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8

"이제 올드미디어와 소셜미디어는 협력 파트너" 해외 유력 언론사들이 앞다퉈 소셜 미디어에 접근하고 있어 주목된다. 역시 가장 선두에 나선 곳은 방송사들이다. CNN의 경우 아이티 지진 보도에서도 나타났듯 리포팅을 개선하는 중요한 단계로서 소셜 미디어와의 결합이 전개 중이다. 트위터를 개설했고 아이티 페이지에는 비영리 단체나 뉴스 이용자들의 정보가 넘쳐난다. 뉴욕타임스도 다양한 소셜 미디어 안에서 다수의 계정을 개설하고 있다. 페이스북으로 아이티 소식이나 긴급한 현안 등을 공유하는 것은 낯익은 풍경이다. 영국의 맨체스터이브닝뉴스는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위해 트위터를 활용하고 있다. 업무의 형식과 내용 못지 않게 인식의 지점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소셜 미디어 에디터를 선임한 BBC는 정보의 수렴 창구로서, 또 스토리 생산 과정에서 더 많.. 2010. 2. 11.
아이패드(iPad)와 올드 미디어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28일(한국시각) 큰 사이즈의 아이팟 터치인 아이패드(iPad)를 발표하자 전세계 올드 미디어들이 벅찬 반응을 보이고 있다. 콘텐츠 파트너로 참여한 뉴욕타임스의 경우 아이패드 애플리케이션을 수 개월간 준비해온 터라 찬사의 미덕을 아낌없이 표현하기까지 한다. 이 아이패드에 대해 국내 소비자들의 반응은 일단 신중론이 우세하다. 3G망을 쓰는 통신요금 문제나 아이패드의 사양이 문제다. 멀티태스킹, 카메라, 이동식 저장장치, 웹 플래시, 메모리 확장 지원이 안돼 국내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다만 플립(flip) 기능 등 기존 전자책 단말기에 비해 월등한 기능들이 눈에 띈다. 어중간한 니치마켓의 지점에 놓였다고 봐야 할 것이다. 콘텐츠 사업자는 약간 다르다. 아이팟-아이폰-.. 2010. 1. 28.
불멸의 라디오를 향한 실험 시인 김수영은 1966년에 발표한 시 에서 금성라디오 A504를 500원 깎아서 일수로 사들여왔다고 적었다. 시인이 노래한 이 라디오는 전후의 황폐한 시대 속에서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의 타락을 이끄는 기계였다. 사실 1951년 최초로 생산된 국산 라디오는 1960년대 후반에 사치품 단속 목록에 오를 정도로 귀중했다. 물론 라디오가 대중의 품에서 애지중지한 존재가 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대중의 애환을 달래줄 미디어가 부재했던 시대에 라디오의 영향력은 지대했다. 사람들은 삼삼오오 모여 라디오로 들려오는 소리에 귀 기울였다. 육중하고 우직하게 보이는 라디오가 공동체의 한 가운데에 선 것이다. 사람들은 라디오를 통해 서로를 만났고 스토리를 공유했다. 세상의 희로애락이 라디오에 통째로 들어왔다. 이렇.. 2010. 1. 28.
뉴스캐스트 개선안 살펴봤더니 네이버 뉴스캐스트 서비스 개선안이 공개됐다. NHN은 25일 오후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원사 대상의 설명회에서 언론사 홈페이지 헤드라인 기사와 각 섹션별 주요 기사를 뉴스캐스트 편집화면에 배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뉴스캐스트 서비스 개선안을 밝혔다. 주요 내용(미디어오늘 22일자 온라인판 참고)을 보면 첫째, 상단에 노출되는 굵은 글씨의 헤드라인 기사는 언론사 온라인 페이지의 헤드라인 기사와 일치 둘째, 2단으로 돼 있는 기사 배치는 1단으로 축소 셋째, 제목 앞에 섹션을 명기하고 섹션별로 1개의 기사 등록 넷째, 현재 언론사별 페이지와 별개로 주제별 페이지 신설 다섯째, 네이버 초기화면 뉴스캐스트는 주제별 뉴스캐스트판을 기본값으로 설정 등이 추진된다. △ 언론사별 편집판 뉴스갯수 7개 .. 2010. 1. 27.
뉴스캐스트 언론사 편집권 제한 개선방향 논란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시행 1년여만에 서비스 방식을 바꾸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복수의 언론사 관계자들에 따르면 뉴스캐스트를 운영 중인 네이버 미디어 실무진 등이 최근 언론사(닷컴)를 돌면서 현행 언론사의 뉴스편집권을 보장하고 있는 뉴스캐스트에 '제한'을 가하는 개선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즉, 각 언론사가 운영하고 있는 뉴스 사이트의 헤드라인과 (섹션별) 톱기사의 내용을 뉴스캐스트 편집화면에 매칭하는 형식이다. 이럴 경우 언론사 뉴스 사이트 초기 화면의 헤드라인과 각 섹션의 톱 기사-제목을 해당 언론사 뉴스캐스트 편집면에 똑같이 적용받게 된다. 결국 연예뉴스나 토픽뉴스 등을 중심으로 한 제목 장사나 선정적 뉴스 경쟁은 뉴스캐스트에서 강제로 사라지게 된다. 이에 대해 언론사들의 반응은 한 마디로 "심란하.. 2010. 1. 24.
국내 신문업계 뉴스 유료화 어디로 향하나 뉴욕타임스가 20일 2011년부터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시행키로 하면서 국내 뉴스 미디어 업계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무료 뉴스 서비스를 고수하고 있는 흐름에 변화 기류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업계의 기대가 고조되고 있어서다. 일단 신문업계를 중심으로 뉴스 유료화 흐름은 '정중동'인 상태다. 드러내놓고 독자적인 유료화를 하기에는 부담되기 때문에 조용한 논의를 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신문사의 규모나 경쟁력 등의 차이에 따라 온도 차이가 심한 편이다. 메이저 신문업계는 "할 수도 있다"는 판단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메이저신문 관계자는 "콘텐츠에 대한 퀄리티 업이 전제된다면 어떤 시점이냐는 점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메이저신문의 닷컴사 관계자도 "이것이다 하는 게 있다면 안할 이유는.. 2010.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