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더 나아가 JTBC를 비롯한 '중앙그룹'의 조직개편이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렇다한 성공사례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국내 언론산업 실정에서 '중앙'의 디지털 전환은 '오아시스'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긴 해도 최근 2~3년여 중앙그룹이 기울인 투자와 노력은 JTBC의 소셜라이브를 비롯 중앙일보의 '데이터브루' '듣똑라' 등으로 디지털 영토를 확장했다.
특히 이 매체의 지속가능한 인프라는 독보적이었다. 묵묵히 일해온 디지털 부문 담당자들의 노고는 더 훌륭한 밑거름이었다. 그들은 단지 좋은 콘텐츠가 아니라 '저널리즘'도 고민하는 전문가들이었다.
그런데 이번 조직개편의 뒷 이야기는 흉흉하다. 기자집단은 자신들의 역할과 처우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을 전담해온 사람들의 목소리는 수면 위로 드러나지도 못했다.
<중앙일보>의 디지털 전환은 누구나 흥미롭게 지켜보고 응원하는 이슈이다. 다만 디지털 전환은 기자들 중심의 조직개편이 아니라 디지털 부문을 아우르는 전체 구성원의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털을 맡고 있는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뉴스조직의 혁신을 살피지 않으면 모든 것이 원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가장 강력하고 가장 오랜 기간의 혁신을 추진한 매체에서 디지털 부문 담당자들은 브랜드와 저널리즘을 함께 책임지는 언론인들이다. 또한 디지털 부문 담당자들은 윗선이나 펜대 기자들의 지시대로 콘텐츠를 만드는 하청의 관계나 허드렛일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더구나 (독자의) 세그먼트에 집중해야 하고 더 나은 것을 선택해야 하는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도 동등한 파트너여야 한다. 이같은 조직문화일 때 '혁신'이 잘 진행되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디지털 부문 담당자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디지털 전환의 승부수라고 선언하면 위험하다. 자칫하면 지금까지 쌓아올린 디지털 명성은 물론 인재마저 잃는다.
몇몇 미디어 매체가 전하는 <중앙일보> 조직개편 보도 역시 유감이다. 철저히 '기자 관점'에서 다뤄졌다. '기대 반 우려 반'의 그 기대와 그 우려를 전통적인 기자들의 위상이나 노동강도로 좁히면 낡은 시각이다. 특히 디지털을 '결과물'로서만 다루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과정과 단계를 더 짚어봐야 한다. 최소한 누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협업의 반쪽은 누구인지를 챙겨야 한다.
<중앙일보> 조직개편 과정에서 디지털 부문 담당자들이 소외된 것은 디지털 전환의 방향과 목표를 의문케 한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담당자들의 박탈감은 한 익명 앱을 통해 당사자 동의없는 '계열사 전적'의 '노동법' 위반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혁신'이 왜 이렇게 진흙탕이 되는지 안타깝다. 한국판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쓰던 때로 돌아가야 한다.
'온라인미디어뉴스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기성언론 10대 디지털 이슈...'저널리즘 원칙' 가다듬을 수 있을까 (0) | 2020.01.07 |
---|---|
중앙일보 혁신에서 주목해야 할 것들 (0) | 2018.12.11 |
'2017 언론계 10대 이슈' - 소통과 협력...저널리즘 혁신의 키워드 (0) | 2017.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