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사닷컴104

언론과 포털은 적인가 포털사이트 뉴스 서비스가 수 년간 한국언론을 좌우하면서 축적된 두 쟁점은 언론의 자생력과 포털의 영향력에 대한 이슈이다. 우선 언론사가 생산하는 콘텐츠는 시장과 이용자들로부터 각별한 가치를 갖는가 아니면 차별성없는 진부한 스토리로만 채워지고 있는가 등 언론과 그 콘텐츠의 경쟁력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으로 전환하고 있는 미디어 시장에서 특히 신문기업은 사활을 건 몸부림을 치고 있지만 정작 콘텐츠의 질은 답보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털사업자들이 언론사 콘텐츠의 수준을 고민하는 아이러니도 연출되고 있다. 하루에 1만여 개에 달하는 기사를 공급받는 포털뉴스는 그 양과 편이성으로 이용자들의 호응을 끌어 내면서 영향력을 증대시켜왔다. 그러다보니 어떻게 하면 좋은 콘텐츠를 더 많이 제.. 2007. 8. 1.
언론사 공동 비즈니스 전망 신문기업이 디지털 뉴스 콘텐츠 유통구조를 바꾸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저작권 보호와 콘텐츠 임베디드 애드(Contents Embeded Ad)를 중심으로 하는 언론사 공동 비즈니스 모델이 그 요체다. 지난해 10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한국언론재단 주도하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사업(뉴스 코리아)’의 경우 저작권 신탁을 통해 언론사 저작권을 집중관리하고 이를 기업과 관공서 등에 판매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3월 언론사 사진을 모아 이미지 뱅크 서비스를 먼저 시행한 ‘뉴스뱅크’는 언론사간 공동 아카이브를 구축, 포털 플랫폼을 활용해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를 실현하는 모델이다. 두 모델은 포털사이트 중심의 유통시장 질서를 언론사의 것으로 돌려 놓으려는 ‘목표’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상이한.. 2007. 8. 1.
[up] "언론사-포털간 보편적 가치 준수해야" 언론사와 포털간 콘텐츠 이용규칙 공방이 지속되고 있다. 신문사닷컴들로 구성된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이하 온신협)가 지난달 하순 포털사업자에 요청한 '콘텐츠 이용규칙'은 뉴스 이용 범위, DB 저장 보유 기간 등 언론사-포털간 계약내용에 명기되지 않았던 조항들을 명문화하고 새로운 발전관계를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제기됐다. 일단 이 이용규칙에 대해 포털사업자의 반응은 싸늘하다. 포털측은 "실익도 없는 안을 두고 무리하게 전개하고 있다"며 비난하고 나섰다. 이용자들도 지나친 저작권 보호 조치라는 시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 이용규칙은 민주주의와 자유라는 보편타당한 틀과 무관하지 않다. 저작권 보호는 세계적 추세다. 저작권은 이용자가 됐든, 기업이 됐든 시장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반드시 보호돼야 한다. .. 2007. 7. 9.
[up] 온신협 "구글 제소 논의 중이다"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이하 온신협)가 네이버, 다음 등 6대 포털사이트에 기사보존 및 기사이용에 제한을 둔 '콘텐츠이용규칙' 공문을 발송한 가운데, 국내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구글'에 대한 제소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연합뉴스와 전자신문은 온신협이 21일 국내 6대 포털에 보낸 '콘텐츠 이용규칙' 관련 뉴스를 보도하면서 '구글 소송 제기 가능성'을 보도한 바 있다. 온라인미디어뉴스가 21일 온신협의 내부자료를 입수 단독,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온신협은 구글 제소 문제와 관련 이미 법무법인과 협의를 거쳤으며, 앞으로 더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온신협은 그간 구글 검색엔진의 크롤링에 의한 뉴스수집과 그 서비스에 대해선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거나 공식 입장을 유보하고 있었다. 하지만 구글 제소 .. 2007. 6. 21.
[up] 언론-포털 대격돌…기사보존, 퍼가기 제한 온라인미디어뉴스는 20일 낮 한국온라인신문협회(회장사 한국아이닷컴)가 주요 포털사이트에 '콘텐츠 이용규칙' 공문을 발송한다고 보도했다. '콘텐츠 보존기한' '콘텐츠 원본의 변형금지' '콘텐츠의 이용범위 및 기술적 조치' 등 총 5조로 구성된 '콘텐츠 이용규칙'에 따르면 디지털뉴스를 제공받는 포털업체들의 뉴스 저장기간을 7일 이내로 제한하고, 이후에는 DB에서 삭제토록 규정, 포털 이용자들이 7일이 경과한 기사는 검색을 할 수 없도록 했다. 또 이용자들이 포털사이트 내 블로그나 카페 또는 이메일로 퍼가거나 출력하는 등 무단으로 배포, 복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포털사이트 기사 페이지의 여러 옵션(인쇄, 이메일, 퍼가기) 버튼은 사라질 상황에 처했다. 특히 언론사 기사의 이.. 2007. 6. 20.
이용자 댓글과 커뮤니케이션의 책임 인기 배우 고소영 씨가 22일 악의적 댓글을 상습적으로 유포해온 35명의 네티즌을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고 씨는 네티즌 102명을 추가로 고소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급부상한 인터넷 문화 상에서 발생하는 소통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계속 지출되고 있는 것은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관점으로 견줄만하다. 해외에서도 소통의 부재, 왜곡에 대한 고민이 심중하다. 특히 언론사들의 대응은 대단히 정교하게 전개되고 있다. 영국의 가디언지는 이용자들이 웹으로 올리는 글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대표적인 언론사다. 가디언은 지난 2004년 이후 약 3백만 개의 의견글(comments)이 존재하는데 가디언의 관리자들은 웹 사이트에서 일어날 수.. 2007.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