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저널리즘' 없는 국내 온라인 뉴스

by 수레바퀴 2007. 3. 15.

대만 인기모델 채숙진을 성매매자로 둔갑시킨 국내 언론사(닷컴)의 인터넷뉴스 행태를 꼬집은 미디어오늘 15일자 온라인 칼럼은 두고두고 곰씹어볼 필요가 있다.

이 칼럼에 따르면 국내 언론사는 최소한의 사실관계도 하지 않은 채 보도함으로써 대만 인기 연예인의 명예를 훼손했고, '사실'이 알려진 뒤에는 잘못된 기사를 수정해 아무렇지도 않게 다시 보도했단다.

이 오보 생산과 정리(?)까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보를 쓴 스포츠서울은 13일 오전 11시30분쯤 '대만 인기모델 매춘 파문 ‘대만 연예계 재계 발칵’'이란 제목의 기사를 썼고 그 뒤 내로라하는 언론사들이 관련 기사를 그대로 받아서 썼다.

그런데 5시간이 지난 오후 4시30분 한국은 웹 사이트에서 그날 아침 발행된 무가지 스포츠한국을 인용, 사실관계를 바로잡았다. 채숙진은 성매매자가 아니고 그 내막인즉슨 짝퉁에 의한 사기극이라는 것.

이러자 오후 7시께부터 각 언론사들의 기사가 재수정됐다. 이렇게. "알고보니 그게 아니었다"는 식.

애초부터 사실관계를 확인했다면 그러한 오보는 생산되지 않았을 터인데 경쟁적으로 보도하는 데만 급급했던 국내 언론사(닷컴) 온라인저널리즘의 현주소.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온라인저널리즘을 다루는 부서에 '저널리즘'이 최우선의 가치로 확립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저널리즘은 취재를 기본으로 한다. 현장 취재가 됐든 다른 방법을 통한 취재이든간에 공을 들이는 작업이다. 이러자면 훈련과 교육을 받은 사람과 이를 적절히 운용하는 조직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국내 언론사 온라인뉴스 부서는 그 부분에서 명쾌한 답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기자 교육과정이 없거나 있더라도 형식적으로 운영되며 그마저도 일과적으로 종료된다.

물론 그렇지 않은 온라인뉴스를 생산을 하는 곳도 있다. 독립형 인터넷신문인 오마이뉴스의 탐사보도물은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신문(방송) 뉴스조직의 저널리스트들이 온라인 뉴스조직으로 오기를 꺼려 한다는 것이다. 온라인저널리스트 및 그 업무를 업그레이드하는 어떤 장치도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보 뉴스 생산과 트래픽 제고라는 단기적인 과제에 직면한다.

현장 취재는 대부분 생략한다. 경쟁메체의 기사를 받아쓰기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 매체 경쟁력을 책임지는 경영진과 스태프(데스크)가 적재적소에 확인과 평가, 검증의 과정조차 없다.

온라인 뉴스조직은 사실상 기존 오프라인 조직과는 상관없는 것 정도 쯤으로 이해되고 있다.

심지어 어떤 뉴스조직에서는 기자 교육 없이 온라인에 투입한다. 또 온라인저널리스트에 대한 처우 문제도 심각하다. 기존 오프라인 뉴스조직의 저널리스트와는 상당히 다른 임금과 수당체계를 갖는다. 비정규직도 상당하다.

당연히 온라인 뉴스조직의 안전성이 없다. 이직률도 다른 부서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한 신문사닷컴의 취재팀 기자는 1년새 거의 조직의 절반 가량이 들고 나기를 거듭했다.

한 방송사 인터넷 관련 뉴스팀 관계자는 "한 마디로 내부 관심이 없다"고 잘라 말한다. 관심과 투자가 없으니 온라인 뉴스조직은 충실해지지 않고 있다. 자연히 트래픽과 방문자 수에만 지대한 관심을 쏟는 기형적 문화가 유지되고 있다.

