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신문기자 이직 러시의 함의

by 수레바퀴 2006. 5. 16.

최근 종이신문 기자들의 이직 러시가 주목된다.

 

지난해부터 신문기자들이 방송기자로 가거나 정부 산하기관 또는 대기업 홍보 파트, 포털사이트 등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서이다.

 

미디어오늘기자협회보에서 지난해 초부터 기자 이직과 관련된 기사들이 수두룩하다. 주요 기사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미래에 대한 확신 없어 불안" 2006.5.17.

기자, 더 이상 평생직업 아니다 2006.5.17. 

동아 경력기자 채용, 과반수가 서울신문 출신 2006.5.12. 

지난해 이후 ‘삼성행’ 선택 언론인 5명 2006.5.3.
국민일보, 경력기자 스카웃 한다 2006.3.31. 

한겨레, 경력기자 8명 최종 확정 2006.3.29. 

KBS 경력기자 공채 한겨레 출신 3명 합격 2006.2.27.

MBC 경력기자 공채에 조선·중앙기자 합격 2005.12.14.
조선, 경력기자 상시 채용제 도입 2005.10.21. 

정부 홍보담당관에 언론인 26명 채용 2005.6.29. 

SBS, 경력기자 5명 스카웃 2005.4.7.

 

기자 이직이 잇따르는 것은 결국 종이신문 기업의 경쟁력과 비전 부재, 내부 기자 관리 및 육성 프로그램의 부재에서 촉발된다. 또 기자 스스로도 조직관, 가치관의 변화가 진행됐기 때문이다.

 

특히 뉴미디어와 이용자 태도 변화와 맞물리면서 기자 이직이 구조화, 정례화, 집단화하는 양상이다. 동기 기수들을 중심으로 함께 이직을 고민하거나 모의하기도 한다. 또 특정 시즌이 되면 이직 분위기가 확산되는 현상도 나타난다.

 

즉, 기자들 스스로 정체성에 대해 심각히 의문하면서 도달하는 결론이 기자직의 소명의식이나 의리, 조직 수호 등 전통적 맥락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개인적 욕망을 실현하는 실용주의적 경향을 선택하고 있다.

 

현재 기자들의 이직 추이는 동종업체간(하위->상위), 플랫폼간(신문->방송, 인터넷 언론), 이종업체간(언론->비언론사(포털 포함), 대기업, 정부)으로 형성되고 있다. 참여 정부 이후에는 특히 대기업, 정부, 포털 사이트로의 이직이 두드러지고 있다.

 

여기서 이종업체간 이직은 기본적으로 전통매체 자체의 경쟁력과 비전을 불신하는 것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신문기업의 위기국면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자직 자체의 의미나 평가를 기자집단 스스로 낮게 보는 직무관의 붕괴로 받아들여진다.

 

더욱 심각한 점은 경영진이 아예 이러한 기자들의 이직 분위기를 조장하는 측면도 적지 않을 것이란 의혹이다. 자연스런 구조조정의 방편으로 보고 있어 기자 이직에 손을 써보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정작 도태돼야 할 기자나 구성원이 아니라 한창 활동해야 할 전문성 있는 기자들이 빠져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긍정적 기대는 기대할 수 없다.

 

한 켠에서는 지역신문 뉴스조직과 종사자들의 황폐화를 우려하면서 이같은 기자 이직 흐름을 산업논리로 푸려는 관점도 등장한다.

 

언론사간 M&A도 합리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라는 것이다. 물론 신문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M&A도 하나의 처방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정치적 경제적 논리에 의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어쨌든 M&A를 포함, 신문산업 전체가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슬기롭게 풀어가기 위한 노력은 불가피해 보인다. 현재 신문발전위, 신문유통원 등 법제도적인 지원 환경도 조성돼 있는 만큼 획기적인 돌파구도 시간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경영진이 구조조정의 연장선상에서 기자 이직문제를 파악하고 있다면, 이는 결국 뉴스조직의 이완과 해체, 매체 자체의 경쟁력 상실, 시장과 이용자들로부터의 이탈 가속화 등 악화를 양산하게 될 것이다.

 

하루빨리 기자 이직 문제를 신문사 스스로, 그리고 신문 업계간 심각히 다뤄야 할 것이다. 이는 콘텐츠와 저널리즘의 경쟁력을 무너뜨려 신문산업의 회복불능 사태를 앞당기는 결과를 낳을지 모른다.

 

특히 신문기업이 비전을 제시하는 브랜드 전략을 수립, 위기의 기자사회를 구체적으로 극복하는 해법도출에 나서야 한다.

 

한국경제 미디어연구소

최진순 기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