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미디어뉴스/국내

연합뉴스, 뉴스 전재료 25% 인하 제안

by 수레바퀴 2013. 2. 12.


연합뉴스가 서둘러 뉴스 전재료 25% 인하 제안을 한 것은 주요 신문사의 완강한 요구에 밀린 것으로 보인다. 일부 언론사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연합뉴스를 상대로 전재료 인하, 포털 기사 공급 중단, 기사판매 방식 변경 등을 요청해왔다. 양측의 공방이 어떻게 매듭지어지느냐에 따라 포털 이슈, 신문진흥 제도 등 외연이 확장될 가능성도 커 보인다.


연합뉴스가 주요 신문사에 제공하는 뉴스 전재료의 25% 인하를 제안했다.


연합뉴스는 12일 오후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미디어 상생을 위한 연합뉴스 제안 설명회'를 열고 한국신문협회 소속 43개사(중앙지 19개사, 지방지25개사) 오프라인 매체의 전재료를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또 신문-포털-연합간 유료화 방안을 모색하는 3자 회의를 추진하고, 주요 기사 중심으로 서비스해 포털 송고 기사량을 줄이는 기사 제공 방식 개선도 검토하겠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는 기사 노출량을 축소하기 위해 자사 홈페이지도 개편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의 이같은 제안에 대해 이날 참석한 주요 신문사 담당자들은 "근본적으로는 연합뉴스의 소매 유통 행위가 중단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 메이저신문의 관계자는 "기사 전재료 인하 외에는 현실적인 제안이 없다"면서 "25% 인하폭도 연합뉴스가 누리는 특혜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적다"고 지적했다.


특히 신문사들은 내외신 일괄 판매 방식에 변화가 없고, 실시간 기사 송고를 중단하는 등의 획기적인 내용이 없었던 것에 아쉬움을 표했다.


이에 대해 연합뉴스는  "언론기업으로서 뉴미디어 모델을 포기할 수 없다. 뉴스1, 뉴시스 등 다른 통신사와 경쟁하고 있는 상황을 이해해달라"면서 기사 소매 유통 방침을 고수했다.


그러나 연합뉴스는 한국신문협회 소속 회원사들이 포털 기사 공급을 중단할 경우 함께 동참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신문협회는 조만간 기조협의회를 소집해 연합뉴스 제안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는 뉴스 산업의 미래를 위해 신문사들과 함께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신문사들의 불편한 마음을 어루만지는 데는 다소 미흡했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통신사와 신문사가 '상생'을 논의하는 이례적인 자리를 마련한 연합뉴스 관계자들은 이날 주요 신문사에서 나온 참석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느라 땀을 뺐다. 


전재료 인하는 모두의 관심사였다. 연합뉴스로서는 1998년 이후 전재료를 한 차례도 인상하지 않다가 15년만에 오히려 인하를 추진한 것이니 특별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인하 시점은 (한국신문협회의 입장 정리가 끝나는대로) 3월부터 일괄 적용될 것이란 이야기가 나왔다. 


그러나 신문사닷컴이나 다른 인터넷매체는 전재료 인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일부 언론사들이 요구해온 내신-외신 분리 판매 상품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연합뉴스는 "내외신 분리판매는 세계적으로 예가 없고 기사 성격상 분리자체가 쉽지 않다”면서 “분리 판매하더라도 언론사가 실제로 가격인하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포털에 기사를 제공하거나 홈페이지를 통해 기사를 노출하는 등 기사 소매 유통을 중단하라는 언론사의 불만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대응했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매출의 40%를 지원받는 AFP도 구글, 야후에 제공한다며 구체적인 사례를 들었다.


이와 관련 연합뉴스의 한 관계자는 "통신사 중 교도통신만 포털에 기사를 공급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매출중 80%가 언론사에게 받는 전재료"라고 설명했다.


현재 연합뉴스는 신문사로부터 벌어들이는 전재료 수입이 매출의 20%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연합뉴스는 포털에 제공하는 기사량을 줄이고 주요기사 중심으로 바꾸려면 편집기준이나 제작시스템이 보완돼야 하는 등 시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부터 주요 신문사들이 연합뉴스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합뉴스가 서둘러 내놓은 제안이 언론사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신문사 관계자들은 연합뉴스가 언론사 전재료, 포털 제공료, 정부의 뉴스구독료 외 별도의 예산지원(뉴스통신진흥법)을 받고 있어 '공공의 적'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퀄리티 저널리즘을 위한 언론사들의 혁신은 지지부진한 가운데 연합뉴스를 도마 위에 올린 것은 어쩐지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