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네이버, 선정성 빌미로 언론사 기사편집 개입한다

by 수레바퀴 2011. 3. 31.

2011 뉴스캐스트 언론사 설명회. 이번에는 시민단체 모니터링단을 들고 나왔다. 언론사간 기사 선정성 경쟁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를 근거로 사실상 네이버는 언론사 기사편집에 개입할 근거를 확보했다. 그러나 뉴스캐스트가 존재하는 한 트래픽 지상주의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길은 없어 보인다. 물론 언론사들도 자신의 온라인저널리즘을 성의있게 들여다봐야겠지만 말이다.


NHN(대표이사 김상헌)이 네이버 뉴스캐스트 신규 제휴를 전면 중단하고 시민단체 모니터링단을 꾸려 선정적 기사를 걸러내기로 해 언론사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네이버는 31일 '2011 뉴스캐스트 언론사 설명회'를 열고 지난 30일 오후 2시까지 뉴스캐스트 참여신청을 마친 언론사만 평가를 진행해 오는 7월 일괄 추가하고 당분간 추가신청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동안 언론사들은 뉴스캐스트에 참여하기 위해 1년에 3~4회 이뤄지는 제휴평가위원회 심사 결과를 기다려야 했다.

최근에 제휴신청을 마친 한 메이저 언론사 관계자는 "제휴평가위원회의 면면도 알 수 없고, 심사기준도 베일에 가려 있어 곤혹스러웠다"면서 "사실상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니 모든 수단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절박함을 토로했다.

또 다른 인터넷신문 관계자는 "뉴스캐스트 기존 언론사들의 문제점 때문에 신규진입을 묶어 두겠다는 것은 일방적인 조치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현재 뉴스캐스트 기본형에 속한 한 중앙 일간지 관계자는 "언론사 숫자만 늘리는 것보다는 질 관리에 들어가는 것이 맞다"며 네이버의 정책변경을 일단 환영했다.

이렇게 언론사들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네이버가 3개 시민단체로 구성한 시민단체 모니터링단을 4월 중순부터 운영할 계획에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네이버는 지난 2009년 1월 뉴스캐스트가 시행된 이래 언론사의 선정적 기사로 인한 이용자들의 항의가 1년 새 4배 가까이 증가했다며 시민단체 모니터링단 도입배경을 밝혔다.

시민단체 모니터링단은 기사는 물론이고 기사내 광고의 선정성을 판단하면 네이버는 관련 기사를 3시간 동안 뉴스캐스트 노출에서 제외한다. 정제된 기사를 유통하는 언론사가 상대적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사실 뉴스캐스트가 유발하는 트래픽이 절대적인 상황에서 많은 언론사들이 실시간 검색어에 꿰맞춘 기사를 남발하고 선정성에 치우치는 등 트래픽 경쟁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네이버 뉴스캐스트는 언론사들에게 상상할 수 없는 트래픽을 선사하는 신천지가 돼 왔다. 뾰족한 뉴스 유료화 방안을 만들 수 없는 언론사들에게 광고 과실도 달아줬다.

이러다보니 모든 언론사가 뉴스캐스트에 들어오기를 원하고 한번 들어오면 더 많은 트래픽을 창출하려는 늪에 빠지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언론사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통로를 시민단체 쪽에 설치할 생각이라는 네이버의 이야기가 허망하게 들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온라인저널리즘의 수준 제고보다는 하루하루 살아남기 위한 경쟁논리만 거센 국내 언론시장을 고려한다면 뉴스캐스트는 애초부터 잘못 태어났다.

이런저런 절차와 장치들이 연거푸 부착되면서 네이버와 뉴스캐스트는 점점 더 많은 책무와 시달림으로 무거워지고 있다. 이 즈음되면 네이버 뉴스캐스트는 생산적인 변화의 타이밍도 제 스스로 놓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시민단체를 내세운 이번 조치로 네이버는 언론사의 기사편집 영역에 개입하는 근거를 가지게 됐다. 언론사에 편집권을 부여한 뉴스캐스트 도입 취지가 무색해진 셈이다.

특히 선정성의 기준이 무엇인가도 논란이다. 이날 설명회에 나온 윤영찬 NHN 미디어서비스실장은 “가이드라인 마련이 쉽지 않았다"면서 "기사의 선정성은 모니터링 위원단의 다수결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일부에서는 "외부의 힘을 빌려 (네이버가) 면피하려는 속셈으로 읽힌다"까지 비판한다. 네이버가 지금까지 외부 전문가, 이용자가 참여하는 위원회 조직을 도입, 뉴스 서비스를 개선하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아무 것도 이룬 것은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시민단체 모니터링 위원단도 결국 형식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 보수논조의 인터넷신문 관계자는 "시민단체 모니터링단에 우리쪽 입장을 대변할 단체도 들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자칫 '정치적 논란'으로 변질될 수 있는 대목이다.

비교적 큰 규모의 한 인터넷신문 관계자는 "뉴스캐스트로 수익구조를 만들어 온 언론사들에게 이제는 손발을 묶으려는 것이 말이 되느냐"면서 "언제는 단감을 주고 이제는 썩은 감만 먹으라는 꼴"이라고 맹비난했다.

또 한 메이저신문 닷컴사 관계자도 "수준 높은 기사를 만들고 편집하는 언론사에게는 그렇다면 도대체 무슨 혜택을 줄 수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언론사들이 네이버의 일방 통보에 맞서 대응할 카드도 없다는 게 고민"이라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31일 오후 현재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입장은 나오지 않고 있으나 불편한 심기가 감지되고 있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일단 (선정성 경쟁을) 자제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도 "무조건 따라 오라는 것도 마뜩하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뉴스캐스트 정책 개편에 따른 불똥이 어디로 튈지 주목된다.

덧글. 사진 출처는 기자협회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