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신문산업의 미래를 위하여

by 수레바퀴 2006. 11. 2.
동아일보 정호재 기자의 블로그에 짧은 전화 인터뷰가 실렸다. 그 내용이 다소 불충분하기에 인터뷰 당사자로서 트랙백을 걸었다. 정기자의 양해를 바란다.

나는 신문산업의 미래를 위해서 디지털 전략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그것이 결정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국내 신문산업과 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온라인과 오프라인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서는 안된다고 본다.

다만 신문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독자적인 신문(Paper)생존을 위해서는 신문 내 디지털화가 기본에서부터 재정립돼야 한다는 관점이다.

그래서 나는 일관되게 종이신문의 세 가지 혁신 플랜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사람(기자)에 대한 혁신, 조직(뉴스룸)에 대한 혁신, 자원(재분배 및 관리)에 대한 혁신이 그것이다.

기자들은 이제 콘텐츠를 단순히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판단하고 마케터의 시각을 가져야 한다. 물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기자들에게 주어지는 새로운 역할과 주문이 늘어나고 있지만 업무 패러다임, 선발 과정은 변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조직, 특히 뉴스룸의 변화는 불가피하다.

통합뉴스룸이 과연 국내 상황에서 효율적인 것인가의 문제의식부터 온오프 통합의 진정한 목표를 설계하는 것은 차분하고 진지하게 접근해야 한다.

특히 독자DB를 비롯 방대한 사진, 기사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타깃 마케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 영향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출발점이 바로 독자와 콘텐츠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을 위해서는 오너십이 필요하다. 신문 오너는 지금과 같은 과도기에 대단히 중요한 결정과 판단을 내려야 하는 위치이다. 오너십이 구현되지 못하는 신문은 시간과 재화를 낭비할 수밖에 없다.

결국 신문산업은 '종이신문'을 위한 보다 영리한 전략과 이를 온라인과 결합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가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개별신문이 처한 조직적, 문화적, 경제적 변수들에 의해 설정될 것이기 때문에 구조화할 수는 없다.

관건은 신문의 디지털화는 즉흥적인 전환이 아니라 장기적인 비전과 로드맵을 여하한 수준으로 정립하느냐이다. 여기에는 기자와 경영진 모두의 희생과 창의성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지금과 같은 폐쇄적인 기자사회와 철학없는 경영진으로는 디지털화도 실패하고 신문의 미래도 위기의 덫에 걸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나는 한국 신문계에 다시 강조하고자 한다.

창조성, 개방성(쌍방향성), 다양성.

이 세 가지 가치가 신문 콘텐츠와 조직문화 안에 이식되면 체계적인 디지털화를 촉발하고, 신문과 온라인의 미래를 보다 긍정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거듭 밝혀 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