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언론사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에서 유의할 것

by 수레바퀴 2016. 3. 25.


한겨레신문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자와 독자들이 주고받는 대화가 화제가 됐다. 독자들은 언론사에 비난과 비판을 할 수 있고, 언론사는 그것을 수렴하는 능숙하고 유연한 대화가 절실하다. 페이지 그 자체의 운영 성과가 아니라 독자들과 공감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사례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조선일보 운영자를 일컫는 '조페지기'의 '막 지르기' 운영방식에 이어 한겨레의 '싸질러'란 표현이 이슈가 됐다. 최근에는 한 언론사에서 소셜 서비스 경험을 가진 '전직 기자'의 글도 화제가 됐다. 언론사별로 또 운영자별로 서로 상반된 시각과 철학을 확인하는 일들이었다.


주지하다시피 언론사가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에 공을 기울이기 시작한지는 2년 안팎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어느 공간보다 놀라운 사례가 잇따라 쏟아지며 주목하는 공간으로 성장했다.


콘텐츠 형식이나 내용은 물론 운영의 기교도 진일보했다. 브랜딩을 위해 광고 집행도 주저함이 없을 정도다. 사활을 걸었다고 할만하다. 불과 몇 년 전에는 트래픽 경쟁이었지만 이제는 좋아요, 인게이지먼트 목표가 상정됐다. 뉴스조직에서 소셜 찬가가 나올 정도이다. "이런 신천지가 없다"는 게 한 언론사 국장의 이야기다.


그러나 언론사 페이스북 페이지 전략은 페이지 운영 그 자체의 성과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언론사가 생산한 뉴스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독자들과 신뢰 기반의 소통을 통해 협력관계로 끌어낼 것인가로 바뀌어야 한다. 즉, 독자발굴 전략의 관점에서 다뤄야 한다.


첫째, 운영자가 그 누구이든 독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일로 받아들여야 한다. 단 한 명의 독자와도 서로 교감하는 일이 소셜 업무의 본질이 아닌가 한다. 그점에서 커뮤니케이션 전문화를 기할 수 있는 방법-재교육, 전문가 채용 등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소셜 업무 전반을 언론사의 결정적 업무 중 하나로 내세울 필요가 있다. 페이스북을 통해 유입되는 뉴스 이용자가 증가추세라지만 그 성과는 아직 뚜렷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의 조건에서 언론사가 독자와 소통하는 기회를 일상적으로 가질 수 있는 곳은 페이스북밖에 없다.


셋째, 소셜 성과에 대한 재정의가 있어야 한다. 기자와 뉴스룸의 브랜딩은 얼마나 실현됐는지, 독자의 요청과 의견을 얼마나 수렴했는지 등 뉴스조직과 독자 간 관계증진 사례를 늘려야 한다.


페이스북은 미디어 기업에게 효과적인 콘텐츠 포스팅 요령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페이지 운영을 조언한다.


"독자와 소통하려는, 의견을 구하는 톤(tone)을 보여줄 것 즉,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구하는 대화 방식을 이용할 것, 이때 간결하고 정확한 답을 할 것, 독자의 다양한 의견을 커뮤니티로 확대할 것" 등이다.


독자에게 정중하고 친근하게, 그리고 그들의 의견에 귀기울이라는 것이다. 여러 페이지의 운영자로서 소셜네트워크의 위대한 잠재력을 매번 느낀다. 이 에너지에 어떻게 합류할 것인지 우리 모두는 더 진지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