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세대(G) 이동통신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유선인터넷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볼 수 있는 풀브라우징(Full Browsing)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풀브라우징이란 모바일 무선인터넷에서도 일반 인터넷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문서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서비스다. PC의 '익스플로러' 등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를 보는 것처럼 모바일 전용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HSDPA, Wibro 등 데이터 전송을 개선하는 네트워크 성능은 고도화하고 있지만 뚜렷한 킬러 앱(Killer Application)이 부상하고 있지 않던 이동통신시장이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반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현재 시장 분위기는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화상 통화라는 3세대 킬러 앱을 대신하는 차세대 서비스라는 평가를 훨씬 넘어서 특별한 시장 창출의 기대치가 높다.
기존의 모바일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왑(WAP) 방식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비싼 데이터 요금 및 정보 이용료, 부족한 콘텐츠, 불편한UI 등으로 정체 상태였다. 게다가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해온 네이트(SKT), 매직앤(KTF), 이지아이(LGT) 등 대표적인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자사가 구성한 콘텐츠에만 접근할 수 있는 등 한계가 많았다.
그러나 올해 4월 초 출시한 LG텔레콤 브랜드 ‘오즈(OZ)’의 웹 서핑은 PC상 인터넷 환경처럼 고해상도, 넓은 화면, 터치 스크린과 함께 편리한 UI를 제시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핫키, 시작메뉴 등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에 쉽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다. 또 동영상 사이트 재생, 플래시나 액티브X의 구현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PC 수준에 근접한다.
이와 함께 웹 상에 존재하는 첨부 파일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 바로 보기 등을 지원한다. 이때 대용량 파일은 단말기의 메모리 사양으로 파일 뷰어시 한 페이지씩 열어 보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기능을 포함 모바일 인터넷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렴한 데이터 요금제(월 6,000원)로 인해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인기몰이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서비스 개시 2개월만에 17만 명의 가입자를 유치, 기존 영상통화 중심의 데이터 서비스를 새로운 양상으로 변모시키고 있다는 평이다. LG텔레콤의 OZ 서비스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보이던 국내 이동통신시장 1위 기업인 SK텔레콤이 부랴부랴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적극 마케팅하고 나선 것도 상황 변화를 상징한다.
현재 이동통신 3사는 모바일웹(SKT), 모바일웹서핑(KTF), 웹서핑(LGT) 등 각 사업자별로 서로 다른 풀브라우징 서비스 명을 갖고 있다. 삼성 햅틱, LG 뷰티2 등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탑재되는 단말기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뒤늦게 3G 시장에 나온 LGT의 오즈폰이 인기를 모으자 영상통화 단말기에 치중하던 3G 시장 1위 기업인 KTF까지 6월 중순 풀브라우징 전용 단말기를 내놓았다.
풀브라우징, 터치 스크린 등 데이터 통화 시대의 주류 단말기 트렌드를 인지한 이동통신사업자의 움직임이 분주한 것이다.
이와 관련 LG경제연구원 한승진 책임연구원은 ‘풀브라우징, 통신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라는 보고서에서 “휴대폰을 통한 자유로운 인터넷 접근은 소비자의 니즈를 자극, 포화상태의 이동통신시장 상황을 타개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미 이메일 솔루션을 탑재한 RIM사의 블랙베리 단말, 애플의 아이튠(iTune) 서비스와 연계한 아이팟(iPod)은 모바일과 인터넷 접목의 대표 사례다.
