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1217 소통 없는 언론사 SNS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 뉴스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국내 언론사들도 속속 계정을 개설하고 있다. 계정을 개설하는 이유는 한 마디로 SNS 이용자들에게 뉴스를 쉽게 퍼뜨리기 위해서다. SNS는 뉴스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온라인 여론의 지표가 되고 있어 언론사의 관심이 높은 플랫폼이다. 현재 국내 트위터, 페이스북 이용자는 각각 300만명, 250만명을 넘긴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이들 이용자는 리트윗(RT)이나 추천 등 뉴스를 전파하는 데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언론사 기자들의 활약이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지난 달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RT가 가장 많은 상위 20명 안에 기자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트위터 안에서 뉴스를 주로 전달하면서 좋은 정보 .. 2011. 4. 22. 스마트 라이프 시대, 우리는 편해졌을까? 스마트 라이프(Smart Life)가 열렸다. 하루 24시간 내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유비쿼터스 덕분이다.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로든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실제 생활에 활용하는 라이프 스타일이 정착하고 있다. 사람들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패턴 즉, 사용자 경험이 공유되면서 일상에도 변화의 폭이 커지고 있다. 단순한 정보 검색에서 업무 처리나 건강 관리, 금융, 쇼핑, 이동까지 스마트 기기로 해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밤에 잠들기 전까지 사람들이 만끽하는 스마트 라이프는 어떤 모습일까? 월요일 아침 일요병을 견디고 출근해야 하는 20대 후반 직장인 이선민 씨. 머리 맡에 둔 것은 시계도, 라디오도 아니다. 스마트폰 하나면 족하다. 앱 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받은 ‘알람 시계’ .. 2011. 4. 8. 재벌드라마, 로열패밀리에 대해 Q1. 의 특징(장점)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A1. 출생의 비밀, 암투, 삼각관계를 다룬 드라마라는 점에서는 다른 드라마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백마탄 왕자, 신데렐라 구도나 주인공들의 상투적인 애정구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재벌가에 들어온 한 여성의 성공기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신선합니다. 특히 암투에서 살아 남으려는 강한 여성상이 그려지면서 긴장감을 더하죠. 강인한 40대 여성과 능력 있는 30대 남성간의 묘한 감정도 재미를 줍니다. 이 의문부호들을 풀어가기 위해서 긴장감 있게 스토리들이 펼쳐집니다. 탄탄한 원작소설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죠. 이 과정에서 정치권, 언론을 넘나드는 재벌을 자세하게 묘사하고 대통령 후보, 평창올림픽 유치 등 현실과 연결되는 장치들도 흥미롭습니다. 이렇게 수많은 스토리들이.. 2011. 4. 8. 일간스포츠, 프로야구 전문 앱 출시 일간스포츠가 지난달 29일 안드로이드OS용 프로야구 전문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일간 야구 Live'를 내놓았다. 현재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일간 야구 Live'는 경기중계·팀 순위·기록실·야구 뉴스 등 네 가지 메뉴로 구성돼 있다. 경기중계는 실시간 문자중계로 이뤄진다. 문자중계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중계라이선스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일간스포츠는 정경문 대표가 직접 나서 KBO와 가계약을 체결했다. 문자중계로는 점수와 회별 결과, 라인업, 투수 및 타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딱딱한 문자중계라는 점을 감안 그래픽을 동원한 비주얼 UI를 선보였다. 실시간 문자중계를 보려면 5,000원(4.50달러)짜리 프로(Pro) 버전을 결제해야 한다. 일단 이용자들의 반응은 "KBO 앱.. 2011. 4. 5. 네이버, 선정성 빌미로 언론사 기사편집 개입한다 NHN(대표이사 김상헌)이 네이버 뉴스캐스트 신규 제휴를 전면 중단하고 시민단체 모니터링단을 꾸려 선정적 기사를 걸러내기로 해 언론사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네이버는 31일 '2011 뉴스캐스트 언론사 설명회'를 열고 지난 30일 오후 2시까지 뉴스캐스트 참여신청을 마친 언론사만 평가를 진행해 오는 7월 일괄 추가하고 당분간 추가신청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동안 언론사들은 뉴스캐스트에 참여하기 위해 1년에 3~4회 이뤄지는 제휴평가위원회 심사 결과를 기다려야 했다. 최근에 제휴신청을 마친 한 메이저 언론사 관계자는 "제휴평가위원회의 면면도 알 수 없고, 심사기준도 베일에 가려 있어 곤혹스러웠다"면서 "사실상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니 모든 수단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절박함을 토로했다. 또.. 2011. 3. 31. 더 아파하고 더 그리워해야 스위스의 관광 도시 루체른에는 빈사의 사자상이 있다. 이 사자상은 1792년 프랑스 대혁명 때 루이 16세 일가를 최후까지 지키다 모두 죽게 되는 스위스 용병 786명의 넋을 기리는 조각상이다. 스위스인들은 왜 프랑스 왕실을 경호하다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됐을까? 당시 스위스는 경제난이 심해 외국에 나가 몸을 파는 용병제가 일반화돼 있었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많은 스위스인들이 다른 나라의 전쟁터까지 가게 된 것이다. 척박한 자연환경과 인접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스위스는 19세기 초까지도 사실상 무정부 상태였다. 하지만 격변의 세계사 중심에서 중립을 표방하고 국가전략을 잘 짜면서 2010년 현재 1인당 GDP가 6만 7천 달러로 세계 5대 부국이 됐다. 200여년만에 스위스의 이미지는 힘없는 나라가 .. 2011. 3. 25.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