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촛불에서 왜 위기를 느꼈나?

by 수레바퀴 2008. 8. 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가 미국 시카고에서 메일을 보내왔다.

현재 오 대표는 한미커뮤니케이션학회(KACA)로부터 초청을 받아 학회 30주년 기념 세미나 참석차 시카고에 체류 중이다. 그는 키노트스피치 <촛불과 미디어리더십>을 주제로 발표했다.

오 대표는 메일에서 "내가 달리 제목을 단다면 <오마이뉴스 대표인 나는 왜 촛불에서 위기의식을 느꼈나>" 정도가 될 것이라고 전해왔다.

한국의 대표적 인터넷신문을 9년째 운영중인 오 대표의 인식과 전략을 엿볼 수 있어 한글, 영문으로 된 장문의 강연 전문을 블로그에 포스팅한다.

오 대표에게는 포스팅과 동시에 양해를 구하는 메일을 보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촛불과 미디어리더십>
"오마이뉴스 대표인 나는 왜 촛불에서 위기의식을 느꼈나"

촛불과 미디어리더십

오마이뉴스는 2000년 2월 창간됐다. 우리는 창간 당시 가난했지만 사무실은 광화문에 있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우리의 경쟁자, 우리의 적들이 그곳에 있었다. 조선 동아 등 전통적 미디어들이 그곳에 있었다. 또 하나는 광화문은 뉴스의 중심지였다. 광화문 네거리는 정치적 시위와 집회가 주로 열리는 상징적 공간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직원 4명으로 출발한 작은 인터넷신문사였지만 도심 광화문에 사무실을 얻었다. 그 효과는 컸다. 우리는 창간초기부터 광화문 네거리에서 벌어진 큰 시위들을 기동력 있게 취재할 수 있었다. 특히 그곳에서 벌어진 촛불시위는 우리와 인연이 깊었다. 우리는 2002년, 그리고 2004년에 광화문 네거리를 중심으로 벌어진 촛불시위를 생생하게 보도함으로써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2002년엔 미군 장갑차에 치인 두 여중생 사건으로 대규모 촛불시위가 광화문에서 벌어졌고 대선까지 겹쳐 이를 심층보도한 오마이뉴스에 제1의 전성기를 가져다주었다. 역시 광화문을 무대로 벌어진 2004년 탄핵반대 시위 보도로 오마이뉴스는 제2의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2005년부터 오마이뉴스는 상대적 정체기를 맞기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는 거대 포털이 뉴스 유통의 중심이 되면서였다. 독자들은 독립 인터넷신문에서 뉴스를 보기보다는 포털에서 한꺼번에 보는 것을 더 선호했다. 보수언론들의 반격도 만만찮았다. 그들 스스로 오마이뉴스의 장점을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어갔다. 2006년, 2007년이 되어도 오마이뉴스의 상대적 정체기는 계속 이어졌다.

2007년말 오마이뉴스는 사무실을 광화문에서 상암동으로 옮겼다. 디지털미디어시티로 옮긴 것이다.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그 중의 하나는 보도장소의 측면에서 더 이상 광화문의 잇점은 없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더 이상 광화문 네거리에 수만명이 모여 정치적 요구를 관철하는 촛불시위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전혀 예기치 못한 일들이 벌어졌다. 2008년 봄에서 여름사이 광화문 네거리에서 우리 현대사에서 일찌기 볼 수 없었던 참으로 독특한 촛불시위가 벌어진 것이었다. 그것은 가장 긴, 가장 대규모의, 가장 다채로운 촛불시위였다.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촉구하며 벌어진 그것은 단순한 시위가 아니었다. 참여자들은 단순한 시위자가 아니었다. 그들은 스스로 미디어가 되었다. 그것이 2008의 촛불시위가 그 전, 그러니까 2002년, 2004년의 촛불시위와 전혀 다른 특징의 대표적인 것이었다.

