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신문협회 총회에서 만난 제프 자비스 교수(오른쪽). 저널리즘의 가치와 독자 관계를 강조했다.
“언론사가 페이지뷰, 클릭수 등 정량적 지표에 매몰되면 생존할 수 없습니다.”
온라인 저널리즘 분야의 세계적 석학 제프 자비스 미국 뉴욕시립대 저널리즘대학원 교수는 최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세계신문협회(WAN-IFRA) 총회에서 기자와 만나 “트래픽을 유발하는 콘텐츠에 집중하면 독자를 위해 어떤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지는 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공동체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거나 권력 감시와 비판을 소홀히 하지 않는 전통 저널리즘이 보유한 ‘공공성의 가치’를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비스 교수는 “독자인 ‘나’의 삶과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전통매체의 새로운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우선 독자를 집단이 아닌 개개인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게 그의 조언이다. 예를 들면 구글이나 페이스북은 독자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디에 사는지 알고 있지만 전통매체는 독자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사소한 독자 데이터라도 수집·분석하는 역량이 필요하다고 자비스 교수는 강조했다. 그렇게 해야 언론사가 콘텐츠 공장이 아닌 서비스업체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 기자들이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독자와 일상을 공유하고 함께 의견을 나누는 ‘친구’가 된 것도 독자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라는 지적이다.
그는 독자가 누구인지 정확하게 이해하면 일방적인 계도성 보도나 사실 위주의 나열성 보도가 아니라 맞춤 뉴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한다. 독자를 제대로 알 때 독자를 만족시켜 지속적인 교감을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독자와의 신뢰관계가 더 두터워지는 것이다.
“충성도 높은 독자 개발을 위해 이벤트에 초대하거나 전문가를 연결해 주는 등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소통이 중요합니다.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는 뉴스 유료화는 해결책이 아닙니다.”
그는 다른 미디어 기업이나 독자와의 협업을 강조했다. “미디어산업은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단계를 지나 협업의 시대에 와 있습니다. 다른 미디어와 개인이 만든 콘텐츠를 재가공해 배포하는 큐레이션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영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해부터 뉴욕타임스, 모질라 등 다른 미디어 기업과 코랄 프로젝트(coral project)를 추진 중이다. 독자는 콘텐츠를 쉽게 등록하고 미디어 기업은 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이 목적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뉴스 댓글이나 의견의 수준을 검토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과 독자와의 상호 작용 공간으로 구성된다. 총회 현장에서 만난 그렉 바버 워싱턴포스트 디지털뉴스프로젝트 책임자는 “언론사는 서열화된 목록에서 흥미로운 스토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독자들은 자신이 기고한 글을 누가 보는지, 어떤 반응을 얻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비스 교수는 “이제 미디어는 종이신문이냐, 온라인 미디어냐, 모바일 전용이냐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독자들이 원하는가, 독자들의 관심과 기호에 부응하는가, 독자들의 시간과 공간에 알맞은가로 구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래픽 같은 무의미한 ‘양’의 덫에서 빠져나와 독자와의 밀접한 신뢰관계라는 ‘질’을 중시하는 가치전략으로 이동해야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덧글. 이 포스트는 6월20일자 한국경제신문에 게재됐습니다.
'Online_jour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명 앱에서 저널리즘 타락 우려하는 기자들 (0) | 2016.03.23 |
---|---|
세월호 보도에 나타난 기사 어뷰징 양상과 법적·윤리적 이슈 (0) | 2015.04.15 |
부산일보 `석면쇼크`...산학협력으로 인터랙티브 구현 (0) | 2014.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