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최근 잇따른 뉴스혁신에 대해 냉정한 진단을 했다. 전하려고 하는 메시지가 보이지 않는다거나 읽기 흐름을 방해하는 인터페이스, 적절하지 못한 표현형식 등을 꼬집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적극 장려돼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SK경제경영연구소 조영신 박사, 미디어오늘 이정환 기자,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강정수 박사(무순)를 각각 (조)-(이)-(강)으로 표기함.
전문가들은 최근 쏟아지는 새로운 뉴스형식에 대해 실험성은 인정하지만 내러티브에 대한 이해 등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SK경제경영연구소 조영신 박사는 "뉴욕타임즈 스노우폴(Snow Fall)이 시사하는 것은 뉴스가 독자에게 말을 거는 것 다시 말해서 편안하게 읽으세요, 이것저것 뒤져 보지 않아도 몇 번의 클릭으로 보세요"라면서 "국내 신문사들의 뉴스 혁신도 이 점을 주목해야 한다. 결국 (온라인에서) 뉴스 스토리는 편한 읽기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조 박사는 "이후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리뷰가 있어야 한다"면서 "특히 이러한 서비스 형식이 어떤 환경에 부합할지 봐야 하는데 그저 웹 사이트에 밀어 넣어선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조 박사는 최근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과방송>을 통해 전통매체의 뉴미디어 수렴과정을 짚은 '립타이드(riptide)' 번역본을 출간했다.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강정수 박사는 "이런 뉴스 실험은 계속 돼야 한다"면서 "그러나 그 자체로 그쳐서는 안 되고 지속가능성이 담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 박사는 또 "각 실험들이 감동을 주지 못하는 건 형식 실험에 제한돼 있어서다. 분절과 연결 등 각 스토리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역량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예를 들면 두번째 스토리만 봐도 의미를 전하고, 첫번째와 두번째의 스토리의 연결성도 감안하는 내러티브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세 건은 긴 스토리(long form)를 그냥 늘여서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다.
<미디어오늘> 이정환 기자는 "어떤 유행처럼 번지는 것 같다"면서 "이슈 환기 차원에서 시도할만한 가치는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기존의 기획 기사를 다시 가공하는 방식(아시아경제)도 좋지만 처음부터 스토리텔링을 고려하는 콘텐츠 기획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온라인 미디어 전문가는 "긴 글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이머시브 스토리텔링(immersive storytelling)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챕터를 탭 메뉴로 나누어 끊어 읽도록 하는 것이 대표적인 접근방식인데 세 건의 서비스는 효율적이지 않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그는 "텍스트로 표현하기 힘든 상황을 인터랙티브 요소로 풀어보겠다는 문제의식, 그리고 이러한 뉴스실험을 뉴스룸이 온전히 소화할 수 있는 '내재화'가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강정수 박사도 "뉴욕타임스 '스노우 폴'은 새로운 내러티브에 대한 고민을 의미한다"면서 "기술적으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도 저널리즘 혁신을 주도하는 R&D 개념 즉, 미디어랩 차원의 접근이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한국온라인저널리즘 어워드를 여러 차례 수상한 <연합뉴스> 미디어랩 한운희 기자는 "내용을 담아내는 형식이 돼야 하는데 형식 자체만 집중한 것 같다"고 총평했다.
한 기자는 "많은 사람이 시간을 들였지만 과연 효율적인가를 곰곰히 따져봐야 한다"면서 "세련된 <뉴욕타임즈>의 스노우 폴도 분석 자료들을 보면 독자가 전부 읽은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왔음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기자는 특히 "현재 이런 서비스를 보여줄 수 있는 플랫폼은 자사 웹 사이트 뿐인데 독자들과의 접점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많은 독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성하는 게 절실한데 포털사이트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포털에서 이런 서비스를 별도로 모은 코너를 신설하는 등 많은 독자들에게 보여질 수 있어야 뉴스 혁신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미다.
