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8

조인스닷컴, 웹2.0형 뉴스 서비스 선봬 조인스닷컴이 기존의 일반적인 푸쉬형 뉴스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전환하고 나섰다. 조인스닷컴은 중앙일보, 일간스포츠, 월간중앙, 뉴스위크, 프라이데이 등의 다양한 뉴스를 이용자 블로그나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도록 'Take-Out 뉴스'를 시작했다. 이용자들이 조인스닷컴을 방문하지 않아도 조인스닷컴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뉴스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 것.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태그를 삽입만 하면 된다. 우선 태그삽입 여부를 확인한 뒤 자신의 홈페이지에 맞게 폭을 설정, 태그를 생성하고 정해진 곳에 붙여넣기를 하면 된다. 조인스 헤드라인뉴스-속보 서비스-주가검색창 서비스 등의 형태로 구성된 'Take-Out 뉴스'는 상장기업 및 공공기관의 경우를 제외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2006. 9. 21.
기자 블로그 콘텐츠, 뉴스인가? 오마이뉴스는 19일 '단상점거중에 싸이질 하는 의원들'을 담은 박정호 기자의 기사를 등록했다. 그러나 이 기사는 박 기자의 '정식' 기사가 아니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이었다. 오마이뉴스 편집진은 20일 정오 무렵까지 메인 사이트에 '[블로그]'라는 머릿제목을 달고 등록하다가 관련 기사로 처리할 때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이 '한쪽선 점거 한쪽선 사이질'로 묶여 '공식기사'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 기사제목을 클릭하면 박 기자의 '양을 쫓는 모험' 블로그 포스트로 넘어가게 돼 있다. 기사와 블로그가 뒤섞이는 것은 온라인저널리즘의 한 풍경이다. 그런데 박 기자는 왜 정식 기사로 처리하지 않고 '블로그 포스트'로 등록했을까? 오마이뉴스에서 국회에 출입하며, 영상을 담당하는 박 기자는 여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2006. 9. 20.
[up] "포털뉴스에 대한 정치권 시각 교정돼야" 포털 뉴스 서비스를 둘러싼 이슈가 국감장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신문법 개정안에포털 뉴스를 ‘인터넷 신문’으로 규정, 논란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 왔다. 또 정치권은 아직 구체적인 사유는 밝혀져지 않았지만 주요 포털사이트 대표를 국감장에 증인으로 출석시킬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한나라당 정책 탱크인 ‘여의도연구소’는 19일 ‘포털뉴스 무엇이 문제인가?’란 연구자료를 배포했다. 이 자료는 “포털 뉴스가 단순한 정보제공 차원을 넘어 오프라인과는 다른 차원의 의제설정을 하고 있다”며 그 근거로 뉴라이트 계열의 ‘자유주의연대’의 지난 5.31. 지방선거 관련 포털뉴스 모니터링을 내세웠다. 또 여의도연구소는 "조중동 기사는 약 10% 메인화면에 노출되고, 연합-노컷-오마이-프레.. 2006. 9. 19.
iMBC 현황 - iMBC 영상파트 현황 PD 3명, 정규직 1명, 파견직 5명, 업무 보조 3명방송부가 영상제작, 스페셜 VOD, 영상스케치 전담방송, 라디오 인코딩, 영상광고 제작V-Station 별도 영상 담당[참고] 6미리 카메라 - iMBC 주요 수익모델 방송 콘텐츠 유료 판매MBC 웹에이전시광고-이벤트 - iMBC 규모 120명(비정규직 포함)2005년 매출 213억, 영업이익 65억 덧글. 지상파 방송사 사이트들도 뉴스 서비스 및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이들의 현황을 본 블로그에서 소개한 적이 있는데, iMBC의 콘텐츠(영상) 파트 관련 소개 자료의 일부를 발췌, 포스팅한다. 앞으로 국내 지상파 방송사의 뉴스 서비스는 웹TV 등 다양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통해 콘텐츠의 진보를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2006. 9. 18.
[펌] 포털 뉴스, 언론기능 외면 언제까지 여러분은 보통 어떻게 뉴스를 접하고 계십니까? 아마도 많은 분들이 상당수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실린 뉴스를 많이들 이용할 텐데요, 오늘날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는 국내 언론사 대부분으로부터 뉴스를 공급받아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만 그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은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비판받고 있습니다. 이른바 인터넷 포털 뉴스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알아봤습니다. 이진성 기자가 함께했습니다. 이 기자! 인터넷 포털사이트 뉴스의 영향력, 정말 대단하죠? 이진성 기자: 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때 주로 어느 인터넷 사이트에서 어떤 뉴스를 봤다는 게 주된 화제가 될 정도니까요. 사실 포털 뉴스는 텔레비전과 신문에 비해 이용자들이 접근하기도 쉽고 매체별로 다양한 기사가 올라오는데다 댓.. 2006. 9. 18.
뉴미디어 대충격-신문도 TV도 죽었다 미디어 산업이 요동치고 있다. 신문 구독률은 나날이 떨어지고 있으며, TV 시청자들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젊은층일수록 신문과 TV를 멀리 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세상 소식과 담을 쌓고 사는 걸까? 결코 그렇지 않다. 이들도 뉴스를 보고 듣는다. 다만 올드미디어인 신문과 TV를 통해서가 아니라 뉴미디어인 인터넷 포털을 통해 뉴스를 접한다. 휴대폰 문자로 뉴스를 서비스 받는 이들도 있고 DMB로 동영상 뉴스를 보는 이들도 적지 않다. 그렇다고 신문과 TV가 뉴 미디어에 밀리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수익원을 찾기 위해 경영구조를 개선하고 콘텐트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미디어 전쟁은 어떤 결말로 끝날까.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포털의 파워는 어디까지 .. 2006.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