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미디어

지상파방송사 N스크린 플랫폼, 우위에 설까?

by 수레바퀴 2012. 7. 23.

 

지상파방송사 연합 플랫폼 POOQ의 서비스 흐름도.

 

지상파방송사들이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인 ‘푹(POOQ)'을 강화하는데 힘을 합쳤다.

 

지난 5월 MBC와 SBS가 각각 40억원씩 투자, 50%의 지분을 갖고 설립한 콘텐츠연합플랫폼(주)(공동 대표이사 김동효, 김영주)는 23일 제공 콘텐츠를 KBS, EBS 등 전 지상파 콘텐츠로 확대, 유료화를 시행했다.

 

POOQ은 말하자면 다양한 단말기에서 지상파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실시간 라이브 방송은 물론 주문형 비디오(VOD) 250,000편을 포함 30여개 채널을 운영한다. 방송 직후 다시보기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홀드 백(Hold back)이 없다.

 

POOQ은 이벤트 기간이 종료되면 실시간 시청 상품 월 2,900원, VOD 무제한 상품 월 8,900원, 실시간 채널+VOD 무제한의 패키지 상품 월 9,900원 등의 가격이 적용된다. 실시간 시청 상품은 당분간 무료이지만 내년에는 유료로 전환된다. 

 

이미 시장 내에는 CJ 헬로비전의 티빙(Tiving), 통신 3사의 N스크린 서비스 등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훌루(Hulu), 넷플릭스 등이 주목받는 상황이다.

 

POOK 역시 외연을 넓히기 위해 다음TV와 계약을 체결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중이며, 자체 N 스크린 서비스를 보유하지 않은 SO와 공동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 오는 8월에는 해외 서비스를 오픈한다.

 

이에 앞서 NHN은 구상 중인 이른바 ‘TV캐스트’를 위해 지난해 CJ E&M과 콘텐츠유통협약(MOU)을 맺은 데 이어 지상파방송사와도 꾸준히 협력을 모색해왔다. 그러나 지상파방송사들이 일단 자체 연합 플랫폼에 힘을 실음으로써 외견상 NHN-CJ와 지상파 플랫폼간의 대결로 치닫고 있는 모양새다.

 

한 지상파방송사 관계자는 “CJ측과 NHN은 이미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단계”라면서 “굳이 불편하게 공존할 이유는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NHN은 6월 저작권 관리강화 및 수익화, 전용 마케팅 공간, 유료소비 활성화 등을 내건 동영상 콘텐츠(RMC) 활성화 서비스를 방송사업자에 구체화한 바 있다. NHN과 동영상 콘텐츠 저작권자와의 상생프로그램인 셈인데 동영상에 광고를 싣고 모바일을 포함 별도의 유료 채널(N스토어)을 운영하는 게 주요 골자다.

 

NHN의 네이버 TV캐스트 홈 화면(제안) 그림.

 

 

서비스 채널인 TV캐스트의 홈 화면은 ‘뉴채널’, ‘핫이슈’ 등의 영역으로 중앙과 우측에 노출된다. 이와는 별도로 네이버 초기화면에 기존 뉴스캐스트 대비 어떤 모양으로 정리될지도 관전 포인트다.

 

지상파 방송사와 MSO, 이동통신사업자 등 신흥 미디어 기업들이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놓고 벌이는 대격돌은 기존 포털사업자, 단말기 제조사업자, 해외 미디어 서비스 사업자와의 제휴 등으로 복잡한 전선을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한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콘텐츠 경쟁력만 갖고는 더 이상 차별화하기 어려운 미디어 생태계의 경쟁구도가 펼쳐지고 있다”면서 “파트너 전략 더 나아가서 트렌드를 창조하고 뒷받침하는 보다 정교한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CJ그룹 이재현 회장이 직접 지시해서 만든 것으로 알려진 TV CF. 문화를 만듭니다라는 메시지가 인상적이다.

 

CJ E&M이 운영하는 연예전문 뉴스 매체인 ‘enews24’는 네이버 ‘연예’뉴스 섹션에서 노출되고 있고, Mnet, 온스타일 등 자사 계열PP의 주요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네이버 안에 프로모션 형태로 둥지를 트는 등 ‘밀월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동영상 중심의 미디어 기업이 ‘뉴스 콘텐츠’에 손을 대는 것은 인상적인 대목이다. 인터넷 신문인 만큼 사실상 종합 언론사로 등장했다는 평가와 함께 논란을 제기하는 곳도 나온다.

 

중요한 것은 동영상을 핵심 콘텐츠로 하는 방송사가 ‘interest.me'나 ’firstlook', 'lifestyler'처럼 대중의 니즈를 찾고 일상에 접근을 하려는 데 있다. 한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동영상 중심의 서비스나 유료 플랫폼 사업에만 매몰되는 기존 방송사와는 다르게 (CJ는) 문화적 접근을 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복합 미디어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격상하는 시도라는 것이다. 현대카드가 종전의 신용카드사와는 다른 가치를 제공한 것처럼 CJ도 ‘문화’라는 키워드를 함께 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5월부터 공개된 “CJ는 문화를 만들어간다”는 CF도 그러한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 못지 않은 풍부한 콘텐츠를 확보한 CJ는 이미 우리 삶의 다양한 지대에 들어와 있는 복합 미디어 그룹이다. 특히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및 문화 콘텐츠와 ICT 생태계를 연결할 때는 지상파 방송사보다 더 나은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

 

'N 스크린‘ 서비스는 이제 콘텐츠를 소비하는 일관된 무대로서가 아니라 사용자의 일상과 연결되면서 보다 넓은 기회를 제공하는 관문이 되기 시작한 것이다. N 스크린을 둘러싼 미디어 기업의 적벽대전의 최후 승자는 결국 기본 체력(콘텐츠) 외에 또 다른 것을 찾는 능력에서 판가름 날 전망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