시위 참여자들은 블로거가 되어, 시민기자가 되어, 1인 방송의 디제이가 되어 촛불을 보도했다. 핸드폰 문자메시를 통해 친구들에게 새소식을 알리며 보도했다. 그들은 아고라의 자유게시판에 시위소식을 올렸고, 시위작전을 짰다. 그들은 시위 지도부에 의해 움직이는 멤버가 아닌 그들 스스로가 지도부였다.

그들은 더 이상 신문, 방송 등 전통미디어에 기대지 않았다. 그들 스스로 미디어행위를 했다. 전통적 미디어들은 그들을 쫒아가기 바빴다. 오마이뉴스와 같은 뉴미디어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마찬가지였다. 어떤 뉴스 기관도, 심지어는 촛불시민이 주로 참여한 아고라의 운영팀도 그들을 이끌지 못했다.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그들이 내일은 또 어떤 일을 벌일까를 예의주시하며 따라가기에 급급했던 것이다.

이 모든 것의 중심 현장은 광화문이었다. 나는 광화문에서 상암동으로 이사한 것을 잠시 후회했다.

어쨌든 오마이뉴스는 이 2008촛불을 커버하면서 제3의 전성기를 맞았다. 우리의 무기는 인터넷생중계였다. 우리는 촛불의 초기부터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거의 매일 생중계했다. 지금까지 80일 정도를 했는데 어떤 날은 3일 연속 무려 72시간동안 연속 생중계를 한 날도 있었다. 우리는 편집없이 날것 그대로를 보여줬다. 이것은 전통적인 방송은 물론 다른 매체와도 확실한 차별성을 가진 것이었다. 그것은 2002년부터 우리가 꾸준히 인터넷생방송을 해왔기에 그 경험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었다.

어떤 날은 무려 123만명의 독자가 우리의 인터넷생중계를 시청했다. 페이지뷰는 이전보다 5배 넘게 성장했다. 놀라운 것은 자발적 시청료내기였다. 시청자들은 우리의 생생한 인터넷중계가 고맙다면서 자발적으로 시청료를 내기 시작했다. 한통에 2000원하는 핸드폰 결재가 하룻동안 수천건이 걸려왔다. 자발적 시청료로 모은 돈은 무려 1억7천만원이었다. 약 3만명이 동참했다. 우리는 그 시청료로 생중계에 필요한 네크워크 비용을 감당할 수 있었다. 인터넷생중계 비용을 시청자들의 자발적 시청료로 충당한 사례는 아마도 세계에서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이 촛불시위 기간에 오마이뉴스는 제3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기간에 페이지뷰가 급증해 조중동의 뉴스부분 페이지뷰를 넘어섰다. 오마이뉴스의 존재감이 확실히 각인됐다. 우리는 오마이티비를 통해 생생히 현장을 중계할뿐 아니라 시민앵커를 발굴하기도 했다. 모든 시민은 기자다를 모토로 내세운 매체로서 이를 앵커의 영역까지 확산시키려고 노력한 것이다. 이를 통해 촛불방송 스타들이 등장했다. 오마이뉴스 사무실에는 독자들로부터 수박, 음료수 등이 자주 배달됐다.

이 촛불기간에 오마이뉴스는 2005년부터 계속된 상대적 정체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그것은 우리로서는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그 거대한 촛불바다 속에서 오마이뉴스의 대표인 나는 새로운 기운을 얻음과 동시에 새로운 위기의식을 느꼈다.

왜 그랬을까? 오마이뉴스는 촛불을 예측하지 못했다, 과정을 주도하지 못했다, 끝을 마무리 하지도 못했다. 다만 과정을 생생하게 중계했을 뿐이다. 물론 분석기사도 있었고, 심층인터뷰도 있었다. 촛불과 관련한 시민기자들의 다양하고 알찬 기사들이 많이 실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국면전환에 중대한 영향을 줬다기 보다는 전환된 국면을 생생히 보도했던 측면이 더 강하다. 물론 그것도 언론이 해야할 주요 역할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왜 새로운 위기의식을 느꼈나?

