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미디어뉴스/국내

뉴스캐스트 개편 하루만에 언론사 트래픽 `반토막`

by 수레바퀴 2010. 3. 10.

뉴스캐스트 개편으로 이용자들은 관심 분야 뉴스를 더 쉽고 편리하게 만나고 있는가? 뉴스의 수준을 개선하는 내부 논의는 여전히 뒷전인 상태에서 뉴스캐스트를 믿고 의지해왔던 언론사들의 불만은 고조되고 있다.


네이버 뉴스캐스트 개편이 2일밤 10시 시행된 이후 언론사들이 트래픽 격감으로 '패닉' 상태에 빠졌다.

4일 오전 각 신문사(닷컴) 관계자들을 통해 확인한 결과 메이저 신문사는 시행 이전 대비 평균 40~50%, 비메이저 신문사는 평균 50~60% 가량 방문자수 또는 페이지뷰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메이저 종합 일간지는 3일 밤 트래픽 감소세가 다소 만회되기는 했으나 개편 직후 한때 60%까지 페이지뷰가 줄어 들었다.

비메이저 신문사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평균 60~70%의 트래픽 감소가 4일 오전 현재에도 반전되고 있지 않는 곳도 있다.

전문지의 상황도 좋은 편이 아니다. 한 경제지의 경우 70%까지 페이지뷰가 떨어졌다가 4일 오전 현재 다소 만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황은 심각하다는 쪽이다.

스포츠신문도 좋지 않다. 한 스포츠신문은 기사 조회수 기준으로 평균 50% 이상 감소하고 있다.

개편 전날 대비 3월 3일 기준. 각 언론사 자체 로그 데이터임. 트래픽 감소세가 4일 오전 현재에도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언론사 실무자들은 최소 일주일은 지나봐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겠다면서도 이 정도 추이는 상당히 심각하다고 말했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우리는 트래픽에 연연하지 않겠다고는 했지만 이렇게 반토막이 나니까 심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다른 신문사 관계자는 "언론사에게 거대한 트래픽 거품을 선물한 네이버가 갑자기 그 거품을 거둬들이는 판"이라면서 "우리는 어쩌란 말인가"라고 우려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다. 언론사들은 뉴스캐스트 도입 이후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온라인 광고를 적용해 매출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이번 개편으로 트래픽과 연결된 기사면의 광고에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고 있다. 뉴스캐스트 개편에 따라 언론사 사이트의 전체 트래픽 감소는 물론이고 광고가 삽입된 기사 페이지의 트래픽 감소가 현실화하고 있어서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뉴스캐스트 개편이 된 이후 일부 트래픽이 메인화면으로 몰리면서 기사면에 적용된 광고의 노출도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 이해관계자들의 반응도 충격적이다. 특히 광고대행사는 시장 위축이 될까 바짝 긴장하고 있다.

중소 규모의 온라인 광고대행사들을 중심으로 계약관계를 맺고 있는 언론사의 기사면 광고는 트래픽 격감 추이가 이어질 경우 광고영업에 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A온라인 광고대행사의 부도로 일부 포털사업자 등의 손실이 불가피한 점을 감안하면 이번 뉴스캐스트 개편으로 CPC 기반의 온라인 광고시장은 더욱 난삽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신문사닷컴은 광고면은 기사 뷰 페이지에 주력하고 있다. 초기 화면(프론트 페이지 포함)은 신문기업의 얼굴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주요 뉴스와 서비스 채널로 채우지만 기사면에는 광고공간을 내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초기화면의 경우 디스플레이 광고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기사면(뷰 페이지, View Page)에는 문맥광고나 다양한 시험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해 뉴스캐스트 시행 이후에는 트래픽이 기사면에 쏟아지면서 다양한 광고비즈니스가 전개됐다.

