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픈한 `고로케`가 화제다. 트래픽 없이는 살 수 없어 기사 제목을 자극적으로 다는 한국 언론의 병폐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기사 제목을 매만지는 한국의 전통매체 온라인 뉴스룸 편집기자들은 부끄럽다면서도 네이버 탓이라고 항변한다. 독자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참담하다” “우리에게만 책임을 전가해선 안 된다”
언론사들이 온라인에서 ‘기사 제목’을 비틀어 독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이른바 ‘낚시성 기사’ 리스트를 공개한 사이트 ‘고로케’에 대해 언론사 온라인 뉴스룸 편집 기자들의 반응이 나왔다.
뉴스룸에서 실제 온라인 기사 제목을 다는 기자들은 ‘고로케’를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더 심각하게 깨닫고“ ”뉴스가치를 다시 생각하게“ 됐다는 자기 성찰적인 반응(33.3%)을 보였다.
그러나 “‘충격’, ‘경악’ 등의 단어가 기사 제목에 들어갔다고 해서 ‘낚시’라고 단정해서는 안된다, 온라인 속보 경쟁을 하는 시장 속성상 훌륭한 제목을 다는 건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회피성 답변도 나왔다.
특히 ‘낚시성 제목’을 다는 편집기자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해서는 안 되며 근본적으로는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원인이라고 지목하는 기자들도 있었다.
이렇게 ‘자기 변호적’인 응답(33.3%)과 단순히 “기발하다” “흥미롭다”는 제3자적 관점(16.7%)을 합하면 꼭 절반을 차지했다. 온라인 뉴스룸 편집기자들은 ‘낚시성 기사’의 책임이 자신들에게 오는 것에 대해선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50%)고 할 수 있다.
뉴스룸 분위기는 조금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에 따르면 고로케 상위 순위권에 없어 안도하고(16.7%), 뉴스제목에 자극적인 단어를 쓰지 말잔 윗선의 메시지가 나올 정도(25%)로 긴장했다. 반면 고로케로 부끄럽긴 해도 “어쩔 수 없다”는 응답은 33.3%였다.
그러나 ‘고로케’ 이후 트래픽을 끌어올리기 위한 낚시성 제목 달기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불가능할 것”이란 회의적인 전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75%). 소수이긴 해도 낚시성 제목 경쟁은 점차 개선될 것이지만 중간에 끼인 편집자들만 괴로울 것(8%)이란 답변도 있었다.
최근 온라인 뉴스 편집기자들은 `고로케`로 자극을 받았다. 하지만 트래픽으로 먹고 살아야 한다는 `윗선`의 정책 기조 변화는 불확실하다. 독자들이 좋은 온라인저널리즘을 살리는 `소비자 운동`에 나서줘야 한다는 희망과 함께 `뉴스스탠드`의 본격 시동에 기대를 거는 온라인 뉴스 편집기자들이 많다. `고로케`도, 독자들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1월1일부터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뉴스캐스트와 함께 제공 중인 ‘뉴스스탠드’가 본격화할 경우 언론사들 간 서비스의 전망에 대해서는 “수준 높은 뉴스 편집이 이뤄질 것”(42%)과 “뉴스캐스트 양상이 재연될 것”(50%) 등으로 팽팽히 맞섰다.
결국 온라인 뉴스 편집기자들은 트래픽 비즈니스(광고매출)에 얽매여 있는 언론사(닷컴)의 혁신에 대한 기대와 ‘뉴스스탠드’처럼 ‘낚시성 제목’으로 트래픽 끌어오기가 원천적으로 어려운 유통구조의 정착을 바라는 심리가 공존하고 있는 셈이다.
뉴스스탠드는 기본적으로 언론사 웹 사이트의 초기화면을 그대로 재현하는 방식으로 이르면 1/4분기 이후 전면 서비스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A 신문 온라인 뉴스편집팀장은 “뉴스스탠드에서도 심한 제목장사를 한다면 네이버에서 쫓겨나는 상황도 예상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면서 “이같은 심중한 상황을 자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고로케’를 만든 개발자 이준행 씨, 그리고 이 서비스를 지켜보고 있는 독자들에게 뉴스 편집기자들은 상반된 당부를 내놨다. “(언론사가 변할 수 있도록) 뉴스 소비자 운동으로 확장되길 바란다”는 뼈아픈 목소리가 나오는가 하면 “뉴스 유통구조에 갇힌 편집자 고충과 노고를 이해해달라”는 의견으로 엇갈린 것.
