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22

지혜로운 삶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무엇을 들었다고 쉽게 행동하지 말고 그것이 사실인지 생각하여 이치가 명확할 때 과감히 행동하라 벙어리처럼 침묵하고 임금처럼 말하며 눈처럼 냉정하고 불처럼 뜨거워라 태산같은 자부심을 갖고 누운 풀처럼 자기를 낮추어라 역경을 참아 이겨 내고 형편이 잘 풀릴 때를 조심하라 재물을 오물처럼 볼 줄도 알고 터지는 분노를 잘 다스려라 때로는 마음껏 풍류를 즐기고 사슴처럼 두려워할 줄도 알고 호랑이처럼 무섭고 사나워라 이것이 지혜로운 이의 삶이니라 - 불기 2541년 혜암 큰 스님의 말씀 중에서 2005. 5. 30.
"포털 뉴스라고 다 선정주의 아니다" 19일 오전 인기가수 S군과 관련된 연예기사에 대한 각 포털들의 뉴스 편집에 차이가 났다. 이 기사는 노컷뉴스가 단독 보도했고 그 뒤 인터넷 연예매체들이 받아서 다뤘는데 네이버는 해당 기사를 잘 보이는 곳에 위치시켜 오후 5시 현재 가장 많이 읽은 기사 1위로 랭크돼 있다. 특히 이 기사에는 이른바 네티즌들의 '성지순례'(기사에 의견글을 이이서 쓰는 덧글 문화)가 이어져 23,417개의 덧글이 올라왔다. 이뿐만 아니라 야후, 엠파스 등도 이 기사를 비중있게 취급해 연예섹션 또는 가장 많이 읽은 기사에서 베스트에 등록됐다. 그러나 미디어다음측은 이 기사를 의도적으로 배제했다. 연예섹션 초기화면에서 노출되지 않게 했으며 의견쓰기도 차단한 것. 미디어다음의 한 관계자는 "이니셜이 들어간 연에기사나 사생활 공개.. 2005. 5. 20.
여야 잠룡, 인터넷 여론몰이 가열 네티즌과 눈높이 맞추며 홈피정치에 주력, 균형감각 잃지 말아야 차기 대권을 준비하는 여야 주자들의 인터넷 ‘올인’이 점입가경이다. 지난 6일 모친 장례를 치른 통일부 정동영 장관이 자신의 홈페이지에 ‘사모곡’을 올리자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사부곡’으로 맞받아쳤다. 어버이날을 앞두고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글을 올린 손학규 경기지사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뒤질세라 보건복지부 김근태 장관은 입양아 문제를 다뤘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아예 모친의 초상화를 올리고 심금을 울렸다. 불과 하루 이틀 사이에 ‘효’ 관련 콘텐츠가 앞다퉈 올라온 것이다. 최근에는 여야 대권 주자 대부분이 적극적인 관리와 소통이 요구되는 ‘미니 홈피’로 둥지를 옮겼다. 방문자수 270만명을 넘어선 한나라당 박 대표의 미니 홈피는 단연 두각.. 2005. 5. 19.
[펌] 온라인저널리즘과 평판시스템 검색 제왕으로 불리는 구글이 앞으로 뉴스 검색 결과를 '매체 신뢰도'를 기준으로 표출하겠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제공하는 기사 수 ▲기사의 평균 길이 ▲바이라인 수 ▲인용된 횟수와 함께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뉴스 매체의 신뢰도를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기자 수 ▲클릭 수 ▲접속 가능한 대륙수 등도 평가 대상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http://www.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49870&g_menu=020600 참고.) 구글이 뉴스 검색 결과를 신뢰도를 기준으로 보여주겠다는 발상을 하게 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아마, 최근 들어 엄청나게 많아진 '온라인 뉴스' 때문이 아닐까? 외신들에 따르면 구글은 "그동.. 2005. 5. 15.
'떨녀' 파문에 포털뉴스도 '떨려' ‘떨녀’ 파문에 포털사도 “떨려?” ■ 포털사 기획PR 어떻게 봐야 하나 이김준수 기자 jslyd012@mediatoday.co.kr 네이버 “기사와 PR 분리” … “새 매체환경 활용위해 포털비평장치 필요” 최근 인터넷에서 화제를 모은 ‘떨녀’의 기획사 개입여부를 놓고 공방이 펼쳐진 가운데 관련내용을 기사와 구분하기 힘든 ‘기획PR’ 형태로 게재했던 NHN의 포털사이트 네이버(www.naver.com)가 기획PR을 기사와 분리하기로 결정했다. ‘기획PR’은 이용자와의 소통을 기치로 뉴스 유통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포털뉴스가 기사형태의 광고로 저널리즘의 가치와 권위를 떨어뜨리는 기성매체들의 악습을 차용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기사와 분리”= 박선영 네이버 뉴스팀장은 9일 “기획PR은 광고 쪽에서 .. 2005. 5. 11.
네이버의 '기획PR' 기사 파문 최근 인터넷에서 '떨녀' 기사는 '도깨비뉴스'의 네이버의 '기획PR' 기사 소동과 맞물리면서 적지 않은 논란을 일으켰다. 즉, 포털사이트가 기획성 홍보기사를 뉴스 페이지에 끼워서 서비스하면서 '장사'를 했다는 내용이다. 이 문제의 기본적인 함의는 비즈니스 플랫폼이 축적된 포털에서 뉴스를 상업적으로만 바라보는 한계를 노정했다고 볼 수 있다. 뉴스를 단순히 콘텐츠로 파악하고, 공공재로서의 뉴스를 부각시키는 일에는 미흡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포털 뉴스 편집자들이 이와 같은 PR기사들을 어떻게 사고하고 처리했는지는 적지 않은 시사점을 준다. 적어도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기성 매체들은 나름대로의 비판의식, 내지는 문제의식을 공유할 수 있지만, 포털 내부 시스템은 그렇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 신문사닷컴 관.. 2005.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