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0

[펌] 포털 뉴스, 언론기능 외면 언제까지 여러분은 보통 어떻게 뉴스를 접하고 계십니까? 아마도 많은 분들이 상당수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실린 뉴스를 많이들 이용할 텐데요, 오늘날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는 국내 언론사 대부분으로부터 뉴스를 공급받아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만 그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은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비판받고 있습니다. 이른바 인터넷 포털 뉴스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알아봤습니다. 이진성 기자가 함께했습니다. 이 기자! 인터넷 포털사이트 뉴스의 영향력, 정말 대단하죠? 이진성 기자: 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때 주로 어느 인터넷 사이트에서 어떤 뉴스를 봤다는 게 주된 화제가 될 정도니까요. 사실 포털 뉴스는 텔레비전과 신문에 비해 이용자들이 접근하기도 쉽고 매체별로 다양한 기사가 올라오는데다 댓.. 2006. 9. 18.
뉴미디어 대충격-신문도 TV도 죽었다 미디어 산업이 요동치고 있다. 신문 구독률은 나날이 떨어지고 있으며, TV 시청자들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젊은층일수록 신문과 TV를 멀리 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세상 소식과 담을 쌓고 사는 걸까? 결코 그렇지 않다. 이들도 뉴스를 보고 듣는다. 다만 올드미디어인 신문과 TV를 통해서가 아니라 뉴미디어인 인터넷 포털을 통해 뉴스를 접한다. 휴대폰 문자로 뉴스를 서비스 받는 이들도 있고 DMB로 동영상 뉴스를 보는 이들도 적지 않다. 그렇다고 신문과 TV가 뉴 미디어에 밀리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수익원을 찾기 위해 경영구조를 개선하고 콘텐트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미디어 전쟁은 어떤 결말로 끝날까.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포털의 파워는 어디까지 .. 2006. 9. 14.
국민일보 웹사이트 인상적인 개편 온라인미디어뉴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일 개편된 국민일보 웹사이트는 여러 측면에서 상당히 진보적인 개편으로 평가된다. 첫째, 첫 인트로 화면의 인터페이스가 플래시를 적용, 뉴스-라이프-TV-미션-국민일보 인쇄판 등 다섯개 카테고리로 구성했다. 여기서는 각 카테고리의 콘텐츠 목록을 볼 수 있고, 해당 콘텐츠를 클릭하면 뷰 페이지로 넘어가게 설계돼 있다. 둘째, 이러한 파격적인 디자인보다 더욱 주목되는 것은 인터넷 브랜드 뉴스인 '쿠키뉴스'를 전면에 내세운 것이다. 국민일보는 종전 도메인(kmib.co.kr)을 포기하고 쿠키뉴스를 대표 도메인으로 설정했다. 또 CI도 국민일보 대신 쿠키뉴스를 앞세웠다. 셋째, 또 이번 개편에서는 국민일보 신문 기사 서비스를 PDF(디지털북)로 부각시켰다. 대부분의 뉴스는 쿠.. 2006. 9. 12.
네트워크 뉴스 '네트워크 뉴스(networked news)'라는 개념이 빈번히 인용되고 있다. 미국의 유명 블로거이자 뉴욕시립대에서 저널리즘 관련 분야의 교수로 재직중인 제프 제이비스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네트워크 뉴스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그의 정의를 따라가면 다음과 같다. "뉴스조직은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협력적인 관계들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계층의 시민기자들과 소통하고 있는 것이다. 저널리즘은 많은 수준에서 협력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뉴스조직은 시민기자들에게 의지하고 있다. 거시적 수준에서 리포팅을 위해 시민들에게 의지하고 있다. 또 개인적 수준에서 시민들이 직접 리포팅을 해서 뉴스조직에 참여한다. 그리고 네트워크에서 뉴스조직은 시민들의 노력-콘텐츠, 홍보 교육, 수입 등-을 후원한다. 저널리즘은 프로.. 2006. 9. 11.
멀티미디어 저널리즘-인포그래픽스(infographics) Expert tips for journalists working in a visual, multi-media world최근 미국은 비주얼, 멀티미디어 저널리즘이 저널리스트들을 압박하고 있다. 블로거를 비롯 지식대중으로 성장한 이용자들은 이미 플래시나 다양한 기술들을 동원, 콘텐츠의 변형을 가하고 있어서이다.이들은 플래시, 포토셥 등을 활용 ‘뉴스 스토리 패키지’를 연출하고 인포그래픽스(infographics)의 미래를 열고 있다. 결과적으로 전통매체가 콘텐츠의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기까지 하다.이에 반해 기자들은 적응하는 데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으며, 과연 이것이 자신에게 적합한 것인지 의문하고 있다. 심지어 뉴스조직에서도 블로그 개설과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수준낮은 업무로 보는 경향이 줄어들지.. 2006. 9. 8.
신문기업을 살리는 길 지난 십여년간 국내외 언론은 인터넷을 향한 전쟁으로 지쳤다. 게다가 규모의 경제가 불가능한 한국신문은 그간 인터넷에서 수행한 전략적 오류로 말미암아 상당히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다. 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던 1990년 후반 신문사 인터넷 서비스는 신문기사를 전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언론사 닷컴기업들 대부분은 ‘엘도라도’를 꿈꾸며 무차별적인 기사제공, 광고 영업으로 ‘수입’을 챙기느라 분주했다. 그러나 포털사이트와 독립형 인터넷신문이 쏟아진 2002년 후반기를 지나면서 그러한 인터넷 운영이 잘못된 것임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상당한 닷컴기업에서 구조조정이 뒤따랐고 콘텐츠와 저널리즘을 고민하게 됐다. 최근 주요 신문사닷컴은 서비스의 차별화를 기하고 있다. 편집국 기자가 직접 참여하는 동영상 서비스는 .. 2006.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