B신문 온라인 뉴스 편집기자는 “네이버가 트래픽을 독점하는 시장구조를 바꾸기 어렵다는 건 독자들도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생태계에 참여하는 언론사의 합의와 동참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고로케’가 하나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기대감을 피력했다.
고로케 개발자 이준행 씨는 (편집기자들의 설문 답변 내용을 전달받은 뒤) “네이버가 트래픽을 독점하는 상황에서 언론사가 먹고 살려면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것이 본질적으로 옳다고 볼 수 없지 않느냐?”고 반문하면서 “결과적으로 네이버가 언론을 관리하는 프레임에 빠져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일 오픈한 ‘고로케’는 <미디어오늘> 보도 후 <블로터닷넷>, <한겨레신문>, <오마이뉴스>, <연합뉴스>, <세계일보>, <국민일보> 등 주요 매체는 물론 블로그 기반 매체 <슬로우 뉴스> 등에서 다뤄졌다.
<미디어오늘>은 후속보도를 통해 미디어다음이 '낚시성 제목'을 다는 언론사 기사는 노출에서 배제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향후 언론사 뉴스룸 안팎에서 다양한 논의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사)한국온라인편집기자협회 최락선 회장(조선비즈 편집기자)은 <온라인미디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클릭수의 압박은 온라인 뉴스편집자의 숙명이지만 모든 것을 떠안으려고 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다음은 최 회장과의 이메일 인터뷰 전문이다.
Q. 온라인 뉴스룸의 편집기자들은 ‘고로케’를 본 뒤 “참담하다”면서도 그 책임을 네이버로 돌리는 경우가 많았다. 현실의 벽이 높다는 의미다. 뉴스룸에서 기사 편집의 ‘정석’을 복원하기 위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무엇이 있겠는가?
A. 편집기자들은 기사를 읽어 보면 클릭 수가 어느 정도 나올지 감으로 안다. 기사가 괜찮고 시의적절하다면 노출이 안돼도 독자들이 찾기 마련이다. 수준이 낮은 기사인데도 그 이상으로 트래픽을 쥐어짜려니 제목이 왜곡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경영진에서 조금이나마 풀어줘야 한다. 지금은 방관 혹은 부추기는 측면이 있지 않은가 한다. 오히려 심층취재나 인포그래픽 등 콘텐츠 자체를 업그레이드해서 방문자 수를 늘리는 시도가 필요한 때이다.
예정대로라면 뉴스스탠드 전면 전환이 두 달이 채 남지 않았다. 뉴스 유통구조의 격변에 대비해야 한다. 그때는 제목이 만사형통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Q. ‘고로케’는 온라인 뉴스 유통에 대해 여론을 환기하고 있다. 독자들에게 바라는 부분은?
A. 언론업계에서는 ‘고로케’가 연일 화제다. 고로케 상위권 리스트에 있는 해당 언론사 간부들은 낯뜨거워 한다고 들었다. 또 부정확한 제목으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독자들이 많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기사의 묘미를 잘 살리는 편집자들도 많다. 그러한 제목은 격려해 달라. 낚였다는 기사 제목은 실제로 기자가 아닌 사람이 개입하는 곳도 있을 정도로 온라인 뉴스룸은 열악하다.
특히 시장 구조도 잘 살펴봐 달라. 뉴스스탠드로의 전환은 대변화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룸 편집기자들도 그렇고 협회 차원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응원해주셨으면 한다.
(참고) <온라인미디어뉴스>는 18일 오후 3시부터 4시간 동안 (사)한국온라인편집기자협회(회장 최락선 조선비즈 편집기자)와 공동으로 주요 일간지 온라인 뉴스룸 편집기자들을 대상으로 ‘고로케’와 관련된 긴급 이메일 설문조사를 벌였다. 협회 소속 회원을 중심으로 20명에게 설문을 보냈으나 회신한 편집기자들은 지상파 방송사를 포함 모두 7개사 12명이다.
답변에 응한 편집기자들의 숫자는 많지 않지만 서울 소재 종합일간지(2개 메이저신문 포함), 경제지, 지상파방송사를 아울렀고 이중 3개 언론사 뉴스편집팀장이 직접 답변에 응해 ‘고로케’에 대한 언론사 분위기를 확인하는 기회가 됐다.
'온라인미디어뉴스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합뉴스, 뉴스 전재료 25% 인하 제안 (0) | 2013.02.12 |
---|---|
조선일보, 인터넷 기사에 '잊혀질 권리' 반영 (2) | 2013.01.08 |
중앙일보, `연합뉴스 사라진` 뉴스 생산 본격화하나 (0) | 201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