풀브라우저의 경우는 글로벌 이동통신업체 T모바일(T-mobile)이 지난 2005년 10월 ‘Web ‘N’ walk’ 서비스로 상용화의 첫 걸음을 뗐다. 최근에는 구글 오픈플랫폼 안드로이드(Android)를 탑재한 모바일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연구원은 “네트워크 및 모바일의 빠른 기술적 진화가 풀브라우징 대중화를 이끌 것”이라면서 “음성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심으로 경쟁을 촉진하고, 단말 차원의 유무선 통합에서 네트워크 차원의 유무선 통합으로 전개돼 인터넷 소비자를 무선과 이동 고객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즉, 풀브라우징이 2006년부터 등장한 모바일 웹2.0 시대의 주역이 되는 셈이다. 모바일 웹2.0이란 정액제 기반의 저렴한 고속 무선망 환경에서 웹 콘텐츠를 자유자재로 교환하면서 웹 서비스를 이용한 매쉬업(mash up)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매쉬업은 구글 맵 API 공개 이후 모바일에 구글 지도와 위성사진을 볼 수 있게 된 애플 아이폰(iPhone)처럼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통칭한다. 또 포털사이트 검색 서비스처럼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모바일에 연계할 수 있다. 아마존 같은 도서 정보를 모바일에서 손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모바일 검색 및 광고 시장을 확대, 스마트폰, 웹폰 등 단말기 시장을 활성화하는 한편 모바일 RFID, UCC 등의 가능성도 끌어올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종홍 선임연구원은 ‘모바일 웹2.0과 모바일OK 표준화’ 보고서에서 “여전히 풀브라우징이 유선 인터넷 콘텐츠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풀브라우징을 통한 유선 인터넷 데이터 접근은 모바일 단말의 활용을 높이고 전체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분석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10여년전 유선 환경에서 폐쇄적 사업모델을 유지하다 개방형 인터넷 서비스에 의해 밀려난 PC통신 서비스를 상기시킨다. 전 연구원은 “풀브라우징 같은 모바일 웹2.0은 가입자 중심의 폐쇄적 수익모델을 통신사업자가 독점하는 모델에서 모바일 브로드밴드 환경에 맞게 소비자 중심의 개방형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풀브라우징 서비스 역시 모바일 검색과 광고, 매쉬업, 모바일SNS 등 모바일 웹2.0 환경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의 표준화 측면을 중요하게 대두시킨다. 새로운 모바일 패러다임은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합하는 플랫폼 기술에 기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사용자 참여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등 모바일을 둘러싼 협력관계와 개방적 생태계는 결정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연히 국내 이동통신사업자, 포털사이트 등 웹 기반의 콘텐츠 및 서비스 사업자가 상생의 시장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성패도 이들이 함께 만드는 환경의 특성에 따라 성장 속도와 한계가 달려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업자들은 풀브라우저의 폭발력은 인정하는 분위기지만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기 위해서도 다양한 사업자들이 킬러 서비스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면 인터넷 포털사업자도 또 하나의 사용자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위해 추가적인 개발 부담을 해야 하고, 콘텐츠 사업자도 최적화한 서비스 툴을 만드는 등 아낌없는 공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풀브라우징을 경험한 사용자들의 불편 사항을 조속히 보완해야 한다.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새로운 서비스 경험을 공유하는 소비자로 기존 유선 인터넷 시장과 이동통신 가입자와도 다른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어떻게 만족시키느냐에 따라서 풀브라우징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까지 제기된 것을 종합하면 속도, 편의성, 접근성 등으로 요약된다. 우선 속도는 화면 표시 시간이 대체로 느린 편이다. LG텔레콤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초기화면 기준 로딩 시간이 10초대 후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풀브라우저 최초 탑재 시점 대비 2분의 1 이상 향상된 것이지만 타 브라우저 대비 빠른 브라우징 속도의 기대치는 그 만큼 높아져 있다. 또 줌 기능을 통해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경우도 화면 표시 시간이 지연돼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3인치 이상의 대화면을 제공하고 있지만 유선인터넷 환경과 다른 경험치를 준다는 점이 아킬레스건이다. 마우스 이동, 링크 선택 등 키 조작의 어려움도 수반된다. 지난 5월 K모바일이 주최한 ‘모바일 풀브라우징 성공전략’ 세미나에 참석한 LG텔레콤 양장모 차장은 “CPU나 메모리 등 모바일 단말 사양을 높이고 불편한 입력 방식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액티브X, 플래시 버전 등의 문제로 동영상 등 미지원되는 콘텐츠도 시장내 이해관계자들과 조율하면서 정면돌파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햅틱폰은 음향 청취가 불가능하고 뷰티2폰은 유튜브(YouTube)에서 플래시 동영상 재생 구현이 어려운 현실은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가능성을 퇴색시키고 있다.
일단 가능하다면 일반 PC상의 웹 페이지를 그대로 구현하는 데 초점을 두지만 구현이 어려운 기술적 부분들은 인터넷 기업의 조정 역할이 중요한 만큼 사이트 경량화를 비롯 웹 페이지 표준 정착을 함께 풀어가자는 취지다.
이에 대해 모바일 서비스 환경 표준화 작업의 일환인 ‘모바일OK’를 추진 중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웹 페이지 직접 구현보다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쪽이다. 일부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들도 모바일 단말기가 LCD 사이즈와 해상도 등이 현재 사양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면 “웹 사이트 그대로 구현은 불가능하다”고 동조한다.
모바일 서비스 분야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포털사업자는 일단 모바일 기반 전용 서비스 기반과 일반 웹 페이지 최적화 등 당장에는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할 수밖에 없다.
