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포털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

by 수레바퀴 2007. 1. 12.
I. 한겨레 인터넷판 기사

유명포털, 이명박 출생지 삭제 ‘정보변형’
“집단적 고객민원” 해명…‘누가 왜’도 문제

인터넷한겨레(한겨레엔)이 뒤늦게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출생지와 관련된 포털 검색 정보 변형에 대해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포털 관계자들은 “12월 말부터 이 전 시장의 출생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민원이 ‘집단적’으로 제기돼" "내부검토를 거쳐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해 등록을 보류한 것"으로 말했다. 주요 포털사이트들이 비슷한 답변을 했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작성한 이 기자는 "이 전 시장의 출생지가 일본이냐 포항이냐가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인터넷상의 주요한 개인정보가 거대한 정보서비스업체(포털)에 의해, 임의로 ‘변형’되는 데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논란이 일자 네이버는 9일 오후, 이 전 시장의 출생지를 ‘일본’으로 다시 노출하는 등 재수정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제공자인 조인스닷컴의 인물DB에선 12일 현재 출생지는 계속 삭제된 상태"이다.

대다수 포털사이트는 조인스닷컴 등 언론사가 보유한 인물데이터베이스와 계약해 그 디비의 인물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사는 “공적인 정보를 포털 스스로 가공했다는 것은 우려스러운 현상”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한경미디어연구소의 최진순 기자는 “이 전 시장의 출생지 삭제 요청이 순수한 누리꾼이었든, 캠프였던 간에 유독 이 전시장의 출생지 정보만을 누락시킨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며 “공공정보로서의 성격이 강해진 포털의 인물정보에서 포털의 자의적 가공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은 우려스러운 현상이다”고 말했다.

또 미디어평론가 변희재씨도 “최초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일부 포털에서 이 전 시장쪽의 삭제 요구가 있었다고 실토했었다”며 “일이 커지자 포털들이 말을 바꾸고 있다. 왜 뻔한 거짓말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포털을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또한 “포털에서 누리꾼들의 요청으로 이 전 시장의 출생지를 삭제했다고 하면서 다시 출생지를 등록하려고 하면 그것은 본인 스스로 해야 한다는 이치에 맞지 않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이명박 전 시장 프로필 출생지 삭제 일지

2006년 12월 말 주요 포털들에 이명박 전 시장의 출생지 의혹에 관한 메일 배달
2007년 1월1일 네이버, 이 전 시장 출생지를 경북 포항에서 일본으로 변경
1월 3일 네이버, 사용자 요청으로 이 전 시장 출생지 기록 삭제
1월 3~8일 야후·엠파스·파란 등, 이 전 시장 출생지 삭제
1월9일 포털에 인물디비를 제공하던 조인스닷컴에서도 이 전 시장의 출생지 삭제
1월9일 오후 네이버, 다시 출생지를 ‘일본’으로 복구

 

II. 오마이뉴스 기사


이명박 '출생지 허위 기재설'은 사실무근
역대 선거포스터 등에 출생지 누락

오마이뉴스의 손병관 기자가 12일 오후에 등록한 기사에 따르면, 

"논란이 되고 있는 인물에 대해 포털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가 몇몇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에 대해서는 곱지 않은 시선이 많다."고 전했다.

현재 이 전 시장의 출생지가 '일본 오사카'임을 확인한 8일의 <오마이뉴스> 기사에는 4,656개의 댓글(야후 뉴스)이 붙어 있다.

손 기자는 내가 등록한 포스트의 글을 인용하기도 했다.

----------

덧글. I에 인용된 한겨레 기사와 관련 나는 한겨레 이 기자의 취재에 응했는데, 기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들을 정리해두고자 한다.

원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개입 행위는 포털 미디어의 정치사회적 책임과도 연결돼 있는 부분으로 임의로 수정하거나 왜곡한다면 포털사이트 및 포털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은 물론이고, 데이터베이스 그 자체의 가치를 훼손하게 된다.

이번 사건은 결과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포털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도를 어떻게 유지하고 강화할 것인가에 대한 숙제를 남긴다.

이는 이용자들이 포털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공정한 정보를 유지, 확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자가 될 것을 요청하고 있다.

특히 포털사이트가 지난해부터 잇따라 설치한 미디어책무위원회 등 이용자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꾸린 만큼 이런 이슈들을 조정하고 정돈해가는 태도를 살펴보는 것도 유의미한 관전이라고 하겠다.

어쨌든 포털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는 뉴스에 못지 않게 공적 서비스인만큼 철저하고 엄정한 관리가 뒤따르지 않으면 정보의 신뢰도 문제를 놓고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만큼의 위상을 갖고 있다.

앞으로 포털사이트와 이용자, 이를 만드는 원천 정보제공자(언론사)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정치사회적 공공적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포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공정행위 논란은 포털사업자가 자초"  (0) 2007.02.22
신문과 포털의 관계  (0) 2007.01.12
전통매체와 포털뉴스  (0) 2007.01.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