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486

[펌] 언론광장, 상반기 포럼 결산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매체가 계속해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이럴 때 미디어산업의 올바른 육성을 위해 관계부처간 의견 조정과 매체업계와 수용자 의견을 골고루 반영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미디어위원회(가칭) 구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지난 1일 오후 경기도 양평 한국방송공사 남한강수련원에서 열린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 2005년 상반기 워크숍에서 '미디어 환경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를 (총론)발제한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연구이사의 주장이다. 그는 "디지털기술의 발달은 계속 새로운 매체와 서비스를 토해낼 것"이라며 "이들 매체가 쏟아내는 수많은 정보는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하지만 중장기적인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 2005. 7. 4.
[펌] 매체환경, 위기인가 기회인가 (양평=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빅뱅'으로 일컬어지는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미디어 기업과 수용자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놓고 전-현직 언론인과 언론학자, 언론운동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토론을 펼쳤다.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이 '미디어 환경 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란 주제 아래 1-2일 경기 양평의 남한강연수원에서 개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매체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수용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투명하고도 공정한 정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첫날 총론 주제발표를 맡은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이사는 △전통 미디어의 쇠퇴 △인터넷매체의 성장 △매체융합과 미디어그룹의 등장 등의 추세와 함께 저널리즘의 위기상황에 대해 설명한 뒤 "관계부처의 이견을 조정하고 미디어업계와 수용.. 2005. 7. 4.
미디어비평 새 틀 짜야 미디어비평 새틀 짜야 [미디어오늘에 바란다]-미디어오늘 지령 500호에 부쳐 매체비평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 과거 한국 언론은 정치주의적 비평과 감시에 구속될 수밖에 없는 ‘권언유착’이 존재했지만 지금은 뉴미디어에 의해 업무-조직-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신문, 방송, 통신 등 미디어 전 분야에서 가속화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진입이 그것이다. 오프라인보다 더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온라인 시장의 인터넷신문, 포털사이트 등은 이미 기성매체를 압도한지 오래다. 매체 수용자는 지식대중으로 성장해 기성매체와 경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미디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기자 집단은 제 역할과 영향력을 다른 곳에 내어 주면서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콘텐츠, 나아가 저널리즘과 산업.. 2005. 6. 22.
사양산업 신문기업의 '블루오션' '블루오션'(Blue Ocean·경쟁이 없는 새로운 시장)이 뜨고 있다. 오늘 한 매체비평지 기자가 신문기업도 '블루오션'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란다. 발상의 전환, 혁신, 패러다임의 변화 등 문명적으로 21세기는 격변이란 흐름 위에 창조되고 있는 것만큼은 틀림없다. 신문기업도 분명히 익숙해진 기류에 편승해야 하는 것도 당위적인 명제다. 그러나 한국 신문기업의 '블루오션'은 과연 무엇인가?를 생각할 때, 또다른 '말 장난'에 놀아나선 안된다는 지적도 피할 길 없다. 신문기업은 이미 세기말부터 혁명적 변화의 한 가운데에 서 있었고, 나름대로 목표와 전략을 수정하면서 움직여 왔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로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하는 창의, 열정, 헌신은 신문기업 내에 깊숙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 2005. 6. 16.
'네카시즘'-한 기자와의 대화 이 포스트는 한 시사주간지 기자와의 MSN대화를 토대로 작성됐습니다. 이 기자는 대화명을 '네카시즘'으로 해둬서 궁금증을 불러모았고, 대화는 거기서부터 시작됐습니다. - '네카시즘'이 무엇입니까? - 오늘 아침 만든 신조어입니다. 넷+메카시즘. 개똥녀, 7공주 같은 사건들을 보아하니 가히 네카시즘이라고 여겨집니다. - 전통적인 기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벌어지는 일단의 현상들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가장 정반합이 치열하게 이뤄지는 곳 아닌가 생각합니다. 또 특히 적극적으로 중재하는 시스템과 역할이 부여된다면, 순기능으로 안착할 가능성이 있으리라고 봅니다. 자꾸 나쁘다고 보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그러나 특히 블로그 같은 개인 미디어에 대해서 미디어로서의 책임.. 2005. 6. 15.
'다시 보는 선데이 서울' 재직중인 신문사에서 사이트 개편을 수십차례 했지만 이번 개편은 남다르다. 사실 지난 3년간 사이트 개편은 열악한 여건상 제대로 된 개편을 할 수 없었다. 특히 조직과 인력, 자원 투자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은 거의 어려운 일이다. 이때 기획자가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역시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디지털로 재생하는 일이다. 아직도 수십만여장의 사진(이미지)과 과거 출판물(잡지 등)은 디지털화되지 않아 바로 서비스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역동적이지 않은' 신문사 온라인 부문의 콘텐츠를 질적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럼에도 '다시보는 선데이 서울'류의 서비스를 하기로 결정한 것은 나름대로 어려운 판단이었다. 현재 시장은 비슷한 콘텐츠들이 경쟁하고 있다. 속보 시장은 각.. 2005.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