실무자들은 대부분의 광고 및 사업매출이 최근 1년간 기사면을 근간으로 형성됐기 때문에 메인 유입률로 사업의 축을 바꾼다 해도 기사면에 적용된 다양한 광고들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닷컴사 광고나 사업모델이 작년부터 기사면을 중심으로 개편됐다"면서 "뉴스캐스트 개편 구조에 따라 기사면에 걸린 광고계약 반 이상이 문제가 생길 것같다"고 우려했다.

5일 오전 한 트위터가 올린 글. 국내 주요 신문사의 온라인 광고를 대행하는 오버츄어 코리아 이야기. 아직 국내는 구글 애드센스보다 오버츄어 코리아의 영업력이 더 세다.


언론사들의 고민은 협의체인 한국온라인신문협회를 창구로 협상을 한대도 기사면 비즈니스를 감안해 협의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일단 온신협은 조금 더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트래픽 감소추이가 지속된다면 좌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모바일 웹 공동 페이지 구축으로 결속하고 있는 언론사들로서는 기존 포털사이트를 배제한 뉴스 포털도 다시 부상할 여지까지 있다.

그러나 현장의 목소리는 다급하다. 일부 신문사 관계자들은 개편 이후 만 하루가 지난 상태에 불과하지만 '격분'하고 있다. 네이버로부터 '농락'당하고 있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한 신문사 간부는 "돈 몇 푼에 가지고 노는 네이버를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언제부터 이 지경이 됐는지, 어떻게 제목까지 규제하려는 것"이냐고 강력 반발했다.

다른 신문사 관계자는 '음모론'도 지적했다. "네이버의 숨은 의도가 뭔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트래픽 감소가 예상되는데도 이런 방식으로 밀어부친 것은 다른 배경이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신중론도 적지 않다. 뉴스캐스트 개편안이 나온 배경이 언론사들의 과도한 옐로우 저널리즘-선정성 경쟁 때문이라는 점을 망각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한 신문사 관계자는 "그동안 언론사들은 정작 이용자들이 원하는 방향을 고려하지 못한 채 뉴스캐스트나 포털뉴스에만 의존해왔다"면서 때늦은 자성론을 제기한다.

미디어오늘 2010년 3월10일자. 뉴스캐스트 개편이 트래픽 버블의 몽환을 깨고 언론사 뉴스룸의 혁신 계기로 작동할 수 있을까?


이번 개편대로라면 선정성은 줄어들 수밖에 없고 퀄리티 저널리즘이나 전문성 경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 메이저신문사닷컴 기획팀 관계자는 "페이지뷰 하락이 광고나 여러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좀더 흡인력 있는 뉴스 서비스 개발이나 뉴스룸의 개방성이 강조돼야 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뉴스캐스트 개편을 계기로 언론사들이 근본적인 혁신을 더 이상은 미루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기사 공급단가 제값받기, 아웃링크 등 저작권 논란 등 언론사와 포털간 다양한 이슈들이 산적한 가운데 뉴스캐스트가 다시한번 시한폭탄으로 등장했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현재로서는 온라인 뉴스 강화를 위해 투자를 진행한 대다수 언론사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언론사별 페이지를 디폴트로 하고 기사갯수를 더 늘려야 한다"면서 "이용자들 입장에서도 볼만한 기사를 쉽게 소비할 수 없는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트래픽 감소에 이은 광고매출 하락이 이어지고 이용자 불만이 고조된다면 개편된 네이버 뉴스캐스트는 오래가기 어려울 수 있다.

앞으로 최소 일주일, 최대 일개월의 언론사 트래픽 추이가 뉴스캐스트 개편의 정착 여부를 판가름 지을 것으로 보인다.

4일 오후 현재 일부 언론사는 3일 상황과 비교할 때 평균 10% 정도 회복됐다고 밝혔다. 이용자들도 서비스에 어느 정도 적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론사 트래픽 급감 추이가 진정 국면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더욱 큰 문제는 네이버 이용자들의 불만이다. 옴부즈맨 게시판에는 항의글이 쇄도하고 있다. 언론사들도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