현실 사이 아이패드 전용 유료 신문 '더데일리(The Daily)'가 지난 2일 공개됐다. 2년 전부터 뉴스 유료화를 현실화하고 있는 미국의 언론 재벌 루퍼트 머독과 앱 스토어라는 모바일 생태계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애플이 공동으로 기획했다. 하루 한 차례 발행되는 '더데일리'는 총 100페이지 분량으로 뉴스, 가십, 오피니언, 아트&라이프, 앱&게임, 스포츠 등 모두 6개 섹션으로 구성돼 있다. 신문이라기보다는 또 하나의 '와이어드' 앱을 보는 듯이 비주얼 매거진의 콘셉트를 잡았다. 관련 사진과 HD급 동영상, 3D그래픽, 오디오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들이 직관적인 프레임 내에 버무려져 있다. 심지어 각 콘텐츠들 사이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나 독자와의 소통 툴도 맞물려 돌아간다. 이런 서비스를 담아내는 인터페이스.. 2011. 2. 14.
뉴스캐스트 개편…지면정보 제공은 논란 포털서비스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이 13일 초기 화면의 뉴스캐스트 박스 인터페이스를 개선했다. 이번 개선으로 뉴스캐스트 공간이 크게 넓어져 네이버 초기화면에서 자리하는 비중이 커졌다. 뉴스캐스트에 노출되는 기사 수도 기존 7개에서 9개로 확대됐고, 언론사 선택에 따라 기본형(이미지 기사 1개+텍스트 기사 8개) 혹은 이미지형(이미지 기사 4개+텍스트 기사 2개) 등으로 제공된다. NHN은 또 뉴스캐스트 박스 우측에 기본형 언론사들을 랜덤으로 노출하고, 주제별 보기에서 기사제목 뒤 언론사명을 클릭할 경우 뉴스캐스트 영역의 해당 언론사 편집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언론사가 편집한 모든 뉴스를 실시간으로 네이버내 뉴스캐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원하는 언론사 뉴스를 볼 수 있는 구독/.. 2011. 1. 14.
지상파방송사 뉴스룸도 소셜 부흥 나서나? 지상파방송사들이 최근 소셜미디어 관련 태스크포스팀을 꾸리거나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본격적으로 SNS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SBS는 지난 해 12월 SBS미디어홀딩스 내 소셜미디어TFT를 만들어 종합적인 점검에 착수했다. 그동안 프로그램별로 만든 SNS 계정은 있었으나 좀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TFT에는 SBS PD를 포함 SBS콘텐츠허브(구 SBSi) 등 매체별 담당자가 합류해 총 3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일단 트위터, 페이스북에 각각 공식 계정(@SBSNOW)을 만드는 것으로 '워밍 업'을 시작했다. 꾸준히 관리를 하지 못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다. 일단 뉴스 파급력을 고려해 제목과 링크 위주 노출을 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SNS 계정을 만들어 관리하던 보.. 2011.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