그 핵심적 이유는 나마저도 때때로 오마이뉴스도 올드 미디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2000년, 그러니까 불과 8년전에 만들어진 오마이뉴스는 인터넷신문으로서 대한민국 뉴미디어의 대명사의 하나로 불려진 게 사실이다. 오마이뉴스는 시민참여저널리즘의 대표주자였다. 그러나 이번 촛불시위에서 나는 오마이뉴스보다 훨씬 더 기동적인, 훨씬 더 힘있는, 훨씬 더 역동적인 시민참여저널리즘이 오마이뉴스 밖 수많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았다. 아고라에서, 아프리카에서, 개인 블로거에서, 카페에서............

물론 그것은 2008년에 처음 등장한 새로운 현상은 아니었다. 그 전부터 오마이뉴스 밖에서 시민참여저널리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처럼 드라마틱하게, 본격적으로 일어난 것은 처음이었다. 내 스스로 '한 수 배웠다'며 고개가 숙여진 것은 처음이었다.

물론 나는 위기의식의 한편에서는 보람도 느꼈다. 우리가 주창한 모토 '모든 시민은 기자다'가 오마이뉴스 안에서 뿐 아니라 밖에서도 이제 정말 본격적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다. 한국에 인터넷신문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5년 조인스닷컴이다. 그로부터 13년 후, 우리는 2008촛불을 통해 모든 시민은 기자다가 전면화되고 있음을 본다. 아니 모든 시민은 기자다를 넘어 모든 시민은 미디어가 된 세상을 목격하고 있다.

그리하여 2008촛불은 우리에게 묻는다. 누가 미디어의 세계를 리더하고 있는가?

내가 보기에 촛불 2008을 주도한 것은 그동안 대한민국 사회의 여론을 주도해온 보수신문 조중동이 아니었다. 친촛불언론이라는 PD수첩도, 경향-한겨레도, 오마이뉴스도 아니었다. 촛불정국에서 가장 많이 주목받은 매체인 미디어다음의 자유토론방 플랫폼인 아고라도 아니었다. 그 모든 매체를 활용하면서 스스로 기자가, 미디어가 되어 내가 할일을 해나간 일반 시민들이었다. 즉 촛불2008에서 미디어리더십은 스스로 뉴스의 발신자가 된 일반시민들에게 있었던 것이다.

혹자는 2개월간의 촛불이 무엇을 변화시켰냐고 하지만, 엄청난 결실들이 있었다. 우선 30개월 이상된 미국소가 사실상 수입금지됐다. 여러 보완조치들이 뒤따랐다. 이명박정권의 핵심공약이었던 대운하 시도가 포기됐다.

무엇보다 '우리가 움직이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승리의 추억을 얻었다. 예전엔 그런 추억은 386세대의 전유물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제 10대 촛불소녀, 20대 대학생이 그런 승리의 추억을 갖게 됐다.

이런 '승리'는 수십만명이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서게 한 '새로운 미디어리더십'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이 엄청난 변화가, 조인스닷컴이라는 인터넷신문이 대한민국에 생긴 이래 13년만에 벌어졌는데, 그것이 왜 대한민국 땅에서 가능했을까?

널리 알려진대로 인터넷은 미국 국방부의 작품이다. 냉전시대 전쟁승리의 한 도구로 고안된 것이다. 기술은 그 자체로서는 기술일뿐이다. 이것이 어떤 의지를 가진 사람과 결합할 때 그 기술은 엄청난 결실을 맺는다. 인터넷 기술이 제대로된 민주주의를 염원하는 대한민국 네티즌과 만난 것이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짧다. 우리는 오랫동안 표현의 자유를 유린당해왔다. 그래서 표현의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안다. 그러던 차에 인터넷을 만났고, 지난 10여년간 그것을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제대로 써보는 실전을 거듭해왔다. 그 결실이 촛불 2008이다.