물론 외국의 경우처럼 온라인저널리즘에 투자할 만큼의 시장은 아니다. 또 시장구조의 측면에서도 해답이 없는 환경이다. 하지만 신문이나 방송이 인터넷으로 뉴스를 생산하고 서비스한다는 것은 그 매체의 브랜드를 행사하는 미디어 행위의 요체이다.

현실적으로 좋은 저널리즘을 행사할 수 없다면 하지 않는 것이 낫다. 지금의 상황은 무늬만 저널리즘인 온라인 뉴스조직을 운영하는 곳이 태반이다.

심지어 대단히 규모를 갖춘 메이저 신문사의 온라인 뉴스조직에서도 경쟁메체와의 순위경쟁을 의식한 나머지 기획물이 현저히 줄고 있다. 한 메이저 신문사닷컴 소속 기자는 "현실과 이상 간에 차이가 있다. 정체성의 혼란을 느낀다"고 할 정도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저급한 저널리즘이 행사되는한 그것이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매체의 신뢰도는 추락하게 돼 있다. 가뜩이나 수준 있는 콘텐츠에 대한 평가가 낮은 시장문화에서 스스로의 명예를 버리는 행위가 내부 비평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도 문제다.

한 신문사 노보는 신문지면의 경쟁력만을 외친다. 발행부수보다 더 많은 독자가 찾는 웹 사이트에서는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않은 기사를 생산했다가 몇 시간만에 바꾸고를 반복하는 작태에 대해서는 안중에도 없는 상황이다.

메이저 일간지의 한 기자는 "(업무 및 조직패러다임 변화없이) 나더러 온라인으로만 기사를 쓰라고 한다거나 온라인에 기사를 작성하라고 한다면 회사를 나가거나 대충 쓸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외국처럼 많은 저널리스트를 디지털 부문에 투입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존 뉴스조직의 온라인 경쟁력 제고를 전개하려면 기존에 가용하고 있는 뉴스조직과 저널리스트를 재정의할 수밖에 없다.

지금보다 더 많은 저널리스트를 온라인에 가담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 뉴스조직에 더 많은 책임과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

그러자면 첫째, 미디어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플랫폼은 동등하게 다뤄져야 한다.

둘째, 저널리스트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별을 두지 않아야 한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플랫폼별 특성을 결합시킬 수 있는 뉴스생산을 위해 양 뉴스조직의 공간적, 정치적, 행정적 거리를 좁혀야 한다.    

넷째, 저널리스트와 뉴스조직은 독자, 이용자(user)를 불문하고 많은 소통의 장치를 열어 두어야 한다.

다섯째, 뉴스조직 내부에 선입견에 의해 고려된 어떠한 차별도 있어서는 안된다.

여섯째, 프로그래머, 웹 디자이너 등 디지털부문의 종사자들의 저널리즘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그들은 현대 저널리즘을 위한 소중한 우군들이다.

일곱째, 오프라인 기자들의 온라인저널리즘 이해와 교육 확산을 위해 시간과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뉴스조직을 전환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못한다면 '저널리즘' 없는 온라인뉴스는 계속 양산될 수밖에 없다.

포털 인기검색어용 기사 생산, 반복되는 오보 생산, 평면적이고 뎁쓰(심층성)가 약한 뉴스, 비주얼이 약한 뉴스는 그렇지 않은 뉴스를 생산하는 조직과 저널리스트에 의해 서서히 퇴장할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기간동안 많은 매체와 저널리스트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사라지고 말 것이다. 이미 우리는 그러한 현실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

위의 이미지는 디지털스토리텔링으로 유명한 노라 폴 교수 등이 연구한 프로젝트물로 온라인 뉴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평가물 중 하나. 이미지를 보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 시선의 초점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렇게 외국의 온라인저널리즘은 철저한 분석 성과물까지 나오면서 내적으로 성장 중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