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미디어의 미래

뉴욕타임스 유료화 본격시동의 파장은?

by 수레바퀴 2011. 3. 18.

지난해 영국 더타임스를 시작으로 뉴스코퍼레이션 계열 신문사들이 시행한 뉴스 유료화가 대륙을 건너 미국 뉴욕타임스로 오기까지는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도입한 상당수 언론사들은 유의미한 유료 구독자 확보에는 실패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뉴스 유료화는 시장의 침체국면에서 등장한 마지노선이라는 점에서 온-오프라인 구독자 연계, 기획 단계부터 상품성을 고려한 뉴스 상품의 확보, 전통 뉴스 미디어의 수익원으로서의 가능성 등 크고 작은 이슈를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가 17일 본격적인 뉴스 유료화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997년, 2005년에 이어 세 번째인 이번 뉴스 유료화는 뉴욕타임스로서는 유료화의 완결 버전으로 캐나다부터 시행하고 오는 28일 미국과 세계 전역으로 확대한다.

이번 유료화 프로그램은 일정한 아티클 건수를 초과해서 보려면 유료회원으로 등록해야 하는 종량제(metered model)로 웹 사이트를 포함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뉴욕타임스의 모든 온라인 서비스에 적용됐다.

접속하는 플랫폼 별로 다르게 책정된 요금제는

첫째, 뉴욕타임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뉴욕타임스닷컴을 무료로 보기 위해서는 1주에 3.75달러(월 1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둘째, 제한없이 웹 사이트를 보고 태블릿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1주에 5달러(월 20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셋째, 모든 기기의 서비스를 무료로 보기 위해서는 1주에 8.75달러(월 3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즉, PC 웹과 스마트폰 앱은 월 15달러, PC 웹과 태블릿PC 앱은 월 20달러, PC 웹-스마트폰 앱 -태블릿 등을 모두 보려면 월 35달러를 내야 한다.

물론 인쇄판 헤럴드 트리뷴과 뉴욕타임스 정기구독자는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료회원에 가입하지 않은 이용자들은 한 달에 20개 기사만 무료로 읽을 수 있다. 다만 웹 사이트 초기 화면과 모든 섹션의 초기 페이지는 무료로 오픈된다.

가장 중요한 대목은 검색사이트나 SNS, 블로그 등을 통한 링크 접속은 20개를 초과하더라도 해당 기사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단, 이 경우 모든 검색사이트에게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현재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 무료로 볼 수 있는 뉴욕타임스 톱 뉴스 이외 다른 뉴스들을 보기 위해서는 유료 등록이 필요하다.

이에 앞서 자넷 로빈슨 뉴욕타임스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10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세계편집인포럼'에서 2011년 초부터 온라인 콘텐츠 유료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그 이전인 2005년 타임스실렉트를 통한 뉴스 유료화, 또 그 앞서인 1996년 온라인 뉴스 유료화 시도 등 몇 차례 우여곡절을 겪은 뉴욕타임스는 2007년 뉴스 무료-트래픽 제고-광고유치라는 비즈니스로 선회한 바도 있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발행부수와 매출감소라는 신문산업의 위기를 겪으면서 매출이 20% 가까이 축소됐다.

결국 온라인 비즈니스에서 활로를 모색하다 '뉴스 유료화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여기에는 뉴욕과 세계 시장에서 혈투를 벌이고 있는 경쟁사 월스트리트저널의 루퍼트 머독이 유료화를 강행하고 있는 점도 거들었다.

기자협회보 2011년 3월23일자.

하지만 니먼 저널리즘 연구소는 "유료화 장벽(paywall)은 있으나 애초 예상되던 것보다 전면적인 것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연구소는 "소셜네트워크나 검색사이트를 통하면 무료로 볼 수 있고 하루에 5개 뉴스는 여전히 무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또 성공적으로 유료화 모델을 도입한 파이낸셜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은 경제지이나 뉴욕타임스는 종합일간지다.

전문가들은 뉴욕타임스와 같은 일반 뉴스(general news)-뉴욕타임스가 보기에는 퀄리티 저널리즘의 산물이 유료화에 성공하게 된다면 전 세계 신문산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넷 로빈슨은 NPR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오랜 연구끝에) 이용자들에게 신문 구독이나 디지털 구독을 강제할 수 없음을 알게 됐다"면서 "(이런 조건에서) 우리는 모든 플랫폼에서 독자들과 만나는 전략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철학을 나타낸 바 있다.

뉴스 유료화는 일반적으로 첫째, 공급자 시장-경쟁적 측면 둘째, 소비자 태도 셋째, 경제성-비용측면에서 분석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모든 것들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 이면에는 저널리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냉엄한 평판이 도사리고 있다. 매체에 대한 충성도가 부재한 것이다.

이와 관련 니먼 저널리즘 연구소는 "독자들이 도처에서 공짜로 볼 수 있는 뉴스를 뉴욕타임스 브랜드라고 해서 특별하게 생각할 수 있을까?"라며 부정적 견해를 내놨다. 지불의사를 충분히 갖지 못한 독자층의 급속한 이탈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번 유료화 모델은 킨들 같은 e-리더에는 충분하게 고려되지 않은 상황이고 보면 현재 진행형으로서 부침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루퍼트 머독의 아이패드를 닮은 신문 더데일리(The Daily)는 즐기는 뉴스를 지향한다. 호당 개별 판매를 고수한 애플이 기존 종이신문 정기구독 판매를 처음으로 지원하는 사례이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모델을 제시했지만 콘텐츠의 차별성 이슈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결국 더데일리는 글로벌 마켓에도 불구하고 성공을 확신하기 어렵다. 과연 뉴스 비즈니스는 어디로 갈 것인가?

또 최근 스마트폰 지면보기 뉴스 유료화에서도 큰 전환기를 만들지 못한 국내 언론사들의 경우도 태블릿PC 어플리케이션 투자 부담이 가중되면서 뉴스 유료화를 어떻게 다뤄나갈지 고민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