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0

"언론사 대선UCC 관점 바뀌어야" 미디어 환경에서 UCC 흐름이 확대되면서 언론사들의 행보도 바빠지고 있다. 포털이나 블로그, 미니홈피로 빼앗긴 이용자들과 그 콘텐츠를 어떻게 하면 언론사 뉴스와 결합시킬 것인가의 과제가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2002한일월드컵, 탄핵정국에서 이용자들의 위력은 검증된 바 있다. 언론사들은 당시 포털사이트에 압도돼 이렇다 한 이용자 껴안기, 이용자 콘텐츠를 제시하지 못했다. 이번 대선은 언론사들이 UCC를 효과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어 그 첫 실험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보의 조인스 대선 UCC 채널은 가장 강력한 서비스이다. 매니페스토 캠페인이나 여론조사 패널 운용도 비슷한 맥락으로 움직이고 있다. 중앙일보는 아예 웹2.0형 UCC 플랫폼인 ‘프리애그(FreeEgg)’를 준.. 2007. 9. 12.
네이버 뉴스박스 왜 '신정아 뉴스'될까? 네이버는 지난 8월 편집자 레터 '2007 대선뉴스 이렇게 운영합니다'를 통해 "네이버 뉴스는 하나의 이슈에 대해 다양한 언론사들의 보도와 논조를 종합하고 객관적으로 전달해 이용자들이 균형잡힌 정보를 얻도록 하는 목표를 최고의 가치를 생각하고 있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그러나 네이버는 대선 뉴스의 경우 워낙 첨예한 사안이기 때문에 별도의 '서비스 준칙'을 마련, 이를 공개했다. 서비스 준칙으로는 특정 후보자나 정당에 치우치지 않은 서비스(균형성), 에디터들의 독립성 보장,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소문에 근거한 기사인지 여부에 유의(정확성) 등을 정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 대선 뉴스 서비스는 후보 확정이나 사퇴 등 대형이슈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특정 후보의 기사노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즉, 네이버 메인.. 2007. 9. 11.
앙코르와트의 비경 후배 기자가 지난 여름 앙코르와트를 방문한 뒤 이 사진을 건네줬다. 이 사진은 삶의 의미와 자리를 새롭게 보도록 해줬다. 나의 남루한 마음들로 상처입었을 사람들과 또한 그로 인해 고통받았을 나의 영혼에게 미안하다. 2007. 9. 7.
NHN-구글 진검승부 한다 한국 시장을 공략 중인 구글이 조선, 동아, 한경 등 10개 신문사(닷컴)으로 구성된 뉴스뱅크협의회에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7일 온라인미디어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구글 관계자들이 이번 주 초 뉴스뱅크 협의회 관계자들을 만나 아카이빙 구축지원은 물론이고 온라인 광고 솔루션을 통한 수익쉐어 제안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글 제안은 뉴스뱅크 참여 언론사의 아카이빙 구축을 지원하며 구글 애드센스와 뉴스뱅크 애드솔루션 등 공동의 온라인 광고 프로그램을 통한 수익을 쉐어하는 것이 주내용이다. 특히 국내 포털처럼 콘텐츠를 보유하면서 서비스를 만들어 트래픽도 독점하는 방식이 아니라 언론사(뉴스뱅크)가 콘텐츠와 트래픽을 가지는 형태를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사 공동 뉴스 페이지(뉴스포털) 구축지원설이 나온 것도 그.. 2007. 9. 7.
올드미디어와 대학의 제휴 텍스트 미디어에서 영상 미디어로 전환되고 있는 시장환경에서 전통매체의 생존전략 마련이 주목받고 있다. 전통매체의 생존전략은 일단 콘텐츠 생산조직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확보하느냐로 모아지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해 말부터 기자들에게 캠코더를 지급했고, 일부 신문도 닷컴 등을 통해 영상 취재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MPP화한 중앙방송을 거느린 중앙일보는 국내 최대 디지털뉴스룸에 영상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JES나 중앙m&b 등 계열사에 파견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현재 서울에서 발행되는 10개 종합일간지 가운데 영상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곳은 '문화일보' 밖에 없다. 그러나 전통매체의 영상 서비스 실험이 시장과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는 것은 아니다. 비슷한 소재와 내용 때문에 웹 사이트에 제공되는 영.. 2007. 9. 4.
파워 블로거들, 기성언론과 전쟁중 한 유명 기업의 노트북 배터리 폭발현상을 처음으로 알린 곳은 테크놀러지 관련 블로그에서다. 이 때문에 이 기업은 대규모 배터리 리콜을 실시했다. 주류 미디어의 진입로로 자리매김한 미디어 블로그의 영향력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다. 블로그가 생산, 유통하는 콘텐츠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기업과 전통매체의 관심과 투자도 집중되고 있다. 과거에 단순한 일상을 기록하거나 타인의 정보를 갖고 오는 ‘펌질(스크랩)’에 머물던 블로거들도 창조적인 콘텐츠 생산과 활발한 소통에 나선 것도 주목된다. 일부 블로그들은 팀 형태로 그룹화해서 전문적인 콘텐츠를 만들기도 하고, UCC 채널에서 인기 콘텐츠를 쏟아내면서 일약 스타덤에 오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종의 파워 블로거들이 관련 분야에서 유무형의 영향력을 획득하게 되는 것은 일.. 2007.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