촛불2008에서 미디어리더십을 발휘한 일반시민들은 단순히 파워만 보여준 것이 아니다. 20,30만명이 광화문에 모여 힘을 보여준 것만이 아니다. 그들은 전통적인 미디어 라직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아니 질문에 그치지 않고 대안을 제시했다.

누가 기자인가, 어떻게 취재할 것인가, 어떻게 쓸 것인가, 어떻게 편집할 것인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그들은 또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어떻게 역동적으로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가도 보여줬다. 온라인에서 토론하고, 그 결실로 오프라인에서 촛불을 들고 모이고, 그것이 다시 온라인 토론을 더 활성화시키고. 다시 그것이 더 많은 촛불을 광화문에 모이게 했다. 그리고 그것은 정부의 정책을 바꿔놓았다.

그러나 모든 것이 다 해결된 것은 아니다.
근본적인 질문이 남는다. 일반시민들에 의한 미디어리더십은 촛불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것인가?

나는 이른바 UCC열풍이 불었던 2006년, 2007년 가치있는 UCC를 위한 10가지 조건에 대해 발표한 적이 있다. 그것은 크게 책임성, 신뢰성, 영향력, 지속가능성이었다.

그 중에서 여기서는 지속가능성에 집중해 이야기해보자.

일반시민이 미디어리더십을 지속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1) 참여하는 일반시민들 2) 이슈 3)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내가 볼때, 한국적 상황속에서, 이 3가지 중에 일반시민이 미디어리더십을 지속적으로 발휘하는데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될 수 있는 것이 플랫폼이다. 광장의 취약성이다. 이번 촛불2008에서 광장의 역할을 한 것은 포탈 미디어다음의 아고라와 1인생중계 사이트 아프리카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두 사이트는 상업적 목적으로 출발한 곳이다. 그 태생이 위키피디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정부당국의 제재조치에 상처받기 쉽다. 벌써 아고라에 올려진 일부 게시물들이 삭제되고 있고 이는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고 있다.

그렇다면 개인 블로그는 어떤가? 촛불에서 개인블로그들이 실핏줄처럼 여론 형성에 기여한 것은 맞다. 그러나 개인 블로그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충분한 독자를 확보하기는 힘들다. 한국의 알파 블로거들은 대부분 포탈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 등을 통해 페이지뷰를 얻는다. 포털 종속형 파워블로그들이 많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포탈은 아까도 말했지만 상업적 목적으로 출발한 곳이다. 포탈은 블로거들이 자신들의 상업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별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순간 어떤 과감한 변경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프리랜서든 고용된 언론인이든 직업적 언론인이 아닌 일반 사람이 블로깅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하면서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이다. 설사 그가 독자를 확보해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시작했다 하더라도 그가 이를 직업적으로 하기 시작하는 순간 그의 애초의 순수성, 애초의 블로거의 맛은 변질될 수 있다. 그는 블로깅이 밥벌이가 되는 순간 독자를 의식해야하고, 광고주를 의식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개인적으로 오마이뉴스의 모델이 개인 블로거 모델보다 더 개인에게 지속적인 참여를 보장해주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오마이뉴스 모델은 시민이 참여하되 블로그처럼 스스로 자기 집을 자기가 관리해야하는 수고가 없어도 된다. 블로그 모델은 스스로 기자이고 편집장이지만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는 기사만 쓸뿐, 관리자는 따로 있다. 편집자가 사실여부를 체크하고 편집하고 배치한다. 블로그는 며칠만 관리 안하면 흉가가 되지만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는 자기가 쓰고 싶을때만 쓰면 된다. 블로그가 단독주택이라면 오마이뉴스는 연립주택이다.