다만 시장 상황을 봐가면서 자연스럽게 풀브라우저로 집중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컨버전스사업팀 모바일파트 금동우 파트장은 “2~3년간은 WAP 방식과 풀브라우저가 공존할 것으로 보지만 미래 시장을 고려할 때 후자쪽에 더 치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어쨌든 모바일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시장내 정착하기 위한 제반 투자는 필연적으로 단말기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소비자들도 당분간 풀브라우저 내장폰이 고가 프리미엄 폰이 될 수 밖에 없다며 우려하고 있다. 풀브라우징 대중화를 전략으로 채택한 LG텔레콤은 기존 단말기 대비 10~20만원 이상 저가로 책정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 문제는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수익성 논란과도 잇닿아 있다. SK텔레콤 브라우저 기획담당 김면중 매니저는 “데이터 통화료 이외에 새로운 수익모델이 있을지 불투명하다”면서 “모바일 시장 내 이해관계자들과 협업 개방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사실 LG텔레콤이 풀브라우징 서비스 가입자를 늘렸지만 구체적인 수익모델 제시로 전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로아(ROA)그룹 윤정호 애널리스트는 “풀브라우징 서비스인지 단말기 자체에 대한 호감인지 불명확하지만 아이폰을 미국 시장에 독점 공급한 AT&T의 데이터 서비스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면서 “풀브라우징 서비스 탑재가 SMS나 이메일 등 기존 데이터 사용 패턴을 변화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현재 모바일 풀브라우징 서비스는 지난 2004년 텍스트 기반 WAP 서비스에서 동적인 표현이 가능한 브라우저를 통해 진화한 것으로 5년여 안팎의 과정을 거쳤다. 인프라웨어 김경남 연구소장은 “향후 수년 내에 모바일 환경에 맞는 웹 어플리케이션, 위젯 등을 지원하는 모바일 웹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래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어떤 단말기 환경에서도 웹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 이 같은 모바일 시장의 로드맵에서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의 폐쇄적인 서비스 환경이 경쟁력을 유지하기란 어려울 수밖에 없다.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전체 모바일 시장의 성장 열쇠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해 관계자의 적극적인 협력과 투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덧글. 이 포스트는 미디어미래연구소가 발행하는 미디어퓨처 7월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원고작성 시점이 6월 초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풀브라우징이란 모바일 무선인터넷에서도 일반 인터넷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문서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서비스다. PC의 '익스플로러' 등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를 보는 것처럼 모바일 전용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HSDPA, Wibro 등 데이터 전송을 개선하는 네트워크 성능은 고도화하고 있지만 뚜렷한 킬러 앱(Killer Application)이 부상하고 있지 않던 이동통신시장이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반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현재 시장 분위기는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화상 통화라는 3세대 킬러 앱을 대신하는 차세대 서비스라는 평가를 훨씬 넘어서 특별한 시장 창출의 기대치가 높다.
기존의 모바일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왑(WAP) 방식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비싼 데이터 요금 및 정보 이용료, 부족한 콘텐츠, 불편한UI 등으로 정체 상태였다. 게다가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해온 네이트(SKT), 매직앤(KTF), 이지아이(LGT) 등 대표적인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자사가 구성한 콘텐츠에만 접근할 수 있는 등 한계가 많았다.
그러나 올해 4월 초 출시한 LG텔레콤 브랜드 ‘오즈(OZ)’의 웹 서핑은 PC상 인터넷 환경처럼 고해상도, 넓은 화면, 터치 스크린과 함께 편리한 UI를 제시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핫키, 시작메뉴 등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에 쉽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다. 또 동영상 사이트 재생, 플래시나 액티브X의 구현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PC 수준에 근접한다.
이와 함께 웹 상에 존재하는 첨부 파일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 바로 보기 등을 지원한다. 이때 대용량 파일은 단말기의 메모리 사양으로 파일 뷰어시 한 페이지씩 열어 보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기능을 포함 모바일 인터넷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렴한 데이터 요금제(월 6,000원)로 인해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인기몰이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서비스 개시 2개월만에 17만 명의 가입자를 유치, 기존 영상통화 중심의 데이터 서비스를 새로운 양상으로 변모시키고 있다는 평이다. LG텔레콤의 OZ 서비스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보이던 국내 이동통신시장 1위 기업인 SK텔레콤이 부랴부랴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적극 마케팅하고 나선 것도 상황 변화를 상징한다.
현재 이동통신 3사는 모바일웹(SKT), 모바일웹서핑(KTF), 웹서핑(LGT) 등 각 사업자별로 서로 다른 풀브라우징 서비스 명을 갖고 있다. 삼성 햅틱, LG 뷰티2 등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탑재되는 단말기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뒤늦게 3G 시장에 나온 LGT의 오즈폰이 인기를 모으자 영상통화 단말기에 치중하던 3G 시장 1위 기업인 KTF까지 6월 중순 풀브라우징 전용 단말기를 내놓았다.
