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1219

온라인과 신문 SPECIAL: "Winning Online" -- A Manifesto By Tom Mohr Published: September 04, 2006 NEW YORK Newspapers must win online, or face a future of painful contraction. To win, industry leaders must adopt a Marshall Plan embodying two key objectives: the migration to common platforms, and the acquisition of the ability to sell top-quality online product to our advertisers. To fulfill these objectives, t.. 2006. 9. 6.
오마이뉴스 재팬, 성공할까? 오마이뉴스는 28일 10시 일본에서 '오마이뉴스 재팬'(일본내 이름은 '오마이뉴스')을 창간했다. 오마이뉴스 재팬은 창간 한달 전부터 시민기자를 모집, 약 1천명의 시민기자가 가입했다. 편집장은 마이니찌 신문 출신의 유명 방송인 도리코에 šœ타로(66세) 씨. šœ타로 씨는 일본에서 유명한 언론인으로 스타 편집장을 선임한 것이 큰 반향을 불러모으기도 했다. 직원은 편집국 기자 10명 등 22명. 이번 창간호에는 시민기자들이 보내온 기사 20여개가 게재됐다. 지난 여름 내내 일본에 상주하다시피한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연말까지 시민기자 5천명을 모집하고 2년내에 한국 시민기자와 같은 규모인 4만명을 모집할 것"이라고 기대를 피력했다. 그러나 오마이뉴스 재팬의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반응이 엇갈.. 2006. 8. 28.
전환기의 뉴스 일반적으로 뉴스(News)는 ‘새로운 소식’으로 통한다. 20세기 매스미디어는 새로운 소식의 유일한 공급처였다. 독자(시청자) 즉, 뉴스 소비자들은 새로운 소식에 접근할 경로가 없었다. 또 그들은 뉴스를 능동적으로 소비하는 위치에 있지 않았으므로, 뉴스의 생산-유통-소비의 흐름은 지극히 일차원적이고 수직적이었다. 그런데 인터넷 시대는 수동적인 뉴스 소비자가 사라지고 독립적인 뉴스 선택자가 등장했다. 이들은 뉴스를 개인화할 뿐만 아니라 그룹화하면서 ‘소비’ 자체의 개념을 바꿨다. 뉴스를 소비하는 동시에 재가공된 뉴스를 생산하고(UCC), 그 생산은 소통(Interactive)으로 확산되고 있다. 뉴스 소비자들은 신문-TV의 뉴스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지 않게 된 것이다. 이같은 뉴스 소비자 지위 변화는 뉴스 .. 2006. 8. 25.
[펌] “모든 건 제조사 책임” 네이버뉴스, ‘개편’하면 달라질까 [한겨레] 지난 21일 네이버가 뉴스개편안을 발표해, 기존의 뉴스 서비스 방식을 ‘내부 링크’에서 ‘각 언론사 링크’로 바꾸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인터넷으로 뉴스를 서비스하는 각 언론사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네이버의 하루 방문자는 1300만~1400만명, 이들 모두에게 초기화면에서 노출되는 공간에 각 언론사의 기사가 직접링크되면, 현재 인터넷언론의 이용행태가 크게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8월2째주 평균 랭키닷컴 기준으로 최대 방문객을 보이는 일간지도 하루 방문자는 100만명에 못미친다. 23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 NHN교육실에서 각 매체사 담당자 수십여명이 참여한 네이버의 뉴스개편 설명회가 열렸다. 네이버의 홍보팀의 이상훈 서비스PR 파트장은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수의 인원이 참석해 .. 2006. 8. 25.
'포털뉴스서비스'와 언론사 검색포털 네이버의 뉴스서비스개편안을 계기로 과연 언론사의 대포털 관계의 궁극적인 모습은 무엇인지 묻는 이들이 적지 않다. 포털사이트와 언론사의 관계는 지난 2002년 한일월드컵을 전후로 무관심, 방치의 단계를 거쳤고, 2004년 탄핵을 지나면서 포털을 적극적으로 인식하는 단계에 올랐다. 최근은 포털과의 관계개선을 시도하는 변화모색의 단계로 봐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포털사이트 뉴스 서비스의 부작용과 한계에 대한 학제적 접근과 산업적 환경의 검토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뉴스 콘텐츠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포털사이트의 가치는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신문사(닷컴)이 유일하게 혹은 중요하게 뉴스 콘텐츠를 포털사이트로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언론사가 포털사이트에 뉴스 .. 2006. 8. 23.
SBSi, 콘텐츠 공유로 UCC 노린다 SBSi가 SBS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이용자제작콘텐츠(UCC)의 길을 열었다. SBSi는 22일 SBS 웹사이트에서 일부 방송 콘텐츠를 무료 공개, 이용자들이 마음껏 편집하고 개인 블로그 등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넷티비(NeTV)'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넷티비 서비스를 활용하면 영상, 이미지 등을 결합할 수 있고, 자막삽입도 가능하다. 그러나 넷티비 서비스에 오픈된 SBS 프로그램은 스타 출연 부분과 오락성이 강한 동영상 클립으로, 기존 유료 드라마일 경우는 결제를 하게 돼 있다. SBSi 관계자는 "넷티비는 동영상의 90% 이상이 방송콘텐츠로 제작되고 있어 이용자들과 함께 새로운 시도를 모색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도 이 분야를 키우기 위해 지속투.. 2006.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