따라서 오마이뉴스는 시민들에게 지속적인 참여의 광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오마이뉴스의 한계는 있다. 열린진보를 편집철학으로 가지고 있듯이 폭넓은 일반시민을 포괄하는 광장이 되기에는 색깔이 너무 진하고, 아직 미흡한 구석이 많다. 그래서 많은 변화를 준비하고 있지만....

어쨌든, 다시 아까의 그 주요한 질문으로 돌아가자.
어떻게하면 일반시민들이 촛불2008에서 보여준 미디어리더십을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

내가 보기에 관건은 어떻게 '영향력있는 연대의 광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느냐가 중요하다. 사실 촛불 2008은 일반시민과 미디어다음의 토론플랫폼 아고라의 합작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까 말한대로 미디어다음은 상업적 회사다. 우리는 이 회사가 앞으로도 변심하지 말고 선한 일을 계속해야 한다고 기도해야 할까? 비영리적이고 독립적이고 오픈소스적인 위키피디아 모델을 토론방에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한 것일까? 민주주의를 염원하는 독자가 많이 모이는 곳일수록 더 큰 자본이 지배하는 인터넷회사가 운영하는 플랫폼이라는 이 불편한 고리는 어떻게 끊어질 수 있을까?

이 질문들은 인터넷의 미래, 인터넷공간에서의 참여민주주의의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한 것들이다.

아까 말한대로, 인터넷은 미국 국방부가 전쟁승리를 위해 고안한 시도들에서 파생된 것이다. 인터넷은 한국의 촛불2008처럼 참여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 기여하고 있지만, 상당수의 인터넷공간에서는 독자들의 클릭이 자본의 상업적 이익을 위해 이뤄지고 있다. 상업적 자본의 인터넷 침입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인터넷은 상업적 자본을 위해 존재할 것인가, 참여민주주의를 위해 존재할 것인가?

항상 그렇듯이 모든 질문의 답은 실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하나는 일반시민들이 스스로 제3의 독립지대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영향력있는 플랫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것은 위키피디아처럼 비영리적이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미디어다음 아고라, 아프리카, 오마이뉴스 등 기존의 플랫폼이 상업적 돈벌이에 '가치'를 희생하지 않도록, 정권과 자본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감시하고 견제하면서 그것을 활용하는 일이다.

당분간은 후자를 계속하면서 전자를 모색하고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다가 아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이 있다. 그것은 컨텐츠의 중요성이다.

물론 새로운 독립적인 플랫폼을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것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시민참여의 컨텐츠들은, 아까 내가 위에서 지적한 가치있는 UCC의 핵심적 요소들인 책임성, 신뢰성을 반드시 담보해야 할 것이다.

책임성, 신뢰성...그러고 보니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다. 그것이야말로 올드미디어시절부터 저널리즘의 기본으로 강조되어온 것 아닌가?

촛불2008은 미디어의 진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모든 진화는 연속성과 변화성의 이중주다. 변해도 변해도 변하지 않은, 올드미디어의 시작에서부터 강조돼온 책임성, 신뢰성 등과 같은 것들을 소중히 생각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할때, 시민참여저널리즘, 시민참여미디어는 앞으로 진정한 미디어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Candlelight2008 & Media Leadership 

I founded OhmyNews in 2000. At that time we were poor, but we rented an office in Gwanghwamun, the center of Seoul. There were two reasons. One is that our competitors were there. The conservative mainstream newspapers were there. Another reason is that Gwanghwamun is at the center of political news, where mass political demonstrations happen.

Therefore, even though we started with only 4 staff members including myself, our office was there in G.
That decision had huge consequences. We could cover big demonstrations effectively in the right time, leveraging our ability to truly convey what was happening on the ground. We have a special history with the mass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G. We had many new readers when we covered the 2002, 2004 candle light demonstrations in G.

In 2002, we enjoyed the first golden age of OhmyNews, when we covered the huge candlelight demonstrations sparked by the deaths of two middle school girl students caused by American soldiers.