풀브라우징, 터치 스크린 등 데이터 통화 시대의 주류 단말기 트렌드를 인지한 이동통신사업자의 움직임이 분주한 것이다.
이와 관련 LG경제연구원 한승진 책임연구원은 ‘풀브라우징, 통신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라는 보고서에서 “휴대폰을 통한 자유로운 인터넷 접근은 소비자의 니즈를 자극, 포화상태의 이동통신시장 상황을 타개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미 이메일 솔루션을 탑재한 RIM사의 블랙베리 단말, 애플의 아이튠(iTune) 서비스와 연계한 아이팟(iPod)은 모바일과 인터넷 접목의 대표 사례다.
풀브라우저의 경우는 글로벌 이동통신업체 T모바일(T-mobile)이 지난 2005년 10월 ‘Web ‘N’ walk’ 서비스로 상용화의 첫 걸음을 뗐다. 최근에는 구글 오픈플랫폼 안드로이드(Android)를 탑재한 모바일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연구원은 “네트워크 및 모바일의 빠른 기술적 진화가 풀브라우징 대중화를 이끌 것”이라면서 “음성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심으로 경쟁을 촉진하고, 단말 차원의 유무선 통합에서 네트워크 차원의 유무선 통합으로 전개돼 인터넷 소비자를 무선과 이동 고객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즉, 풀브라우징이 2006년부터 등장한 모바일 웹2.0 시대의 주역이 되는 셈이다. 모바일 웹2.0이란 정액제 기반의 저렴한 고속 무선망 환경에서 웹 콘텐츠를 자유자재로 교환하면서 웹 서비스를 이용한 매쉬업(mash up)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매쉬업은 구글 맵 API 공개 이후 모바일에 구글 지도와 위성사진을 볼 수 있게 된 애플 아이폰(iPhone)처럼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통칭한다. 또 포털사이트 검색 서비스처럼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모바일에 연계할 수 있다. 아마존 같은 도서 정보를 모바일에서 손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모바일 검색 및 광고 시장을 확대, 스마트폰, 웹폰 등 단말기 시장을 활성화하는 한편 모바일 RFID, UCC 등의 가능성도 끌어올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종홍 선임연구원은 ‘모바일 웹2.0과 모바일OK 표준화’ 보고서에서 “여전히 풀브라우징이 유선 인터넷 콘텐츠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풀브라우징을 통한 유선 인터넷 데이터 접근은 모바일 단말의 활용을 높이고 전체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분석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10여년전 유선 환경에서 폐쇄적 사업모델을 유지하다 개방형 인터넷 서비스에 의해 밀려난 PC통신 서비스를 상기시킨다. 전 연구원은 “풀브라우징 같은 모바일 웹2.0은 가입자 중심의 폐쇄적 수익모델을 통신사업자가 독점하는 모델에서 모바일 브로드밴드 환경에 맞게 소비자 중심의 개방형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풀브라우징 서비스 역시 모바일 검색과 광고, 매쉬업, 모바일SNS 등 모바일 웹2.0 환경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의 표준화 측면을 중요하게 대두시킨다. 새로운 모바일 패러다임은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합하는 플랫폼 기술에 기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사용자 참여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등 모바일을 둘러싼 협력관계와 개방적 생태계는 결정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연히 국내 이동통신사업자, 포털사이트 등 웹 기반의 콘텐츠 및 서비스 사업자가 상생의 시장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성패도 이들이 함께 만드는 환경의 특성에 따라 성장 속도와 한계가 달려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업자들은 풀브라우저의 폭발력은 인정하는 분위기지만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기 위해서도 다양한 사업자들이 킬러 서비스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면 인터넷 포털사업자도 또 하나의 사용자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위해 추가적인 개발 부담을 해야 하고, 콘텐츠 사업자도 최적화한 서비스 툴을 만드는 등 아낌없는 공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풀브라우징을 경험한 사용자들의 불편 사항을 조속히 보완해야 한다.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새로운 서비스 경험을 공유하는 소비자로 기존 유선 인터넷 시장과 이동통신 가입자와도 다른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어떻게 만족시키느냐에 따라서 풀브라우징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까지 제기된 것을 종합하면 속도, 편의성, 접근성 등으로 요약된다. 우선 속도는 화면 표시 시간이 대체로 느린 편이다. LG텔레콤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초기화면 기준 로딩 시간이 10초대 후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풀브라우저 최초 탑재 시점 대비 2분의 1 이상 향상된 것이지만 타 브라우저 대비 빠른 브라우징 속도의 기대치는 그 만큼 높아져 있다. 또 줌 기능을 통해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경우도 화면 표시 시간이 지연돼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3인치 이상의 대화면을 제공하고 있지만 유선인터넷 환경과 다른 경험치를 준다는 점이 아킬레스건이다. 마우스 이동, 링크 선택 등 키 조작의 어려움도 수반된다. 지난 5월 K모바일이 주최한 ‘모바일 풀브라우징 성공전략’ 세미나에 참석한 LG텔레콤 양장모 차장은 “CPU나 메모리 등 모바일 단말 사양을 높이고 불편한 입력 방식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액티브X, 플래시 버전 등의 문제로 동영상 등 미지원되는 콘텐츠도 시장내 이해관계자들과 조율하면서 정면돌파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햅틱폰은 음향 청취가 불가능하고 뷰티2폰은 유튜브(YouTube)에서 플래시 동영상 재생 구현이 어려운 현실은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가능성을 퇴색시키고 있다.
