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자433

뉴스캐스트 개선안 살펴봤더니 네이버 뉴스캐스트 서비스 개선안이 공개됐다. NHN은 25일 오후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원사 대상의 설명회에서 언론사 홈페이지 헤드라인 기사와 각 섹션별 주요 기사를 뉴스캐스트 편집화면에 배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뉴스캐스트 서비스 개선안을 밝혔다. 주요 내용(미디어오늘 22일자 온라인판 참고)을 보면 첫째, 상단에 노출되는 굵은 글씨의 헤드라인 기사는 언론사 온라인 페이지의 헤드라인 기사와 일치 둘째, 2단으로 돼 있는 기사 배치는 1단으로 축소 셋째, 제목 앞에 섹션을 명기하고 섹션별로 1개의 기사 등록 넷째, 현재 언론사별 페이지와 별개로 주제별 페이지 신설 다섯째, 네이버 초기화면 뉴스캐스트는 주제별 뉴스캐스트판을 기본값으로 설정 등이 추진된다. △ 언론사별 편집판 뉴스갯수 7개 .. 2010. 1. 27.
국내 신문업계 뉴스 유료화 어디로 향하나 뉴욕타임스가 20일 2011년부터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시행키로 하면서 국내 뉴스 미디어 업계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무료 뉴스 서비스를 고수하고 있는 흐름에 변화 기류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업계의 기대가 고조되고 있어서다. 일단 신문업계를 중심으로 뉴스 유료화 흐름은 '정중동'인 상태다. 드러내놓고 독자적인 유료화를 하기에는 부담되기 때문에 조용한 논의를 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신문사의 규모나 경쟁력 등의 차이에 따라 온도 차이가 심한 편이다. 메이저 신문업계는 "할 수도 있다"는 판단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메이저신문 관계자는 "콘텐츠에 대한 퀄리티 업이 전제된다면 어떤 시점이냐는 점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메이저신문의 닷컴사 관계자도 "이것이다 하는 게 있다면 안할 이유는.. 2010. 1. 21.
`트위터 저널리즘`의 가치 트위터를 통한 취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일부 언론사는 별도의 트위터 계정을 만들어 뉴스 유통의 출구로 삼고 있다. 트위터가 저널리즘과 손쉽게 연계되는 것은 가장 간편한 소통의 도구로 뉴스의 생산과 유통에서 혁혁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어서다. 현재 트위터 저널리즘은 첫째, 긴급한 이슈를 발견하고 둘째, 인터뷰를 수행하며 셋째, 수준 높은 검증(피드백) 넷째, 프로모션(뉴스 전파)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트위터 초기에는 이용자들의 이슈 확인과 생산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뉴스룸 또는 기자들과 이용자간 협력이 늘고 있다. 트위터가 네트워크를 견인하는 동력인 동시에 좀더 (선별할 수 있고) 수준 높은 이용자들이 모여 있어 가능해졌다. 이러한 이용자들과 함께 하는 트위터 저널리즘은 네트워크에서 .. 2010. 1. 19.
신문업계의 현재와 미래-뉴스룸 컨버전스 중심으로 Q. 현재 귀 신문사의 통합뉴스룸 구축 현황은 어떻습니까? ▪ 상호홍보 → 전재 → 협력과 경쟁 → 콘텐츠 공유(규칙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뉴스 생산, 유통) Q. 귀하가 생각하는 통합뉴스룸의 장점과 단점은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해 주십시오.) ▪ 장점 : 뉴스 완성도, 정확도, 신뢰도 등 효율성,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음. 경영적 측면에서도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음 ▪ 단점 : 인식과 철학의 변화 없는 비문화적 결합만으로는 갈등 잠복돼 생산성 확신하기 어려움 Q. 귀하는 통합뉴스룸의 구축 등 종이신문기업의 변화의 노력들이 현실적으로 투자비용을 회수할 정도의 성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전제] △ 뉴스룸 컨버전스.. 2010. 1. 13.
2010년 뉴스미디어 산업 전망 □ 올해 온라인 뉴스 산업의 '화두' 또는 '예산 쟁점'은? ▪ 서비스 1) 편의성 - 타깃화, 맞춤화 서비스 개발 2) 전문성 - 고급 정보 (예) 경제뉴스 전문화 시동 3) 역동성 -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 영상뉴스(신방겸영), 스토리텔링 4) 지역성 - 하이퍼로컬리즘, 커뮤니티 저널리즘 5) 소셜 미디어 - 위키비즈니스, 오픈스토리, 라이프서치 등 플랫폼 실패를 통한 성찰 6) 아카이빙(DB) - 분류, 표준화, 언론사간 협업 관건 7) 공동포털 - 한국신문협회 상반기중 구체적 윤곽 나올 듯 8) 네이버 뉴스캐스트 - 서비스 변화 움직임과 언론 대응 ▪ 비즈니스 1) 모바일, e-book 리더기 등 신규 플랫폼 접점 확보 (예) 개별적 또는 업계 공동대응 2) 유료화 - 뉴스 패키징(공.. 2010. 1. 12.
국내 온라인저널리즘에 대해서 이 포스트는 1월8일 방송되는 KBS 인터뷰 때 작성됐던 답변입니다. 주제는 뉴스캐스트 등 온라인저널리즘 전반에 관한 것입니다. Q. 네이버 뉴스캐스트에 대한 평가, 장단점은? A. [장점] 네이버가 독점하던 뉴스 트래픽을 언론사에 돌려주면서 언론사들로서는 만족할만한 정도는 아니지만 이용자 유입과 수익증대의 효과를 보았지요. 평균 40%가 늘었다는 조사결과도 나왔지요. 수익도 10~20% 늘었다고 알려집니다. 이를 통해 뉴스룸이 종전에 비해 온라인 뉴스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크게 갖게 된 것은 유의미한 일이라고 판단됩니다. 또 네이버도 인터넷 뉴스 유통 시장내의 지배력을 언론사 편집권 부여라는 카드로 전환하면서 정치, 사회적 압박을 회피하는 수단이 됐고요. [단점] 트래픽 경쟁이 과열되면서 낚시성.. 2010.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