In 2004, we enjoyed the second golden age of OhmyNews, when huge numbers of Koreans held candle light demonstration to protest the impeachment process of president Roh Moo-hyun.

But from 2005 we experienced a period of relative depression. The most important cause was the internet portal sites which the central gate of news distributions. Readers preferred to visit portal sites to browse news rather than visit independent internet news sites. Challenges also came from conservartive mainstream newspaper websites. They benchmarked our merits and made them their own. The depression years of OhmyNews lasted until 2007.

In December of 2007, we moved from G to S. There were many considerations. But one was that: There would be no more merits of G office in terms of covering big political issues. I thought there would be no more big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G.

However, unexpected things happened. We have seen unprecedented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G in 2008, that lasted over 2 months, quite different from 2002, 2004 candle light demonstrations in terms of issues, style, culture, the core members.

It started with opposing President Lee MB's American beef import policy. But the participants were not just demonstrators. They became themselves media. They reported the demonstrations as a blogger, a citizen reporter, and VJ (video jockey).

They used mobile phones to report demonstrations to their friends. They posted news about the demonstrations on Agora bulletin board and discussed the tactics of the demonstrations. They did not follow their organized leaders, they became leader themselves.

They no longer depended on traditional media. They acted as media themselves. Traditional media hurried to follow them. So-called New media, such as OhmyNews faced the same problems to a certain degree. Even the administrator of Agora BBS platform could not control them.

As all these events happened in G for a moment, I felt regret our move to S from G.

Anyway, we enjoyed the third golden age of OhmyNews. Our main weapon was live webcast coverage. We did it almost every da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demonstrations. They lasted nearly 80days. We conducted 72 consecutive hours live coverage in 3days. We lived the demonstrations and told their stories vividly without any editing.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usual 2 minute coverage of TV broadcasters. It was possible because we leveraged our accumulated live-coverage experiences from 2002.

One day, over 1 million visitors watched our live coverage, at the highest record. Thanks to the live webcast, we had 5 milion pageviews in a day, 5 times the ordinary pageviews before candle light demonstrations.

The most surprising experience was the spontaneous, unsolicited payments from viewers. viewers expressed their thanks to OhmyNews coverage of the demonstrations by giving unsolicited subscription payments. Each day, thousands of payments of 2 or 3 dollars came in through our tip jar and mobile phone payment system.

We received about 170,000 dollars and about 30,000 people contributed. We were able to pay for our huge network costs through that amount. I think it is difficult to find another situation in the world, where viewers gave so much unsolicited payments, spontaneously for internet live-coverage.

OhmyNews experienced its third golden age during this latest round of candlelight protests. During this time, our pageviews increased dramatically to eclipse that of ChoJoongDong (the three main Korean conservative dailies). It cemented OhmyNews reputation and importance.

Through OhmyTV we covered real-time, unedited what was happening on the ground and we even developed citizen webcast-anchors. We took our motto that “every citizen is a reporter” even further to say that citizen reporters could also become VJs and anchors. Through this, candlelight broadcast stars emerged. Viewers often sent gifts of watermelons and refreshments to the OhmyNews office to express their thanks.

But during this momentous time, as CEO of OhmyNews, I experienced both a new energy and also a sense of crisis.

What was the reason? Because, OhmyNews could not predict the candlelight vigils nor lead its process, we could not even consolidate its end. We could only broadcast, report its process as vividly as we could. Of course we were able to analyze the protests and conduct thoughtful interviews. But rather than influencing changes to the movement, we were only able to report on the changing situation vividly. Of course I realize that this is a most important role of the media.
Given all this, why did I feel this new sense of crisis?

The critical reason was that I wondered if OhmyNews itself had become old-media. Since its inception 8 years ago in 2000, OhmyNews had become Korea’s centerpiece of internet newspaper. OhmyNews was the representative of citizen participatory journalism. But during the candlelight vigils, I saw in many media spaces outside of OhmyNews, far more strong, active and leading examples of citizen participatory journalism. I saw this in Agora, Afreeca, in individual blogs, in cafes and bulletin boards.

