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486

[펌] 언론사 블로그, 조선 '독주' 언론사 블로그, 조선 ‘독주’랭키닷컴, 블로그 순위 분류[ 차정인 기자 / presscha@journalist.or.kr ]언론사 블로그 사이트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조선닷컴의 블로그 인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랭키닷컴은 지난해 12월부터 순위 정보 리스트 ‘뉴스 & 미디어’에 ‘언론사 블로그’ 분류를 신설했다. 랭키가 분류하고 있는 언론사 블로그는 디지털타임스, 미디어칸, 블로그정글, 세계, 스포츠조선, 연합, 오마이, 전자신문, 조선, 한국 등 모두 10개 사이트다. 이 가운데 10일 현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블로그는 ‘조선 블로그’. 조선은 10개 사이트 가운데 점유율 56.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 평균 방문자수는 4만6천3백24명, 일 평균 페이지뷰는 2십4만9.. 2006. 3. 15.
신문기업, 콘텐츠 코디네이터 필요 올드미디어(신문기업)의 고민과 시름이 깊어가고 있다. DMB를 시작으로 와이브로 등 포터블 디바이스(휴대 단말기) 환경이 눈 앞에 펼쳐져 있고, IPTV-DTV 등 인터액티브 홈네트워크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신문기업의 뉴스조직으로는 새로운 시장환경에 걸맞는 콘텐츠 생산과 배포가 쉽지 않다. 신문기업은 나름대로 통합뉴스룸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반을 구축하려고 하지만 투자여력을 갖고 있는 곳이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일부 신문기업은 현재 동영상 뉴스 등 멀티형 콘텐츠 제작에 뛰어들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상태다. 국민일보 뉴미디어센터, 동아일보 등은 종이신문 기자, 온라인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동영상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고, 조선일보 등은 이용자 참여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 확보를 위해 직접투자까지 감수.. 2006. 2. 28.
오마이뉴스-日소프트뱅크 투자계약의 의미 온라인미디어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오는 22일로 창간 6주년을 맞는 오마이뉴스는 22일 "소프트뱅크(대표 손정의)와 총 110억원(1천1백만달러)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 기자간담회를 통해 "시민참여저널리즘 모델을 세계화하기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고 21일 520만달러 투자를 받은 데 이어 3월중 나머지 투자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 대표는 "지난해 9월부터 6개월여의 실무협의를 거쳐 지난 14일 소프트뱅크 도쿄 본사에서 투자계약서에 서명했다"고 말했다.(more) 오마이뉴스-소프트뱅크의 짝짓기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올드미디어에게는 지식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과 창조적인 오너십의 과제를 제시한다. 전통적인 올드미디어들도 최근 CRM(독.. 2006. 2. 22.
[펌] 온라인미디어 10년…과거의 기록 온라인미디어 10년… 과거의 기록 [새책] 온라인신문, 경쟁과 생존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권혜선 기자 sunny7087@mediatoday.co.kr 한국온라인신문협회(회장 김수섭·온신협)가 신문뉴스의 인터넷 전파 10돌을 맞아 온라인신문의 현황과 남은 과제를 짚어보는 (커뮤니케이션북스)을 펴냈다. 신문닷컴사, 인터넷신문, 미디어비평지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약하고 있는 9명의 기자들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김은국 인터넷한겨레 미디어편집팀장, 안신길 세계닷컴 기자, 박창신 조선일보 기자, 조대기 이슈아이 편집국장, 김명수 인터넷한겨레 콘텐츠팀장, 선호 미디어오늘 기자, 신한수 전자신문인터넷 기획팀 차장, 최진순 한국경제미디어연구소 기자, 이승훈 전 국민일보 쿠키뉴스 기자, 차정인 기자협회보 기자 등 9.. 2006. 2. 15.
[펌] 온라인 신문, 경쟁과 생존 온라인신문협회(회장 김수섭)가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온라인 신문, 경쟁과 생존’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저널리즘과 뉴미디어의 주요 현안을 정리한 책을 발간했다. 이 책은 1부 온라인신문의 현황, 2부 온라인 미디어의 전망과 미래, 3부 쟁점과제 등으로 주제를 구분하고 온라인신문협회 관계자와 미디어담당 기자 등이 참여해 세부 사항을 정리했다. 1부 온라인신문의 현황에서는 닷컴사로 대변되는 온라인신문의 태동과 현재를 짚어보고 2부 온라인 미디어의 전망과 미래에서는 인터넷 미디어와 포털의 한판 승부, 매체융합 등을 집중적으로 정리했다. 3부 쟁점과제에서는 온라인뉴스 콘텐츠 산업 위기의 해법과 포털저널리즘, 디지털 뉴스 저작권의 쟁점과 전망, 온·오프 통합 뉴스룸 등을 다뤘다. 이 책의 특징은 인터넷한겨레, .. 2006. 2. 8.
온오프라인 통합뉴스룸의 현재와 미래 ...(중략) 3. 국내 통합 뉴스룸 현황 현재까지 통합 뉴스룸을 구현하고 있는 언론사는 없다. 물론 통합 뉴스룸이란 이름으로 또는 목적을 가지고 부분적인 조직 개편이나 인력의 충원, 인터넷 뉴스의 강화가 진행되기는 한다. 그러나 통합 뉴스룸은 첫째, 서로 다른 매체의 구성원들이 뉴스 생산과 관련돼 얼마나 자주, 그리고 실제적으로 소통하고 있는가 여부 둘째, 이를 통해 뉴스 콘텐츠의 형식과 내용이 종전보다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 셋째, 이 결과 이용자와 시장의 반응이 산업적으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인가 여부로 그 ‘통합’의 진정성이 평가될 수 있다. 물론 최근 일부 언론사가 종전의 피상적인 결합을 벗어나는 시도들을 보이고 있어 그 귀추가 주목되는 단계이다. 하지만 온라인 신문의 상황에서는 여전히 .. 2006.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