일단 가능하다면 일반 PC상의 웹 페이지를 그대로 구현하는 데 초점을 두지만 구현이 어려운 기술적 부분들은 인터넷 기업의 조정 역할이 중요한 만큼 사이트 경량화를 비롯 웹 페이지 표준 정착을 함께 풀어가자는 취지다.
이에 대해 모바일 서비스 환경 표준화 작업의 일환인 ‘모바일OK’를 추진 중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웹 페이지 직접 구현보다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쪽이다. 일부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들도 모바일 단말기가 LCD 사이즈와 해상도 등이 현재 사양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면 “웹 사이트 그대로 구현은 불가능하다”고 동조한다.
모바일 서비스 분야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포털사업자는 일단 모바일 기반 전용 서비스 기반과 일반 웹 페이지 최적화 등 당장에는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할 수밖에 없다.
다만 시장 상황을 봐가면서 자연스럽게 풀브라우저로 집중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컨버전스사업팀 모바일파트 금동우 파트장은 “2~3년간은 WAP 방식과 풀브라우저가 공존할 것으로 보지만 미래 시장을 고려할 때 후자쪽에 더 치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어쨌든 모바일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시장내 정착하기 위한 제반 투자는 필연적으로 단말기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소비자들도 당분간 풀브라우저 내장폰이 고가 프리미엄 폰이 될 수 밖에 없다며 우려하고 있다. 풀브라우징 대중화를 전략으로 채택한 LG텔레콤은 기존 단말기 대비 10~20만원 이상 저가로 책정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 문제는 풀브라우징 서비스의 수익성 논란과도 잇닿아 있다. SK텔레콤 브라우저 기획담당 김면중 매니저는 “데이터 통화료 이외에 새로운 수익모델이 있을지 불투명하다”면서 “모바일 시장 내 이해관계자들과 협업 개방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사실 LG텔레콤이 풀브라우징 서비스 가입자를 늘렸지만 구체적인 수익모델 제시로 전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로아(ROA)그룹 윤정호 애널리스트는 “풀브라우징 서비스인지 단말기 자체에 대한 호감인지 불명확하지만 아이폰을 미국 시장에 독점 공급한 AT&T의 데이터 서비스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면서 “풀브라우징 서비스 탑재가 SMS나 이메일 등 기존 데이터 사용 패턴을 변화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현재 모바일 풀브라우징 서비스는 지난 2004년 텍스트 기반 WAP 서비스에서 동적인 표현이 가능한 브라우저를 통해 진화한 것으로 5년여 안팎의 과정을 거쳤다. 인프라웨어 김경남 연구소장은 “향후 수년 내에 모바일 환경에 맞는 웹 어플리케이션, 위젯 등을 지원하는 모바일 웹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래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어떤 단말기 환경에서도 웹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 이 같은 모바일 시장의 로드맵에서 국내 이동통신사업자의 폐쇄적인 서비스 환경이 경쟁력을 유지하기란 어려울 수밖에 없다.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전체 모바일 시장의 성장 열쇠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해 관계자의 적극적인 협력과 투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덧글. 이 포스트는 미디어미래연구소가 발행하는 미디어퓨처 7월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원고작성 시점이 6월 초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뉴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과 미디어 (2) | 2008.09.01 |
---|---|
"전통미디어 콘텐츠에 주목하는 운동돼야" (2) | 2008.06.25 |
블로그, 포털 부상과 전통 미디어의 역할 (2) | 2008.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