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뉴스스탠드에 없는 네 가지

by 수레바퀴 2013. 5. 1.


네이버 뉴스스탠드. 언론사와 이용자들로부터 호감을 얻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것일까? 시행 한 달을 넘기는 뉴스스탠드를 보는 시선이 따갑다. 근본적으로는 언론사의 온라인저널리즘에 일대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 이면에는 지난 10여년 넘게 고착화한 포털 의존적 뉴스 유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담겨 있다.



NHN 네이버 뉴스스탠드가 1일로 한 달을 넘긴다. 지난 2009년 도입한 뉴스캐스트는 그동안 언론사에게 달콤한 트래픽을 선사했지만 뉴스스탠드는 썰물처럼 빠지는 트래픽으로 통곡의 벽이 됐다.


지금까지의 데이터만 보면 언론사 사이트에서 최소 50% 이상 순 방문자(UV), 페이지 뷰(PV)의 감소가 일어났다. 최대 90%가 되는 곳도 나왔다. 이 상황이 지속되면 뉴스캐스트 트래픽 기반의 광고매출에 의존한 일부 언론사에선 경영난이 우려된다.


더 심각한 것은 대부분의 언론사가 뉴스스탠드 해법이 없다는 점이다. 뉴스스탠드는 1차적으로 매체를 선택한 뒤 2차적으로 뉴스 소비를 하게 돼 있다.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절반이 탈매체적 뉴스 소비 경험에 익숙한 만큼 빠른 시간 내 적응하기가 어려운 구조다.


뉴스스탠드 내 언론사 간 순위도 자리 잡지 못하는 양상이다. 상대적으로 서비스 채널이 많은 대형 신문사나 지상파 방송사를 제외하고 매주 순위가 엎치락뒤치락하거나 트래픽 하향세를 되돌리지 못하고 있다.


반면 네이버를 비롯 주요 포털사이트가 자체 편집하는 뉴스 섹션은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네이버를 중심으로 다음, 네이트 등 3대 포털 뉴스 섹션은 소폭이지만 트래픽이 증가했다.


특히 네이버 뉴스의 순 방문자 수는 3월 평균 720~740만을 기록하다 4월 첫째 주 1029, 둘째 주 1044, 셋째 주 974만 등 1000만을 넘나들었다.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네이버 충성도를 반증하는 대목이다.


역시 네이버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기사 검색 시 아웃링크, 뉴스캐스트에 이어 뉴스스탠드까지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방식 변경은 결과적으로는 네이버에게만 긍정적이었다는 것이다.


물론 뉴스스탠드가 네이버에만 유리하고 언론사에겐 무덤이 될지 예단하기는 이르다. 다만 뉴스스탠드 한 달을 곱씹어보면 전통매체의 과제가 확연히 드러난다.


첫째, 수준 높은 저널리즘이 보이지 않는다. 선정적 뉴스와 낚시성 기사 제목의 향연이 뉴스캐스트 못지않다. 이 경쟁으로 나아가게 되면 모든 매체가 동질화한다. 브랜드가 확립될 수 없다. 시간과 비용이 들더라도 뻔한 뉴스는 버려야 한다.


둘째, 이용자가 언론사를 선택하는 ‘MY뉴스설정비율이 10%도 되지 않는다. 이 비율은 네이버가 뉴스스탠드 기본형 언론사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실제로 누구인지 알 수 없는 특정 포털 뉴스 이용자에 얽매이기보다는 자사의 독자를 찾는 노력이 시급히 필요하다.


셋째, 모바일 전략이 보이지 않는다. 언론사들이 뉴스스탠드에 매몰되는 동안 모바일 생태계가 포털로 넘어가고 있다.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가 모바일로 전이되는 국면에서는 뉴스 생산과 유통의 모바일 퍼스트전략이 나와야 한다.


넷째, 포털의 공론장 역할, 즉 여론 다양성의 기능이 축소되고 있다. 연예뉴스는 약진하고 공공 이슈는 사장(死藏)되는 흐름이다. 또 이데올로기의 균형보다는 쏠림의 조짐이다. 의제설정이라는 저널리즘 고유의 영향력을 인터넷에서 어떻게 세울지 고민해야 한다.


NHN 김상헌 대표는 관훈클럽 초청 강연에서 일단 6개월간 뉴스스탠드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언론사들도, 이용자들도 힘들고 불편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네이버도 개편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 과정에서 전통매체의 온라인저널리즘 혁신이 전개돼야 한다는 점이다. 진정한 경쟁은 지금부터다.


덧글. 기자협회보 5월1일자에 '특별기고' 형태로 실린 글입니다.





댓글