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17

댓글과 실명제 인터넷 이용자들의 '댓글' 문화가 영향력을 갖게 된 것은 첫째, 댓글이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이뤄짐으로써 '여론'으로 조명되는 플랫폼 위에 놓여 있고 둘째, 단순히 댓글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재확인, 수정, 보완, 전파 등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며 셋째, 댓글에 대해 효율적인 개입과 장치를 통해 순화되기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특히 포털이 뉴스 또는 정보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 가운데, 매체 고유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은 낮아지고 있다. 포털은 뉴스를 유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댓글이나 공론장을 통해 스스로 권력화·미디어화하면서 '여론시장'에서 부상해왔다. 즉, 포털의 댓글과 토론장, 여론조사(의 영향력)는 기성매체를 압도하는 지렛대가 됐다. 반면 기성 매체인 .. 2005. 7. 6.
올바른 포털저널리즘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민언련이 주최하는 포털관련 토론회가 오는 19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토론회는 라는 주제이다. 민언련 인터넷분과가 3대 포털사이트 '뉴스박스'를 직접 모니터링한 결과분석과 함께 의제설정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대안 모색 등 사례를 둘러싼 논쟁이 예상된다. 그간 포털 관련 토론회는 포털사이트의 구조적인 문제라든지, 포털과 기사제공사와의 문제, 포털사의 인터넷언론으로의 편입문제 등의 이슈를 다뤄왔던 것에 비하면 보다 구체적인 접근내용이다. 민언련이 밝힌 모니터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모니터내용 -. 다음, 네이버, 네이트 3개 포털사이트의 메인페이지에 있는 기사 모니터 -. 기간 : 총 5주(1차 : 5월9일 - 5월 27일 / 2차 : 6월 7.. 2005. 7. 4.
최근 신문 방송 뉴미디어 이슈에 대한 개인 생각 어떤 블로거께서 쪽지로 제 생각을 간단히 듣고 싶어 하셔서 간략히 남깁니다. 1. 신문 방송 겸업 경영 논란(http://www.mediatoday.co.kr/news/read.php?idxno=38119&rsec=MAIN&section=MAIN) - 부분적으로 찬성한다. 2. 인터넷실명제 논란(http://www.mediatoday.co.kr/news/read.php?idxno=37892&rsec=S1N3&section=S1N3) - 정부의 실명제가 도대체 무엇인지 모르겠다. 전적으로 반대한다. 3. 연합뉴스, 네티즌들 기사 퍼나르기 제동(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0&article_id=0000306289&section_id=.. 2005. 7. 4.
[펌] 건빵 도시락에서 신생아 학대까지…뉴스 흐름 변화시키는 인터넷 각종 혐의로 도피행각을 벌이던 전 대우그룹 회장 김우중씨가 지난달 5년 8개월 만에 돌아왔다.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는 얘기는 있었으나 그가 ‘한국인’임을 의심치 않던 언론이었다. 그런데 귀국 이튿날 “김우중씨는 프랑스인”이라는 내용의 이데일리 보도()가 인터넷을 타고 전달됐다. 이 기사는 다른 매체들의 눈길을 끌었고 연이어 보도됐다. 통신, 신문, 방송할 것 없이 법적으로 한국국적을 ‘당연상실’한 ‘프랑스인’ 김씨를 다루면서 김씨에 대한 여론은 더욱 악화됐다. 그렇지 않아도 국적법 문제 등으로 민감하던 국민들에게 김씨의 자발적인 국적 포기는 동정론이나 공적 재평가 여론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했다. 인터넷, ‘세상’을 흔들다 진앙지는 인터넷이었다. 신문, 방송, 통신 등의 수많은 다른 매체들이 김씨에게 매.. 2005. 7. 4.
[펌] 언론광장, 상반기 포럼 결산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매체가 계속해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이럴 때 미디어산업의 올바른 육성을 위해 관계부처간 의견 조정과 매체업계와 수용자 의견을 골고루 반영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미디어위원회(가칭) 구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지난 1일 오후 경기도 양평 한국방송공사 남한강수련원에서 열린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 2005년 상반기 워크숍에서 '미디어 환경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를 (총론)발제한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연구이사의 주장이다. 그는 "디지털기술의 발달은 계속 새로운 매체와 서비스를 토해낼 것"이라며 "이들 매체가 쏟아내는 수많은 정보는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하지만 중장기적인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 2005. 7. 4.
[펌] 매체환경, 위기인가 기회인가 (양평=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빅뱅'으로 일컬어지는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미디어 기업과 수용자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놓고 전-현직 언론인과 언론학자, 언론운동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토론을 펼쳤다.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이 '미디어 환경 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란 주제 아래 1-2일 경기 양평의 남한강연수원에서 개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매체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수용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투명하고도 공정한 정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첫날 총론 주제발표를 맡은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이사는 △전통 미디어의 쇠퇴 △인터넷매체의 성장 △매체융합과 미디어그룹의 등장 등의 추세와 함께 저널리즘의 위기상황에 대해 설명한 뒤 "관계부처의 이견을 조정하고 미디어업계와 수용.. 2005.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