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up] 몸 사리는 네이버, '위기' 자초하나?

by 수레바퀴 2007. 11. 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며칠전 대구에서 발행되는 매일신문 김해용 기자와 전화를 통해 대선정국과 네이버의 뉴스편집을 둘러싼 의혹들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네이버는 현재 검색시장이나 뉴스시장에서 막강한 지위를 갖고 있다. 이 영향력은 KBS, MBC 등 지상파 3사의 시청률과 맞먹거나 앞서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네이버가 대선을 앞두고 도입한 정치 및 선거 기사에 대한 댓글 일원화, 정당 및 후보자 기사의 메인 뉴스박스 배치 배제 등 일련의 조치들에 대해 적잖은 논란이 있었다.

 

이용자의 알 권리, 표현의 권리를 차단한다는 시민사회단체의 지적에 대해 네이버는 선거법 시비 등 사회적 논란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맞섰다.

 

그러다가 최근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과 관련된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 시민사회단체와 정치권의 특검 도입 등의 빅 이슈에 대해서 네이버 뉴스가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으며 다시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네이버 뉴스편집을 둘러싼 불만과 비판은 네이버 내부에서도 간간히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얼마전 한나라당 캠프 합류 의혹이 불거지면서 자진사퇴하며 한 차례 내홍을 겪은 네이버 이용자위원회에서도 뉴스편집이 문제가 됐다. 이용자 위원회의 한 참여자는 최근 칼럼에서 "네이버가 삼성그룹 비자금 기사를 무책임하게 외면하고 있다" 취지의 글을 올린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 대선 후보 캠프의 모 인사가 "네이버는 평정됐고 다음은 여전히 폭탄"이라고 말한 발언이 인터넷에 진 부분도 거들고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일부 커뮤니티와 블로그에서는 조직적인 반 네이버 정서가 포착되고 있다. '조중동문네'라는 신조어도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보수 논조를 펴는 일부 매체와 네이버를 싸잡아 비판하는 사이버 여론이 안티 네이버 운동으로 집중하는 모양새다.

 

이같은 기류 탓인지 일부 인터넷 시장 조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포털 뉴스 점유율이 주간 페이지뷰 기준으로 네이버의 경쟁자인 '다음'이 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이는 다음의 경우 '티스토리'를 인수한 뒤 상당히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서비스들로 시장내 호감을 얻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코리안클릭' 다음의 <이 기사 누가 봤을까>, <블로거 뉴스> 등을 경쟁력있는 서비스로 꼽기도 했다.

 

지난 2003년부터 업계 1위를 달려온 네이버의 위기 요인들이 현실적으로 반영될지는 아직 지켜봐야 할 듯 싶다. 뉴스 편집의 공정성 의혹은 정치적 측면에 의해 촉발되는 등 시장 외적인 부분이 있고, 네이버의 지식검색이나 폐쇄적ㅡ중앙집중적 서비스 구조가 한국적 시장정서와 부합, 흡인력과 경쟁력을 갖는 점도 인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웹2,0의 도도한 흐름을 언제까지나 거스를 수 없다는 점에서 네이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신문사닷컴들의 협의체인 (사)한국온라인신문협회는 16일 대표자모임을 갖고 구글 제안에 대한 수용여부를 최종 확정지을 예정이다.

 

구글의 뉴스 유통 모델이 언론사의 권리와 이용자들의 소비를 장려할 수 있다는 점을 매력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언론사들로서는 네이버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언론사들은 포털뉴스 편집권에 의해 언론사 브랜드의 가치가 떨어지고 시장내 주도권을 잃은 데 대해 더 이상은 참을 수 없다는 데 의견을 일치시켜 왔다.

 

이럴 경우 인터넷 뉴스 시장은 구글의 아웃링크와 합법적 사용(CCL) 구조를 지향하는 언론사와 네이버의 인링크 서비스에 합류한 언론사간 전면 경쟁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네이버가 안정적으로 검색 영향력을 유지해온 인링크의 선순환관계가 일정 정도 붕괴될 수도 있다. 이용자들도 현실정치나 경제적 문제(온라인 광고쉐어)에 따라 네이버를 버릴 여지도 그만큼 높아진다.

 

물론 구글 vs 네이버 구조는 언론사나 포털 양측 모두에게 좋은 대립각이 아닌만큼 언론사들은 내부적으로 결속의 범위를 확대하는 노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또 국내 포털사업자 역시 구글 시장 진입에 정면으로 맞서 다각도로 언론사 제휴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네이버의 언론사 디지털라이징 투자나 장기공급계약 등은 그런 맥락이다.

 

그러나 네이버는 그간 "언론사의 뉴스를 유통시킬 뿐이고 CP들을 위해 정당하고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오해가 재생산되는 듯 해 안타깝다"는 원칙론을 강조해왔다. 분명한 것은 이러한 원칙론을 시장과 이용자들이 적극 수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은 원래부터 이용자들을 자기 사이트에 모이게만 하는 구조를 갖는 네이버의 폐쇄성에 대한 잠재적 불만이 축적돼 왔는데, 이 같은 정서가 대선과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 같은 현안과 맞물려 사이버 여론이 극점으로 치달은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은 네이버가 가진 시장의 지위가 위기로 가는 단계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덧글. 이미지 출처는 매일신문 기사에서 발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