Of course these were not new in 2008. Citizen journalism was developing actively outside of OhmyNews for a while now. However it was in 2008, that we truly felt a sea-change in citizen journalism. I myself had learned a lesson in humility.

But I also felt glad. We saw that our motto that “every citizen is a reporter” had taken off not only in OhmyNews but all around in Korean society.

It is true. The first internet newspaper in Korea was Joins.com in 1995. In the following 13 years we have seen that “every citizen is a reporter” has been realized. In fact, we see that “every citizen has become media.”

And thus, Candlelight 2008 asks this of everyone: “Who will lead the world of media?”

In my opinion, what led Candlelight 2008 was not the usual conservative cabal of ChoJoongDong dailies. It was neither the media outlets friendly to candlelight movement such as PD Notebook, progressive outlets such as Kyunghyang, Hankyoreh or OhmyNews. It was not even the BBS platform of Media Daum’s Agora on which much around which the candlelight activity focused. It was the ordinary citizens who used all different kinds of media and platforms to become reporters and media themselves. Thus, the ordinary citizen took on the media leadership role of Candlelight 2008.

Some ask what these candlelight protests have accomplished but they have produced huge consequences. Firstly, there has been a ban on US Beef older than 30 months and other security measures. Secondly, the “Grand Canal Project” which was a centerpiece policy of President Lee Myung-bak has been abandoned.

But more than anything else, candlelight 2008 brought about the victory that “If we try, we can change the world.” Before 2008, this kind of idealism was but a faint memory for the 386 generation who worked to defeat military dictatorships. But now, Candlelight 2008 has become a rallying call for a new generation of teens “the Candlelight Girls” and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his taste of victory.

This “victory” of tens of thousands candlelight marcher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new media leadership. Then, how was this sea-change in media leadership possible in Korea?

As many know, the internet was a product of the US military. It was one strategic tool of the cold war. The technology itself is only technology. But it created stupendous unexpected results. Internet technology met Korean netizen who wanted real democracy.

Korean democracy has a short history. And our freedom of expression has long since been oppressed and manipulated. So we know how precious this freedom is. For the past 10 years, we have tried to use internet technolo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the fruit of our efforts have been Candlelight 2008.

These ordinary citizens who held the media leadership role in Candlelight 2008, did not merely represent the power of the crowds. These 200,300 thousand participants challenged traditional media logic. No, they didn’t stop with a challenge but presented a new alternative.

“Who is a journalist? How should a journalist interview, write, edit, and review?”

Also, they showed how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and communities can work together to create new synergies. They debated in online communities and took to the streets and then debated the results back in the online communities. And this led to even greater numbers in G. And this changed government policies.

But there are still questions.
An essential question remains. Is this citizen-led media leadership sustainable?

In 2006 and 2007 when UGC-content was sweeping through media, I spoke on the 10 preconditions of valuable UGC. Broadly said that was responsibility, credibility, influence and sustainability.

I would like to speak on the issue of sustainability.

For ordinary citizens to conduct sustainable media leadership there needs to be: 1) citizens committed to action; 2) issues that engage people; 3) media platforms for engagement.

In my viewpoint, the third issue of “availability of platform for public engagement” is perhaps the greatest problematic issue for citizen journalism. It is the weakness of the public forum. During Candlelight 2008, Agora of the portal MediaDaum and the live video-streaming site Afreeca provided the major media platforms.

But these two websites are commercial enterprises. The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non-profit communities such as Wikipedia. They are liable to government policies. Already a large part of posts uploaded onto Agora has been taken down due to government and commercial pressures.

Then, what about individual blogs? Individual bloggers significantly influenced public opinion regarding candlelight vigils. But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 bloggers to sustain large numbers of readers through their efforts alone.

Korea’s “alpha-bloggers” win their page-views mostly through portal sites like Naver and Daum. It means that power-bloggers rely on portal sites.

