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자의 질문에 답합니다

언론사가 네이버 의존 않고 독자생존할 수 있는가?

by 수레바퀴 2015. 1. 14.


<미디어오늘> 2015년 1월15일자. 언론사가 포털에 휘둘리는 현상이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언론사도 자정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지만 포털의 미디어 책무도 실제적으로 펼쳐져야 한다. 현재로서는 포털의 도움 없이 개별 언론사의 혁신노력이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이다.


"네이버에 의존하지 않고 언론사가 독자적인 트래픽을 확보하는 게 가능할 거라고 보세요?"란 질문을 받았다. 뉴스스탠드 이후 네이버 의존도가 낮아지면서 직접 방문 비율을 높이려는 언론사의 다양한 노력들이 있어서다.(기사화는 됐지만 내가 주장한 것의 일부만 쓰여져서 전체를 전한다.)


나는 '시간의 문제'라고 전제했다. "네이버로 대표되는 유통 플랫폼의 시장과점이 약화하고 언론사 경쟁력 제고 노력이 시장에 수렴되는 것은 시간의 문제라고 본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지만 지금처럼 네이버 편중이 고착화하는 것은 일정하게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언론사 자체 노력에 의한 것이기 보다는 이용자의 뉴스 소비 경로 다변화, 매체 경쟁구조의 변화 등 주로 외적 요인이 작용할 것이다. 결국 언론사가 이 흐름에 얼마나 자기주도적 혁신을 보태느냐가 시간을 단축시키는 키가 될 것이다. 물론 현재 시점에서 언론사의 혁신만 놓고 보면 그 전망이 유쾌한 것은 아니다. 


더구나 네이버 등 포털 미디어는 그 변화 흐름을 그냥 두고 보지는 않을 것이다. 이용자 경험을 확장하려는 다양한 장치들을 동원할 것이다. 네이버가 언론사 트래픽을 통제하는 상황에서는 그 '시간'의 편은 당분간 포털에 있다고 본다."


이 기자는 이 대목에서 "네이버에 대한 사회적 통제와 감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막연하지 않은가요?"라고 물었다. 


"네이버-언론사간 갈등은 좁게 보면 뉴스 유통시장을 둘러싼 밥그릇 싸움이지만 미디어의 사회적 책무라는 무거운 이슈도 있다. 나는 포털 미디어를 타율규제하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보다는 자율규제의 수준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적으로 포털은 '온라인 저널리즘 파행'에 정녕 책임이 없는가? 다양한 자율기구들의 좀 더 적극적인 포털 감시가 필요한 것은 아닌가? 그점에서 저널리즘의 정상화를 위한 논의구조에 포털의 역할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덧글. 이 포스트는 기자와 독자들이 '온라인 저널리즘' 전반에 대해 질문한 것들을 답변한 것을 토대로 재정리한 글입니다. 주로 미디어 비평지 기자들의 질문을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받아 실시간으로 답변하고 있습니다. 답변내용을 재구성해 보도된 내용에서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블로그에 게재합니다. 참고로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