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12

검색이 통로 아닌 목적지로 변화..."포털 유입 트래픽 점점 감소할 것" SEO에도 트래픽 증가 안 되면 기사 수준 문제 정보성 콘텐츠 늘리고 해외 독자 끌어들일 때 테크놀러지 접목으로 새로운 생태계 준비해야 한국의 디지털 뉴스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포털 뉴스와 검색, 그리고 알고리즘 추천 등으로 뉴스를 만난다. 작은 규모로 언론사 웹사이트(모바일 뉴스 앱)를 직접 찾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최근 포털 뉴스에서 유입되는 트래픽이 줄어들면서[1] 광고매출 하락이 현실화 하고 있다. 주요 언론사 디지털 부문 담당자들은 "트래픽 감소폭이 평균 20~30% 정도"라고 밝혔다. 마켓링크 뉴스인덱스에 따르면 한 대형 종합일간지 웹사이트는 6월 기준 순방문자(PC/모바일 포함)가 514만명 정도로 지난해 6월 700만명에 비해 30% 가까이 감소했다. 페이지뷰는 더 오그라들었다. 4416만.. 2023. 8. 7.
언론사, '인공지능 R&D' 나설 때다 생성 AI, 불과 3개월 만에 지식 정보 생태계 재편 주도 BBC 등 세계 방송사는 영상제작, 업무 프로세스에 접목 책임성, 법제화 별개로 뉴스룸 혁신 인프라로 접근 필요 지식 정보 생태계를 가르는 키워드는 단연 챗GPT다. 불과 출시 4개월여 만에 미디어 산업과 기술 분야를 생성 AI(Generative AI) 모델이 몰아치는 양상이다. 지난해 가트너(Gartner)는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생성 AI 시장 규모를 1,108억 달러로 추산했다. 2021년 79억 달러 시장에서 큰 폭의 성장을 내다본 것이다. 생성 AI가 그리는 미래를 '창조적인 신세계'로 띄우는 드라마틱한 예상도 쏟아진다. "생성 AI로 생성되는 대기업의 아웃바운드 마케팅 메시지는 2022년 2% 미만에서 2025년 30%로 증가.. 2023. 4. 24.
AI 쓰임새는 기자에 달려있다 해외 언론, 다양한 AI 프로젝트 전개 속보 등 효율성에 맞춘 한국 언론 저널리즘 가치 높여야 지속 가능 인공 지능(AI)은 이미 언론과 기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AI는 콘텐츠 추천 및 배열, 딥 페이크 탐지 및 구독 모델 최적화 등 저널리즘과 오디언스 전반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언론사는 AI를 활용하여 데이터 감지, 추출 및 확인, 기사 및 그래픽 생성, 출판(정렬, 선택 및 우선 순위 지정 포함)을 포함하여 저널리즘 활동 전반에서 수많은 작업을 자동화 하고 있다. 예를 들면 AI는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잡한 절차를 짧게 마무리하고, 대강의 초안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일상적인 업무를 개선한다. 그동안 뉴스 조직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영역으로 보도를 확대하고, 여전히 논쟁적이지만.. 2022. 11. 16.
개인화는 자신의 관심사를 전할 때 시작 개인화 완성도는 조직 내부의 협업 수준이 좌우 엉성한 기술 인프라, 취약한 데이터도 문제지만 단편적인 정보 수집은 개인화 서비스 좌초시켜 디지털 뉴스는 독자가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독자에 다가서는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독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뉴스를 분류하는 것부터, 독자의 범위를 형성하는 것까지 아우른다. 뉴스의 '개인화'는 맞춤 서비스라는 디지털 시장의 작동 원리와 직결되며 점점 보편화하고 있다. '구독 모델'로 성장하는 언론사 간 개인화 경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이다. 현재 개인화는 기본적으로 전 연령대가 기대하는 서비스다. 넷플릭스, 페이스북 등 한국의 독자들이 경험하는 미디어 플랫폼은 대부분 개인화로 성장해 온 플랫폼이다. 개인화를 추진하지 않는다면 기회와 경쟁력을 잃고, 경쟁에 따른.. 2022. 10. 28.
2021년 뉴스미디어 이슈...알고리즘, 연합뉴스 퇴출, 구독모델 2021년 뉴스 미디어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알고리즘', '허위조작정보(가짜뉴스)', '구독모델'로 꼽았다. 포털 뉴스서비스는 편집 알고리즘을 둘러싸고 편향성 시비가 잇따랐다.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두고 '과잉입법 vs 사회적 책임 강화' 대립도 이어졌다. 대형 신문사를 중심으로 디지털 구독모델의 정지작업이 비교적 활발히 전개됐다. 포털뉴스의 대전환기를 예상하는 시각과 맞물리며 본격적인 뉴스유료화 준비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아직은 섣부르게 구독모델 방향으로 보기 어렵다. 콘텐츠와 조직문화 측면에서 다듬어야 할 것들이 많아서다. 후원모델도 마찬가지다. 비즈니스 현장은 기사형 광고 폐해부터 ABC 부수논란, 블록체인(NFT), OTT까지 명암이 교차했다. 아직은 가능성 측면에서 보고되는 가상자산(코인)/N.. 2021. 12. 10.
'포획된 언론'을 마주하는 시민 행동은? '미디어 캡처(media capture)'는 언론이 공공성 확대보다는 특정 그룹의 사업적, 정치적 이익을 진전시킬 때 발생하는 양상을 지칭한다. 불과 몇 년 전까지 많은 한국언론은 기득권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왔다. 또한 자본의 관심사를 능동적으로 처리해왔다. 이렇게 포획된 언론은 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책임과는 거리가 멀어진다. 오늘날 상업언론은 정부, 기업을 비롯한 기득권과의 관계에 주력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化다. 디지털 생태계는 뉴스시장과 소비패턴을 바꿨다. 판매, 광고 등 기존 비즈니스모델은 수렁에 빠졌다. 기술 플랫폼으로 수렴되는 뉴스시장으로 언론의 영향력은 축소되거나 또는 양극화(과점)되면서 보도내용은 획일화됐다. 천편일률적인 뉴스는 욕망을 팔고.. 2021.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