But I reiterate, portal sites are founded on commercial objectives. Thus when, portal sites deem bloggers to be unimportant to their commercial interests, then the portal sites may engage in dramatic changes.

Personally, I am rather skeptical of non-professional bloggers being able to act continuously as media longer than a year. Even if she began to take on the media’s role by gathering readers, the moment she begins to do her blogging professionally, it’s possible that she will lose that early innocence and tone she began with. The moment her blogging becomes her career, she has to consider her readership and advertising.

That is why, I am certain that the OhmyNews model is a more secure model than individual blogger model for sustaining continue participation. OhmyNews model has citizen participation where there is no added duty for citizen reporters to administer their own sites as bloggers do.

OhmyNews citizen reporters can just write their articles and not worry about administration or distribution. Editors at OhmyNews check for truth and authenticity and edit and arrange the articles. A blog that is not maintained daily can quickly fall into ruin, but OhmyNews citizen reporters can write occasionally when they want to. If a blog is akin to a detatched house, OhmyNews is like a semi-detached town house or co-op.

Therefore, OhmyNews can provide a sustainable participatory forum for citizens. However there is also a limit to OhmyNews. Its editorial philosophy is that of “open-progressivism” and its color is too strong to be a forum for a wide-variety of ordinary citizens. Thus, we are preparing more changes to meet those needs.

But let us get back to the previous important question.
How can ordinary citizens sustain the media leadership they showed during Candlelight 2008?

In my viewpoint, the more important issue is the sustainability of “a public forum for influential democratic participation.” In reality, Candlelight 2008 can be considered a product of ordinary citizen action and MediaDaum’s debate platform of Agora.

However, as I said already, MediaDaum is a commercial enterprise. Is it possible for this company to continue acting in the public interest in the future? Is it impossible for us to create a public forum in a more independent and non-commercial wikipedia-like model?

How do we break this uncomfortabl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with democratic ideals and media platforms created by internet companies acting in private commercial interests, susceptible to non-democratic pressures.

These questions are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the internet and for the future of participatory democracy on the internet.

As I have iterated, the internet was created for US military interest and developed in unforeseen directions. Internet technology has contributed much to participatory democracy as in the case of Korea’s Candlelight 2008 however, the majority of internet space is based on commercial interests, created by readers’ pageviews. The pervasiveness of commercial interests in the internet is growing at a ferocious pace.

Will the internet continue to grow for commercial interests or for public interest in developing participatory democracy?

As always, the answers can be found when ideas are translated into practice.
One answer is that ordinary citizens create an influential media platform that amplify their voices in an independent space. Like wikipedia, it must be non-profit.

Another option is using traditional platforms such as MediaDaum Agora, Afreeca, and OhmyNews, but putting them on guard and watching over them to make sure that they do not lose their independence to government and commercial pressures.

For the moment at least, the latter option will continue to play a more important role and there will be ventures to create and develop the former.

But that is not all. There is something I want to emphasize. And that is the importance of content.

Of course a new independent platform for distribution and production is important but in that process, we must put top priority onto needed preconditions for valuable UGC content such as those I mentioned, responsibility and credibility.

Responsibility, trust…these are familiar words. Aren’t these values the basis of journalism ethics that we have been taught from old-media?

Candlelight 2008 has showcased the continual evolution of media. However, evolution is the interplay between continuity and change.

Principles of responsibility and credibility ingrained in old-media survive through change after change. When embarking on new ventures, one must value and protect these principles.

Only then, will participatory citizen journalism, participatory media be able to demonstrate true media leadership. 

덧글. 이미지는 지난 6월 오마이뉴스가 개최한 4회 세계시민기자포럼 행사 브로슈어에서 캡쳐한 것입니다.

덧글. 오마이뉴스 측에서 수정된 한글 발표문을 '보도자료' 형태로 배포했다. 한글 발표문은 수정해서 업데이트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