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신문이 처음으로 소개된지 126년만에 '산업'으로서의 존재감을 알리는 업계 최초의 '2009 신문·뉴미디디어 엑스포'가 지난 1일부터 고양시 킨텍스에서 닷새간 진행됐다.
엑스포 명칭에서 말해주듯 신문 단독으로는 업계의 면모를 표현할 수 없는 뉴미디어 패러다임의 도래는 현장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신문사가 전자종이리더기, IPTV 등을 통해 뉴스 서비스가 구현되는 것을 신문의 '미래'로 펼쳐 보여준 것. 어떤 신문사는 아예 TV 스튜디오의 공간을 빌어 '토털 뉴스 시스템'을 구현, 종이와 영상의 컨버전스를 뽐냈다.
그러나 정작 신문의 참된 위기와 대안을 이야기하는 자리는 부족했다. 4일 엑스포 한 켠에서 열린 '신문의 미래 전략' 세미나는 업계 사람들의 현실적 고민과 지혜를 모으기에는 한없이 부족해 보였다.
단지 신문의 위기담론이 고착화돼 있음을 뚜렷이 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보다 독자들과 밀착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조금의 위안을 삼을 수 있다.
'신문기업의 다각화전략 가능성'이란 주제의 발제를 맡은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김사승 교수는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신문이 생산하는 다영역적(multiple product dimensions) 뉴스 상품의 생산과정에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보유 자산과 역량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와 한께 "미디어 환경과 새로운 혁신패턴에 대한 이해"를 배경으로 "공급자 관점의 뉴스 상품이 아니라 독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서비스의 개념으로 초점을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투자, 집단지성 확보, 소셜 네트워크 구축 등 독자들이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개방적인 도구와 기회의 창출이라는 전략으로 신속히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원론적인 해법에 대해 토론자들은 현실적 진단을 통해 냉정한 시장의 분위기를 전했다. 한국언론재단 이은주 연구위원은 "기업의존적 광고비중이 워낙 큰 신문 매출구조를 고려할 때 충성도 있는 독자규모가 낮아 (상호적인 플랫폼인) 웹으로 '완전히' 옮아가는 것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미디어경영연구소 주은수 대표연구원도 "기타 사업수익 개발로 신문 비즈니스가 채워지고 있어 뉴스 상품을 가치있게 만드는 작업은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며 "진정한 위기가 임박했다"고 거들었다.
이같은 견해는 국내 신문업계의 뉴스상품에 대해 독자들의 신뢰가 낮기 때문에 뉴미디어 전략-사업다각화 실현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 평가라고 할 수 있다.
KAIST 정보미디어대학원 오택섭 교수는 '멀티미디어로서의 미래신문'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스팸성 뉴스가 아닌 배경보도, 미래전망 보도 등 깊이가 있는 심층기사를 블로그, 지역NGO 등과 연계하는 베켓(Charlie Beckett)의 네트워크 저널리즘(Networked Journalism) 모델"을 신문업계의 생존전략으로 제안했다.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페이스북, 트위터(Twitter Journalism)를 활용하거나 뉴스와 게임의 결합(Ex. Times Quiz / 진실측정기(Truth-O-Meter))을 사례로 소개했다.
너무 많은 쓰레기(스팸, spam)성 뉴스가 쏟아져 나와 피로감을 느끼는 독자들에게 수준 높은 저널리즘을 제공하는 일이 멀티미디어로 자리매김하려는 신문의 과제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참석 패널들은 저널리즘의 신뢰 회복이 먼저라는 평가를 내렸다.
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홍은희 교수는 "완성도 있는 뉴스를 국내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지 냉철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 성균관대 BK21 김위근 연구원은 "콘텐츠의 신뢰, 질 충족이 돼야 한다"며 다른 관점을 드러낸 것.
이렇게 상당수 패널은 현재 국내 신문업계의 위기는 멀티미디어나 인터넷 등장 등 커뮤니케이션 기술 진보에 의한 미디어 대체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신문 저널리즘의 수준이 적나라하게 노출되는 개방적 플랫폼에서 활약하는 집단지성을 껴안지 못한 결과라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사실 이같은 진단은 시장에 이미 지배적인 담화로 형성돼 있다. 물론 혁신의 방법론이나 현실적 대안들은 다양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신문 저널리즘이 집단지성을 감동시켜야 한다는 사실이다.
너무도 다른 목소리를 내는 양 극단의 신문들을 보고 있는 국내 독자들은 저널리즘을 가치 있는 사회적 상품으로 받아들이지 않을지 모른다. 죽은 권력을 부관참시하는데 혈안이 되거나 대형 광고주를 비판하지 않는 신문 저널리즘에 대한 오래된 비판은 지금도 유효하다.
뉴미디어 시대에도 신문이 소중하고, 신문읽기가 지적경쟁력을 높여준다는 자화자찬도 그러한 비판 앞에 서면 부끄러워진다. 신문이 방송으로 옷을 갈아입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든 허황되게 들리는 것도 마찬가지다.
신문이 살 길은 양이나 형식, 스스로의 자위에서 찾아지는 것은 아니다. 바로 상당수의 정보 수용자들에게 존중 받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서 신문의 미래는 불밝혀진다.
자사 부스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으며, 다양한 볼거리와 이벤트로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는 뉴스를 쏟아낸 '2009 신문·뉴미디디어 엑스포'가 진정으로 놓치고 있는 부분이 아닐까 한다.
'Online_jour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캐스트 시행 100일이 남긴 것 (2) | 2009.05.13 |
---|---|
온라인 뉴스 헤드라인 가이드 (2) | 2009.05.04 |
네이버 과거신문 검색 서비스의 파장 (16) | 2009.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