'그 섬, 파고다'로 첫 실험에 나선 <아시아경제> 백재현 뉴미디어본부장은 "수지타산을 맞추기 어려운 서비스니 아마도 활성화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백 본부장은 "그러나 변하지 않고 이대로 가면 언론산업이 모두 죽는다"고 잘라 말했다.
새해 벽두부터 시작된 뉴스의 변화가 답보상태에 있는 국내 전통매체의 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판단하기 어렵다. 지금으로서는 일과성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강정수 박사는 "개별 프로젝트의 성패만 갖고 다뤄서는 안된다. R&D 관점 그러니까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비용으로 다뤄야 한다. 변화하는 독자의 뉴스소비를 연구하고 그에 걸맞는 뉴스실험을 갖춘 내부 조직이 없다면 국내 언론사는 늘 제자리에만 있을 것"라고 말했다.
<아시아 경제>의 그 섬, 파고다. 편집국 취재물을 바탕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했다. 기존 종이신문 취재 기자들이 온라인 뉴스의 성격과 형식을 숙지해야 한다는 과제가 여전히 남는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이런 뉴스 실험을 장려하는 뉴스룸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아시아경제>가 23일 노인문제를 다룬 자사의 20회 연재 기사물인 '그 섬, 파고다'를 바탕으로 새로운 디지털 뉴스 실험을 공개했다.
지난해 11월4일부터 29일까지 보도한 20부작을 스토리텔링 형식을 빌어 재구성한 '그 섬, 파고다'는 인트로 페이지를 비롯 황혼의 방랑자, 그림자 인생 등 총 7부분으로 구성됐다(1월과 2월 중 후반부 내용이 추가로 제공된다).
기존 보도물을 재구성한 만큼 텍스트와 함께 당시 담아내지 못한 영상, 사진 소스들을 충분히 안배해 완성도를 높였다. 이를 위해 취재부서와 온라인 파트가 협업을 진행했다.
'그 섬, 파고다'로 지난해 12월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을 수상한 <아시아경제> 기획취재팀 김동선 부장은 "지난해 10월 이 아이템을 잡아 11월 초부터 기사 생산을 했다"면서 "초고를 본 뒤 어떤 방식으로 쓸 것인지 내부 협의를 거쳐 나레이션 형식으로 잡았다"고 밝혔다.
김 부장은 "'빅 시리즈'로 명명된 긴 호흡의 취재물에 완성도를 끌어 올리기 위해 몇 차례나 사전 답사도 했고 중간에 내부 협의도 했다. 사진이나 영상은 디테일을 묘사하는 데 초점을 뒀다. 다시 말하면 피사체의 클로즈업에 중점을 두는 식이었다"고 취재 과정을 설명했다.
그러나 김 부장은 "보도와 동시에 온라인 서비스를 공개하지 못했고 주제에 대한 대안 제시를 못한 부분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이번 '그 섬, 파고다' 스토리텔링과 관련 취재부서는 콘텐츠 분류나 구성에 조언을 주는 선에서 그쳤다.
이와 관련 중앙일보 통합뉴스룸 에디터를 거친 백재현 뉴미디어본부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플랫폼별로 차별적인 콘텐츠를 독자들에게 보여주지 못한다면 미디어의 미래는 없다"면서 "아직 UI나 UX 측면에서 어색하지만 첫 발을 뗀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백 본부장은 "첫 작품이라 기획방향을 잡는데 시간이 다소 소요됐고 총 10여일 작업했다"면서 "편집국 기자들이 새로운 뉴스 포맷을 이해하고 기사작성이나 사진이나 동영상을 제작해야 하는데 그게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태라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백 본부장은 "이번 경험을 토대로 편집국에 이슈팀을 발족시켰다"면서 "다양한 시도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뉴스 혁신을 계속 추진해보겠다는 이야기다.
'Online_jour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뻗치기`보다 소셜미디어 활용…기자 업무 변화 (0) | 2014.08.06 |
---|---|
경향신문 `그 놈 손가락`…독자 호평 쏟아져 (0) | 2014.01.23 |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저널리즘은? (2) | 2014.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