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미디어뉴스/국내

뉴스 미디어와 네이버의 공적 책임

by 수레바퀴 2014. 3. 5.

허핑턴포스트코리아가 출범했지만 독자들이 스스로 참여하는 뉴스 미디어의 미래는 밝지 않다. 현실적으로 포털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미디어 환경은 실타래처럼 얽혀 있다. 정치적이고 상업적으로 작동하는 플랫폼을 공동체의 미래, 삶의 지평과 사유를 넓히는 `이용자 관점`으로 전환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28일 창간한 인터넷신문 <허핑턴포스트코리아>와 관련 한 블로거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매체'라고 일갈했다. 대체로 동감한다. <미디어오늘> 최근호도 이 부분을 상세히 다뤘지만 결국 어떻게 영향력을 확보하느냐가 <허핑턴포스트코리아>를 비롯한 새롭게 등장하는 (대안) 미디어의 과제일 것이다.


확보한 명망가들이 게시하는 뉴스 스토리의 차별성이 두드러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안심이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다. 이들이 스토리를 입력하고 편집하는 도구(CMS)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느냐도 효율성의 측면에서 무시 못할 이슈다. 특히 필자인 블로거들이 갖고 있는 생존-일상의 문제도 녹록지 않다(원고료 논란이 이는 것은 지극히 한국적이다). 


영향력을 넓히기 위해서는 콘텐츠 경쟁력 이외에도 바이럴(SNS)과 포털(검색) 두 축이 중요하다. 


그런데 아직 바이럴은 한계가 있다. 시장 여건을 고려했을 때 역시 포털의 역할이 중요하다.- 나는 지난번 <블로터닷넷> 포럼에서 포털의 공적 책임을 주문했다 - 현실적으로 대안 미디어의 생존을 위해 포털의 노력이 제대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가령 포털사업자가 좋은 저널리즘을 구현하는 매체-공정하고 객관적인, 공동체의 정의를 실현하는 매체-를 선별하는데 적극적이지 않다면 결국 온라인 뉴스 환경은 기형적으로 흘러가게 된다. <ㅍㅍㅅㅅ>, <슬로우뉴스>, <뉴스타파> 등 신생 미디어와 호응하는 시도야말로 포털뉴스의 '혁신'이다. 


최근 네이버가 조중동 등 주요 신문사가 대주주로 있는 종편사의 미디어 렙사에 골고루 투자한 것은 경악할만한 일이다. 결과적으로 모순적인 시장-트래픽과 뉴스 가치의 부조화-에 안주하면서 '정치적인 거래'만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전통매체 성찰과 혁신도 중요하지만 한국의 포털사업자는 그들의 영향력과 역사성을 고려할 때 미디어로서의 책무를 외면해서 안 된다. 


특히 네이버는 자사의 서비스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 뉴스캐스트-뉴스스탠드 체제 이후 PC웹 뉴스 서비스를 사실상 포기하고 있는 네이버가 여전히 수백 개의 매체를 등에 업은 채 어떤 뉴스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 시대 진정한 '이용자 관점'이 무엇인지 성의있게 다뤄야 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