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자의 질문에 답합니다

낙후된 취재시스템, 수습기자교육 문제는?

by 수레바퀴 2015. 2. 5.


미디어오늘 2월5일자. 수습기자 교육과정, 출입처 중심의 취재환경은 디지털 매체 환경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기자상 더 나아가 기자의 취재 경쟁력을 획일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는 독자들이 보이지 않는다.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취재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자 선발, 조직 모델 등 뉴스룸의 모든 것이 원점에서 고안돼야 한다.


"매체 환경은 크게 바뀌고 있는데 '사쓰마와리'식 교육과 취재방식이 적합한가?"라는 <미디어오늘> 기자의 질문을 받았다.

('사쓰마와리'란 수습 기자들이 경찰서를 순회하며 취재하고 기사를 쓰도록 하는 뜻으로 기자집단에서 흔히 쓰는 말이다. 이때 수습기자들은 밤을 새는 등 '하리꼬미'(경찰서 붙박이) 형태로 일 한다.)


기자는 '수습 기간' 중 맞닥뜨리는 혹독한 취재환경에서 조직 소속감이나 기자직에 대한 동질감을 형성한다. 또 취재 대상이나 내용, 수위를 특정하는 등 '업무'를 도식화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일종의 정신적, 육체적 압박감이 상당하다. 합리성, 효율성은 위계적이고 전통적인 장벽에 의해 무시되거나 축소되는 경험도 한다. 


강도 높은 도제식 훈련을 견뎌야만 '기자가 된다'는 이데올로기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호응'하는지는 이미 독자들이 판단할 수 있다.


온라인 저널리즘이 수렴하는 네트워크(디지털 테크놀러지)의 속성 즉, 대등성(평등성), 투명성, 상호성, 과학성 등은 도달하기 어렵다. 특히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독자를 대하는 커뮤니케이션도 생략돼 있다.


기자들끼리의 이전투구, 기자와 폐쇄적인 출입처와의 관계 설정만으로 마무리되는 교육 과정은 취재 현장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한 마디로 시대착오적인 것이다.


결국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고려해 기자의 선발 과정부터 재설계돼야 한다. 우선 이 시대에 필요한 기자의 '상(像)'이 바뀌어야 한다. 사회적 배경이 우수한 관찰자를 점수로 뽑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이야기꾼, 전략가를 찾아 나서는 것이 중요하다.


수습기자 교육 내용도 디지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코딩, SNS 활용 등 새로운 교육에 나설 필요가 있다. 수습기간 때만 한정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재)교육해야 한다. 외부 전문가들이 주도하는 개방적인 교육 프로그램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


새로운 기자의 등장과 확산을 위해서는 뉴스조직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대학도 커리큘럼이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에 걸맞는 교수진도 필요하다. 


수습 기자 대상의 교육 문제 뿐만 아니라 언론사  취재시스템의 낙후성도 도마 위에 오르내린 지 꽤 오래 됐다.


출입처와 기자단은 기자의 '경쟁력'을 왜곡시킬 수 있어서다. 폐쇄적이고 연고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환경에서는 새로운 도전이나 용기와 지혜의 동원은 원초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전통매체가 지향하는 뉴스룸의 융합은 '팀'-협업 모델을 상정한다. 가령 조직 내 취재기자들 간, 취재와 비취재파트(디지털 어시스턴트(프로그래머-디자이너), 비즈니스와 마케팅 부문) 간, 기자와 독자 간 활발한 소통과 창의를 근간으로 한다. 조직도 부서별이 아니라 트렌드 별로 아니면 중요한 프로젝트별로 구성되는 등 역동적이다. 


문제는 비용 부담, 기존 조직 구성원의 저항 등 리스크도 있다. 과거 전문기자제나 뉴스조직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하는 방법들이 실패한 것도 결국 기존 조직의 두터운 벽 때문에 좌초한 것이라는 점에서 서둘러서는 안 된다. 


또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기자상의 정립, 취재 업무와 뉴스조직의 미래지향적 설계, 기자교육프로그램의 보완 등은 영세한 자본력 그리고 과잉경쟁 구조 하의 한국에서는 개별 매체가 해결하기는 어렵다. 


취재 시스템은 궁극적으로는 독자가 원하는 뉴스를 만든다는 목표 설정과 연결돼 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첫째, 독자에 대한 파악 둘째, 서비스의 정교한 설계 셋째, 융합조직의 구성 등 '파괴적' 혁신이 병행돼야 한다. 취재 시스템만을 바꾼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