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핑턴포스트코리아가 출범했지만 독자들이 스스로 참여하는 뉴스 미디어의 미래는 밝지 않다. 현실적으로 포털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미디어 환경은 실타래처럼 얽혀 있다. 정치적이고 상업적으로 작동하는 플랫폼을 공동체의 미래, 삶의 지평과 사유를 넓히는 `이용자 관점`으로 전환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28일 창간한 인터넷신문 <허핑턴포스트코리아>와 관련 한 블로거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매체'라고 일갈했다. 대체로 동감한다. <미디어오늘> 최근호도 이 부분을 상세히 다뤘지만 결국 어떻게 영향력을 확보하느냐가 <허핑턴포스트코리아>를 비롯한 새롭게 등장하는 (대안) 미디어의 과제일 것이다.
확보한 명망가들이 게시하는 뉴스 스토리의 차별성이 두드러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안심이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다. 이들이 스토리를 입력하고 편집하는 도구(CMS)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느냐도 효율성의 측면에서 무시 못할 이슈다. 특히 필자인 블로거들이 갖고 있는 생존-일상의 문제도 녹록지 않다(원고료 논란이 이는 것은 지극히 한국적이다).
영향력을 넓히기 위해서는 콘텐츠 경쟁력 이외에도 바이럴(SNS)과 포털(검색) 두 축이 중요하다.
그런데 아직 바이럴은 한계가 있다. 시장 여건을 고려했을 때 역시 포털의 역할이 중요하다.- 나는 지난번 <블로터닷넷> 포럼에서 포털의 공적 책임을 주문했다 - 현실적으로 대안 미디어의 생존을 위해 포털의 노력이 제대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가령 포털사업자가 좋은 저널리즘을 구현하는 매체-공정하고 객관적인, 공동체의 정의를 실현하는 매체-를 선별하는데 적극적이지 않다면 결국 온라인 뉴스 환경은 기형적으로 흘러가게 된다. <ㅍㅍㅅㅅ>, <슬로우뉴스>, <뉴스타파> 등 신생 미디어와 호응하는 시도야말로 포털뉴스의 '혁신'이다.
최근 네이버가 조중동 등 주요 신문사가 대주주로 있는 종편사의 미디어 렙사에 골고루 투자한 것은 경악할만한 일이다. 결과적으로 모순적인 시장-트래픽과 뉴스 가치의 부조화-에 안주하면서 '정치적인 거래'만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전통매체 성찰과 혁신도 중요하지만 한국의 포털사업자는 그들의 영향력과 역사성을 고려할 때 미디어로서의 책무를 외면해서 안 된다.
특히 네이버는 자사의 서비스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 뉴스캐스트-뉴스스탠드 체제 이후 PC웹 뉴스 서비스를 사실상 포기하고 있는 네이버가 여전히 수백 개의 매체를 등에 업은 채 어떤 뉴스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 시대 진정한 '이용자 관점'이 무엇인지 성의있게 다뤄야 할 것이다.
'온라인미디어뉴스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 가판대 플랫폼 조인스...최대 매체 규모 `눈길` (0) | 2014.09.22 |
---|---|
한겨레-허핑턴포스트 `깜짝`제휴...결국 `혁신`이 과제 (0) | 2013.11.11 |
Korean newspapers move to introduce paid digital subscription model (0) | 2013.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