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청자37

바람직한 시청률 조사는? Q. 현재 시청률은 어떻게 조사되고 있는지? A. 정확한 시청률을 산출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은 전국의 모든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를 실시하는 전수조사입니다. 그러나 국내 조사현실상 불가능하므로 표본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6개 광역도시 또는 전국의 주요도시에 거주하는 2000여 가구를 패널로 하며 학력과 소득, 사회적 지위나 직업과 관계없이 조사 대상자에 넣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들 패널로 선정된 가구의 TV 수상기에는 시청률을 측정하는 미터기를 부착합니다. 피플미터 방식이라고 불리는 이 시청률조사방법은 패널 가구의 구성원들이 TV를 시청할 때 누가 시청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패널가구 구성원들이 단추를 누르는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이렇게 패널 가구로부터 조사된 결과는 밤사이 모뎀을 통해 시청률 .. 2008. 2. 12.
올바른 TV시청 습관은? 1. TV가 시청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TV라는 것은 고정된 장치입니다. 모든 사람들을 장시간 몰입하게 만듭니다. 당연히 TV로 인한 신체의 이상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만, 시력저하, 편식 등은 물론이고 정신적으로도 창의성을 떨어 뜨리게 됩니다. 바보상자라고 그러는 것은 그러한 맥락입니다. 여유시간도 TV보는 것으로 때우기도 합니다. 또 심각한 경우 우울증이나 대인기피증 등 정신질환을 조장하는 온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오죽하면 시민단체에서 TV안보기 운동까지 벌이겠습니까. 여기에는 TV가 유도하는 일정한 틀에 의해 사람들이 중독되는 현상들에 대한 경계심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TV가 가장 강조하는 가치나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하면 시대에 뒤쳐진 사람, 조직으로 평가되기 십상입니다. 즉, 잘.. 2008. 1. 15.
통일전망대 비평 MBC TV돋보기- 에 대한 리뷰 인터뷰를 마쳤다. 나는 이 인터뷰에서 통일전망대가 제시하는 통일 관련 영상 정보의 최신성, 구체성, 입체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통일 문제, 남북 현안을 비롯 남북간 이질감을 줄이는 방법들에 대해 보다 현장감 있는 방송구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면 북한말에 대해서 일반 대중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인터뷰도 하는 등 국민들의 의견을 많이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는 지상파 방송사 프로그램 중 유일무이한 미래지향적 통일지향적 화해공존적 방송 프로그램인만큼 소통에 대해 더 적극적인 스탠스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터넷 홈페이지는 현재 거의 소통과는 무관한 메뉴로 구성돼 있는데, 제작진의 분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래는 방송 작가가 를 다룬 이 꼭지.. 2007. 11. 24.
방송과 전통 MBC TV 문화 창조 - [우리 프로그램에는 전통이 살아 있는가?]란 주제로 인터뷰가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 방송 프로그램을 보면 서구식 문화 위주로 구성된 것이 많다. 방송 소재도 그렇고, 방송 언어도 그렇다. 그 이유는 물론 글로벌 시대의 영향으로 우리 생활이 이미 많은 부분에서 서구화됐기 때문일 것이다. 더구나 시청자들이 전통에 대해서 터부시하거나 지루해하는 경향도 있는 듯 싶다. 그렇다면 방송은 어떻게 전통의 미를 살려내야 할까? 상투를 틀고 갓을 써야 하는 식으로 ‘전통’을 강조해서는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 한국의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을 만한 좋은 점을 프로그램 속에서 만나게 하는 장치들은 없을까? 일단 한국의 미, 전통을 소재로 다루는 일을 하는 주인공들을 드라마나 교양 프로그램에 많이 .. 2007. 9. 22.
TV는 돈을 어떻게 보나 MBC TV 문화 창조 - [돈에 대해 어떻게]라는 주제를 갖고 인터뷰가 있었다. 최근 너나할 것 없이 재테크에 열을 올리고 있고 방송에서도 덩달아 재테크 관련 정보들을 쏟아내고 있다. 사실 이런 분위기가 시작 된 것은 불과 1~2년 전이다. 1970년대와 80년대 그리고 IMF를 지나면서 방송은 절약과 저축을 미덕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이제는 어떻게 하면 남보다 빨리 돈을 벌고 투자할 수 있는지로 방향이 바뀌었다. 또 돈이 마치 성공의 모든 것인양 간주한다거나 돈의 가치를 공공적으로 활용하는 노력들은 상대적으로 비춰지지 않고 있다. 시청자들이 돈을 벌고 싶어하는 욕구가 큰 것은 사실이다. 그러한 정보가 필요한 것도 인정된다. 그러나 방송이 이같은 정보를 제시할 때 지나치게 위화감을 조성한다거나 허무맹랑.. 2007. 9. 1.
달라지는 시청 문화 MBC TV 문화창조-[달라진 시청문화]에 대한 인터뷰 대본. 방송문화에서 예전과 크게 달라진 점을 꼽아보라면 ‘시청문화’가 아닐까 싶다. DMB가 널리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꼭 TV 앞에 앉지 않아도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시간 맞춰 볼 수 있게 됐고, 인터넷 다시보기는 굳이 그 시간에 그 프로그램을 보지 않아도 되게끔 만들었다. 케이블 TV에서의 지상파 프로그램 재방송 역시 시청시간을 자유롭게 풀어주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달라진 시청문화. 방송사는 이런 시청문화에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달라진 방송문화로 인해 방송 시스템도 분명 크게 바뀌는 날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1. 과거의 시청문화에 대해 (시청자 관점에서) 과거에는 TV가 가족을 하나의 공간으로 결속시키는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T.. 2007.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