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소비자, 네이버, 다음, 신문 대회전

by 수레바퀴 2008. 7. 2.

사용자 삽입 이미지

7월에 들면서 신문과 포털간 대형 이슈가 터지고 있다. 네이버의 오픈플랫폼 도입과 뉴스편집권 부분 개방에 이어 조중동의 다음 뉴스 공급 중단 움직임은 대표적이다.

우선 네이버의 정책변화와 관련 기본적으로 그것이 시장의 변화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지지한다. 이용자들에게 플랫폼을 넘겨준다는 점에서 앞으로 네이버는 이른바 웹2.0 흐름에 들어섰다고 보여진다.

또 언론사는 물론이고 사회적인 논란의 핵이 됐던 포털 뉴스박스의 편집권을 언론사와 이용자에게 개방한 것도 환영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것이 완전한 개방이 아니라는 데 있다. 또 이해 관계자의 한 축인 언론사에게 실질적인 이득이 있는지도 회의적이다.

네이버의 뉴스 편집권 이양은 극히 제한적이다. 뉴스박스의 언론사 선별도 이용자가 선택하지 않으면 기존의 방식이 사실상 그대로 (롤링 형태로) 유지된다.

기존의 뉴스박스 내에 언론사별 페이지가 있지만 실제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기능을 이용하고 있을까? 뉴스 소비가 불편해 상당수는 쉬운 서비스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특히 국내에 도입된 많은 개인화 뉴스 서비스들이 대부분 실패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충성도가 있는 신문사 웹 사이트의 '마이뉴스' 서비스도 실패하는 마당에 포털 내 '마이 뉴스' 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을까?

게다가 네이버의 뉴스 홈페이지의 편집권은 살아 있고 다양한 부가 뉴스 서비스들 이를테면 인기 뉴스 서비스 등의 권한은 여전하다. 뉴스 박스 부분만 개방한다는 것인데 그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주식시장 분위기도 호의적이지 않다. NHN의 개편 발표에도 2일 오후 현재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 속에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언론사들도 불만스럽다. 구체적인 것을 통보받지 못한 상황이지만, 이런 서비스가 활성화되더라도 충분하고 안정적인 이익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많은 이용자들이 일부 언론사를 선택함으로써 대다수 매체는 배제될 것이다. 포털내 뉴스의 총 소비량도 감소될 것이다.

이미 뉴스 검색시 아웃링크에서 드러났듯이 언론사로 유입되는 방문자와 페이지뷰가 늘어나더라도 실익은 없었다. 오픈캐스트를 통해 뉴스 콘텐츠가 재구성되더라도 뉴스 검색시 아웃링크와 마찬가지의 결과만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언론사들은 네이버의 캐스터(이용자)들을 더 주목할 것이고 더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품은 더 들어갈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네이버와 유력 매체들은 장기간의 뉴스 공급계약을 맺고 과거 기사에 대해서는 디지털화도 맡기면서 '밀월'관계를 맺고 있다. 전통매체들은 불과 수개월만에 더 부담스럽고 힘든 상대인 네이버에게는 한없이 관대해진 것이다.

그러나 NHN 최휘영 대표의 열띤 강연에도 불구하고 이번 서비스 개편의 결과도 역시 네이버 종속의 큰 흐름을 벗어나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언론사들은 네이버에 목을 매는 형국은 더 지속될 것이다.

물론 이용자들이 네이버를 활용해 '선순환' 정보 유통의 이상적인 패러다임을 구현해준다면 언론사는 약간의 배신감과 더불어 다양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그것조차 네이버 패러다임 안이라는 것을 깨닫는 순간 지금의 '극찬'과 '기대'는 물거품이 될 것이다.

네이버에 대해 전통매체의 호기심이 짙어지는 순간에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촛불집회라는 멍에를 지고 추락하고 있다. 적어도 일부 이용자들의 열띤 응원이 있지만 전통매체들은 다음을 향해 냉정함을 잃지 않고 있다.

어제 조선, 중앙, 동아 등 한국의 유력 신문사들은 다음측에 사실상의 뉴스 공급 중단을 통지했다. 아직 중단이 현실화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만약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다면 몇 가지 관전 포인트가 있다.

첫째, 조중동이 다음에 기사공급 중단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겠는가.

둘째, 다음이 조중동 뉴스를 받지 않고 얼마나 지속할 수 있겠는가(다음이 '문제'가 되는 일부 서비스들에 조치를 취하는 것을 포함해서)

셋째, 뉴스 소비자들은 탈네이버, 친다음, 반조중동을 인터넷에서 얼마나 지속할 수 있겠는가.

지금의 상황에서는 조중동과 다음은 일정한 수준의 합의 내지는 조건부 제공을 하게 될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뉴스 소비자들의 경우는 이들 매체에 대해 일정한 감정의 앙금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음을 포함, 포털사업자의 상업성에 대해 다시 주목하게 될 것이다. 다음은 조중동의 공세 속에서 주가 하락세가 깊어지고 있다.

유의해야 할 부분은 포털사업자의 변신이 철저히 자본의 관점에서 이뤄지는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 유저의 목소리를 수렴한 것인지 점검하는 부분이다. 포털사업자는 늘 그 중간 지대에서 잘 움직여 왔으나 전통매체와 정치라는 관계가 결부되면서 적나라한 줄타기가 노출될 상황이다.

전통매체 역시 인터넷 유저들에게 좋지 못한 인상을 남기게 됨으로써 인터넷 생태계에서의 새로운 번식이 위협받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통매체는 사실상 인터넷 시장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지만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조선일보 등 일부 언론사들은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를 위해 포털사업자와 협력관계가 불가피하다.

자본력이 있는 유력매체들이 인터넷 유저들과 대립하는 것은 미래를 위해서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조선일보의 간부가 지난달 27일 인터넷 카페에 '해명성 글'을 보낸 것은 이들과 화합하지 않으면 어렵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이 사태는 오래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누가 더 많은 상처를 입을지는 이미 결론이 나 있다. 집단지성의 현명함이 포털과 전통매체의 또다른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의 개편이든, 다음의 선택이든 뉴스 소비자는 전통매체와 격돌과 결합하는 인터넷 시장의 파노라마를 지켜 보면서 미디어 패러다임의 큰 변화를 직접 체험하는 역사적인 기회를 맞고 있는 셈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